가족 간 호칭


1. (남자의 경우) 남동생의 아내를 부르는 말은?

제수씨(계수씨)

2. (남자의 경우) 형의 아내를 부르는 말은?

형수님, 아주머님, 아주머니, (보통은 형수님)

3. (여자의 경우) ‘시누이’는 누구를 가리키나?

남편의 누이

4. ‘며느리 사랑은 시아버지’라는 말이 있다. 이 때 시아버지는 며느리 입장에서 보면 남편의 아버지를 가리킨다. 며느리는 시아버지를 무엇이라고 불러야 하나?

아버님

(아버지가 안 되는 것은 아니지만 전통적으로 경칭인 아버님을 써 왔다. 그러나 시어머니의 경우는 어머님, 어머니를 모두 써왔다. 시아버지는 ‘아버지’를 허용하지 않으면서 시어머니의 경우 ‘어머니’를 허용하는 것은 우리 나라의 가부장 제도의 영향 때문이다.)

5. 고종사촌은 누구를 가리키나?

고모의 자식

* 사람살이는 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가족 관계부터 친구 관계, 선후배 관계, 기타 사회 여러 사람들과의 관계, 그래서 부름말(호칭)과 가리킴말(지칭)이 중요하다. 이런 말과 이와 관련된 말들을 폭넓게 살펴보자. 지금 당장은 사용하지 않더라도 언젠가는 필요한 말들일 것이다.

6. 나이가 어린 손위 올케(오빠의 아내)를 어떻게 불러야 하나?

언니 또는 새언니

(나이가 어리다고 거북해 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오빠를 대우하기 위해 그렇게 불러야 한다.)


7. 남편의 여동생이나 누나가 시누이다. 시누이의 남편은 무엇이라고 부르나?

아주버님 또는 서방님

8. 남편의 남동생을 부르는 말은?

도련님(결혼한 경우 서방님)

9. 남편 남동생의 아내를 부르는 말은?

동서

  (남편 형님의 아내는 형님이라고 부른다.)

10. 남편의 누나를 부르는 말은?

형님


11. 남편의 여동생을 부르는 말은?

아가씨 또는 아기씨

12. 남편의 형님을 부르는 말은?

아주버님(손위 시누이의 남편에 대한 호칭도 됨)


13. 누나가 남동생의 아내를 부르는 말은?

올케


14. 누나의 남편을 가리키는 말 세 가지는?

매형, 자형, 매부(이 중에 매부는 보통 여동생의 남편에게 씀)

15. 당숙은 나와 몇 촌인가?

5촌(재당숙은 7촌, 3당숙은 9촌)

16. 당질은 누구인가?

사촌형제의 아들

17. 동생 직장에 전화를 걸어 동생을 바꿔달라고 할 경우 이름에 씨를 붙이는 것이 옳은가, 안 붙이는 것이 옳은가?

붙이는 것이 옳다. (직함일 때는 안 붙여도 된다. 예 : 김순돌씨, 김순돌 과장, 김순돌님, 김순돌 과장님)

18. 맨 위 조상으로부터 밑의 자손으로 따져 내려오는 단위는 무엇인가?

(나는 이순신 장군의 15세손이다.)


19. 부모와 같은 항렬의 여자나 한 항렬에 있는 남자의 아내를 일컬었던 말은?

아주머니 또는 아줌마(지금은 여자 어른에게 두루 씀)


20. 살아 계신 자기의 부모를 부르거나 남에게 이야기할 때 “님”자를 붙일 수 있나?

붙이지 않는 것이 좋다.

전통적으로 살아 계신 자기 부모님을 일컬을 때는 ‘님’자를 붙이지 않는다. 아버지, 어머니라고 하면 된다. 다만 돌아가셨을 경우, “우리 아버님이 살아 계셨을 때”와 같이 붙이는 것이 관례다. 또한 글을 쓸 때는 “님”자를 쓴다.


21. 설날 남자가 자신보다 나이가 많은 이모의 아들을 만났다. 뭐라고 불러야 하나?

형 또는 이종사촌 형

정확한 지칭어는 이종사촌이다. 그러나 보통 형이라고 부르는 것이 친근한 느낌을 준다.


22. 스승의 남편을 어떻게 부르나?

호칭하기에 가장 어렵다. 일반적으로 사부님, 선생님, 0선생님, 000 선생님 등으로 부른다.


23. 시누이와 시동생이 두 살, 세 살밖에 되지 않았다. 어떻게 불러야 하나?

시누이는 아가씨· 아기씨, 시동생은 도련님

   (시동생, 시누이를 부르는 말은 나이와 관계없다.)

24. 아내의 남동생을 부르는 말은?

처남

   (아주 나이가 어릴 경우 이름을 부를 수도 있다.)

25. 아내 언니의 남편을 부르는 말은?

형님

26. 아내 여동생의 남편을 부르는 말은?

동서 또는 0서방


27. 아내의 오빠를 부르는 말은?

처남 또는 형님. 단 나이가 자신보다 어리면 처남이라고 부른다.

28. 아내의 언니를 가리키는 말은?

처형

29. 아내의 여동생을 가리키는 말은?

처제

30. 아내 쪽의 친척을 이르는 말은?

인척

친가(아버지) 쪽의 친척 : 친족 또는 친척  / 외가(어머니) 쪽의 친척 : 외척 / 아내 쪽의 친척 : 인척


31. 아들이 결혼을 했지만 아직 아이를 낳지 않았을 경우에 아들과 며느리를 어떻게 불러야 하나?

아들은 이름을 부르면 되고, 며느리는 ‘아가, 새아가’ 등을 쓴다. 아이를 낳으면 “아비, 아범, 어미, 어멈‘으로 부르거나, 애 이름을 넣어서 ’00아범, 00아비, 00어멈, 00어미‘로 부른다.

32. 아버지와 같은 항렬의 남자를 어떻게 부르나?

아저씨

33. 아버지와 나는 몇 촌인가?

1촌(부자, 모자, 형제, 자매는 촌수를 따지지 않음)

34. 아버지의 남자 형제를 가리키는 말은?

삼촌

결혼을 하면 큰아버지(백부), 또는 작은아버지(숙부) 라고 부른다. 아버지의 남자 형제가 집안의 장손일 경우는 오촌, 칠촌이라도 큰아버지라고도 부른다.

35. 아버지의 사촌누이는 무엇이라고 부르나?

당고모


36. 아버지의 사촌형제를 가리키는 말은?

당숙

아버지의 육촌형제는 재당숙, 팔촌형제는 삼당숙이 된다.


37. 할아버지의 누이(누나와 여동생)는?

대고모 또는 왕고모


38. 아버지의 아버지의 할아버지는 무엇이라고 부르나?

고조할아버지


39. 아버지의 할아버지는 무엇이라고 부르나?

증조할아버지

아버지→할아버지(조부)→증조할아버지(증조부)→고조할아버지(고조부)→5대조할아버지(5대조)→6대조할아버지(6대조)→…


40. 아버지의 형님이 두 분일 경우 각각 어떻게 불러야 하나?

모두 큰아버지라고 부르거나 첫째 큰아버지·둘째 큰아버지라고 부르면 된다. 아니면 살고 계신 지명을 붙여서 대전 큰아버지, 춘천 큰아버지라고 부른다.


41. 아버지의 친척을 가리키는 말은?

친족

42. 어머니쪽의 친척을 가리키는 말은?

외척

43. 언니의 남편은?

형부

44. 엄마 남자 형제의 부인은?

외숙모

어머니의 형제나 그 부인은 모두 외숙부, 외숙모이다. (어머니의 오빠의 부인이라고 해서 외백모라고 하지 않음)


45. 여동생의 남편을 부르는 말은?

0서방

46. 여자가 같은 항렬의 손위 남자를 이르는 말은?

오라버니 또는 오라버님

47. 여자의 남자 형제들을 두루 일컫는 말은?

오라비

예 : 우리 오라비들은 모두 착해.


48. 옛날에 국가에 큰 죄를 저질렀을 때 삼족을 멸했다고 한다. 이 때의 삼족은 무엇을   가리키는가?

친족, 인척, 외척


49. 외삼촌의 아들이 방학을 맞이해 놀러 왔다. 뭐라고 불러야 하는가?

정식 지칭어는 외종사촌 또는 외사촌이다. 그러나 나이가 자신보다 적으면 이름을 부르고, 나이가 많으면 형 또는 오빠라고 부르면 된다.


50. 우리는 친인척의 관계를 따질 때 촌수를 찾는다. 1촌의 기준은 무엇인가?

부모와 자식 사이.

예를 들어 아버지의 동생은 나하고 삼촌이다. (나와 아버지는 부자사이니 1촌 + 아버지와 할아버지도 부자사이니 1촌 + 할아버지와 삼촌도 1촌 = 3촌)


51. 원래 <형>이라는 말과 같은 뜻으로 쓰던 말은?

언니

초등학교 졸업식 노래에 “빛나는 졸업장을 타신 언니께…”란 가사가 있다. 예전에는 형과 언니가 같은 뜻이었는데, 지금은 여자가 손위 자매를 일컫는 말이 되었다.


52. 자신보다 훨씬 나이 많으신 분에게 길을 물을 때, 적절한 부름말은?

상대방이 남자라면 어르신·어르신네·선생님이라고 부르고, 여자일 경우 어르신·어르신네·할머니·할머님·아주머니·아주머님 등으로 부르면 된다.


53. 장모의 순우리말은?

가시어미 (낮춤말이므로 쓰지 않는 것이 좋다.)

54. 재종형제는 몇 촌인가?

6촌(내종·외종·종형제는 4촌, 3종형제는 8촌)

55. 조상 제사를 지낼 때 <4대 봉사>를 한다고 한다. 4대의 범위는 무엇인가?

아버지, 할아버지, 증조 할아버지, 고조할아버지

즉, 그 집안에 살아 있는 남자 어른을 기준으로 그 사람의 고조할아버지까지 제사를 지낸다는 뜻이다.

56. 질부의 토박이말은?

조카며느리

57. 질서는 누구를 가리키는 말인가?

조카사위

58. 친족 집단 내에서 계보상의 종적인 세대 관계를 나타내는 말은?

항렬

59. 팔촌 형제 사이를 무엇이라 일컫는가?

삼종간

60. 할아버지의 동생을 부르는 말은?

작은할아버지 또는 종조할아버지

한자어만으로는 종조부(從祖父)라고 한다. 종조부는 할아버지의 동생뿐만 아니라 할아버지의 형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작은할아버지가 여럿일 경우 첫째 작은할아버지, 둘째 작은할아버지라고 하든가, 살고 계신 지명을 붙여 부르면 된다.


61. 할아버지 형제분을 통틀어 일컫는 말은?

종조부

62. 현재 자손으로부터 조상으로 올라가면서 세는 단위는?

대를 셀 때는 자신은 뺀다. 그러므로 아버지가 1대, 할아버지는 2대, 증조 할아버지는 3대, 고조할아버지는 4대, 그 이상은 5대조, 6대조 등이 된다. 그러나 5대조이하는 1대, 2대, 3대라고 하지 않고 아버지, 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라고 한다.


63. 형수나 올케의 부모를 부르는 말은?

사장어른

64. 형제간은 몇 촌인가?

2촌(부모, 형제 사이에는 촌수를 따지지 않는다.)

65. 혼인한 두 집의 부모끼리 서로 부르는 말은?

사돈(사둔은 틀린 말)

66. (여자인 경우) 여동생의 남편이 나보다 나이가 많은데도 그 여동생의 남편을 0서방이라고 부를 수 있나?

부를 수 있다. 높이고 싶으면 님자를 붙이면(0서방님) 된다.

67. 62세를 일컫는 말은?

진갑(환갑은 61세)

68. 70세를 보통  7순이라고 한다. 같은 뜻의 다른 말은?

고희(古稀)

69. 99세를 백수(白壽)라고 한다. 88세는 무엇이라고 하는가?

미수(米壽)


70. 결혼한 손아래 시누이를 어떻게 불러야 하는가?

아가씨 또는 아기씨(결혼전과 같음)

71. 군대를 갔다. 김병장이 “박상병 어디 있지?”라고 물었다. “박상병님은 내무반에 있습니다.”라고, <님>을 붙여도 대답해도 되는가?

된다. (어떤 선생님은 압존법에 의해 붙이지 말라고 교육하나 이는 일본 문화의 영향이다. 우리는 자기를 기준으로 해서 높으면 누구든 높일 수 있다.)


72. 평소에 형님이라고 부르던 선배가 내 여동생과 결혼했다. 나는 그 선배를 무엇이라고 불러야 하는가?

매부 또는 0서방

(과거의 관계와 관계없이 여동생의 남편이 되었으면 내 아래 항렬이 된다. 그 선배는 내게 경어를 써야 한다. 그렇다고 내가 하대를 하라는 것은 아니다. 서로 경어를 쓰는 것이 좋다.)


73. 삼촌이 조카와 조카며느리를 어떻게 불러야 하는가?

조카가 미성년일 경우는 이름을 부르고, 성년이 되면 <조카>라고 호칭한다. 아이를 낳았을 경우는 ‘00아비, 00아범’으로 부른다. 조카며느리는 한자어로는 질부(姪婦)이지만, ‘아가, 새아가, 00어미, 00어멈’ 등으로 상황에 따라 부르면 된다.


74. 손위 처남의 아내와 손아래 처남의 아내는 어떻게 부르는가?

손위 처남의 아내는 아주머니이고, 손아래 처남의 아내는 처남댁이다. 부를 때도 그렇게 부르면 된다.


75. 아들 많은 집의 막내며느리일 경우 큰조카가 나보다 나이가 많으면 어떻게 불러야 하나?

조카님이라고 부르면 된다. (큰조카는 내게 숙모님 또는 작은어머니라고 불러야 함)

76. 여자 조카의 남편을 부르는 말은 무엇인가?

0서방, 아이가 있을 경우는 00아비, 00아범

77. 외동딸과 고명딸의 차이는?

                                             외동딸 : 무남독녀(아들은 없고 딸만 1) 

고명딸 : 아들 많은 집의 외딸(예 : 4남 1녀)

78. 장인, 장모를 아버님, 어머님이라고 부를 수 있는가?

부를 수 있다.

전통적으로는 장인 어른, 장모님만 써왔지만 최근 추세에 따라 아버님, 어머님도 일반적으로 표준화되었다. 그러나 장인을 빙장어른, 장모를 빙모님으로 부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빙장, 빙모는 다른 사람에게 자기의 장인과 장모를 지칭할 때 쓰는 말이다.


79. 친구의 아내를 어떻게 불러야 하는가?

아주머니, 아주 절친한 사이일 경우는 이름을 부름(000씨), 00어머니, 부인, 0여사, 또는 직장의 직책(0과장) 등 적절하게 쓰면 된다. 가끔 농담 삼아 ‘계수씨, 제수씨’라고 부르는데, 이런 호칭은 틀린다. 계수씨, 제수씨는 가족끼리만 쓴다.


80. 희수(喜壽)는 몇 살을 가리키는 말인가?

77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