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기즈칸, 몽골의 심장에 우뚝 서다

칭기즈칸 동상을 중심으로 몽골 정부청사와 국회가 들어서 있다. 그 구조가 마치 칭기즈칸을 호위한 듯하다. 칭기즈칸광장은 본래는 수흐바타르광장이었다. 수흐바타르 장군은 몽골을 중국에서 독립시킨 몽골의 또 다른 영웅이다. 그러다가 2013년 칭기즈칸광장으로 바뀌었다가 현재에는 다시 수흐바타르광장으로 바뀌었다..

광장은 광장 역할을 톡톡히 한다. 민주화 요구 등 각종 시위가 칭기즈칸광장을 중심으로 이뤄지는 것. 또한 기억과 만남의 장이기도 하다. 각종 기념할 만한 날에 만나는 약속의 장소로도 통한다. 가령 졸업 25주년이나 30주년을 맞이한 날에 동창생들이 칭기즈칸광장에서 재회를 하는 것이다.

젊은층에선 웨딩 사진촬영의 단골명소로도 두루 쓰인다고 한다. 그러니 칭기즈칸의 존재는 몽골인의 자부심이면서 몽골 국가와 동일시되는 듯하다.

칭기즈칸광장 왼쪽에는 국립역사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이 있다. 국립역사박물관도 칭기즈칸이 중심이다. 전시실을 오르는 메인 통로의 정면에서 칭기즈칸이 계단 아래를 굽어본다. 국립역사박물관은 몽골의 역사와 문화, 생활 방식을 한눈에 볼 수 있다. 몽골의 역사를 시대와 테마별로 전시했다. 칭기즈칸광장에서 기념일에 만난 사람들이 이곳을 이어 찾을 정도로 몽골인에게는 울란바토르 여행 코스의 정석이랄 수 있다.










간당사원, 몽골 티베트불교의 중심 

몽골인들의 종교세계를 확인할 수 있는 곳이 있다. 칭기즈칸광장에서 차량으로 10분 거리에 있는 간당사원이 그곳이다. 티베트(라마) 불교사원으로 500년 역사를 간직했다. 티베트사원에서 떠오르는 둥근 원통처럼 생긴 마니차를 돌리는 것이다. 이 행위는 경전을 다 읽은 것과 같다는 의미다.

마니차를 돌리는 사람보다는 붉은색 나무기둥에 손을 얹고 기도하는 이들에게 눈길이 끌렸다. 입구에서 정문 오른쪽 나무기둥이 그것이다. 알고 보니 간당사원의 500년사는 이 기둥 하나에만 남았다는 것. 사원 모두가 전란 등으로 불탔고 모든 건물은 19세기 초에 재건됐다고 한다.

간당사원은 도심 중심에 있어 찾는 이가 많다. 조금만 지켜봐도 건물 곳곳에 있는 마니차를 돌리는 풍경에 익숙해진다. 여행객들은 자신의 종교에 게의치 않고 마니차를 돌린다. 특히 관세음보살을 모신 본당의 마니차는 인기가 높다 

관세음보살상은 그 높이가 무려 16m나 돼서 모든 소원을 다 들어줄 태세다. 때문에 본당 마니차를 돌리는 행렬은 끊이질 않는다. 이 본당에서 인상적인 표지판이 있다. 본당 오른쪽에 소매치기를 조심하라는 설명이다. 소매치기들이 마니차를 돌리는 데 집중하느라 신경 쓰지 못하는 뒤쪽을 노린다는 얘기다.






복드 칸 겨울 궁전

몽골 울란바토르 남쪽에 세워진 복드 칸국 시대의 궁전이다 

비교적 최근에 건설되었다. 몽골의 마지막 칸 젭춘담바 후툭투(Жавзандамба хутагт) 8세의 궁전으로 1893년부터 1903년 사이에 지었고 20여 년 간 칸이 거주하는 궁궐로 기능하게 된다. 왕정이 폐지되고 나라가 아주 탈탈 털려나간 로만 폰 운게른슈테른베르크 때나 소련의 간섭을 강하게 받던 냉전기에도 파괴를 면했으며 박물관으로 재활용되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름을 보고 짐작했겠지만 여름 궁전도 있었다(이건 완전히 파괴되었다). ···청 등 유목민족 국가의 지도자들은 동날발(冬捺鉢), 하날발(夏捺鉢)이라고 하여 여름과 겨울마다 거주지를 옮겼다.

 

건물 자체도 몽골의 고유 양식이 적용되어 한국이나 중국 등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의 궁전들과는 비슷하면서도 이질적인 양식들이 눈에 띈다. 아닌 게 아니라 단청의 사용 등 중국이나 일본 건물보다도 은근히 한국 고건물과 비슷하게 느껴지는 부분도 많다. 내부에는 티베트 불교 탱화 등 불교 미술품들과 차르가 보낸 금빛 장화, 80마리의 여우 모피로 만든 예복, 눈표범 150마리의 가죽으로 장식한 게르, 몽골 독립 선언서 등의 전시품이 있다.







카페베네에서

전통공연 관람



이동거리 : 430 km

이동시간 : 8시간 40분




마유주는 몽골 유목민들이 즐겨 마시는 전통주이다.

몽골인들이 마시는 술로서는 일반적으로 보드카, 아이락(마유주) 그리고 네르멜(아르히)로 구분하고 아이락은 말젖을 발효 시킨 술로 우리의 막걸리와 맛이 비슷하며 몽골인들은 어려서 부터 마시고 자라기 때문에 마유주가 애착이 많은 전통주이며, 네르멜은 아이락을 증류시킨 술을 말한다.

 

마유주의 제조과정은 우선 말의 젖을 짜고 1차 발효후 다시 2차 발효를 시켜서 마유주를 만드는데, 예로부터 말젖을 말이나 소가죽에 넣어 말잔등에 싣고 이것을 깔고 앉은 채로 말을 타고 달리는 사이 몽골인의 엉덩이 밑에서 저절로 발효되어 말젖술이 되었다고 한다.

 

마유주는 인체에서 요구되는 지방과 단백질, 필수탄수화물 등과 비타민이 풍부하고 영양가가 많아 체력을 개선 시킨다. 또한 고혈압, 심장병, 폐결핵, 위장병 등 각종 질환을 치료하며 성인병, 뇌혈관질환 예방과 어린이의 피부병 치료(목욕)에도 많은 도움을 준다고 한다.















몽골에선 도로를 가로지르는 양·염소·말 등 가축을 자주 마주친다. 여기에선 동물이 먼저다. 차량은 우선멈춤이다. 고비 여행은 긴 시간을 달리는 차 안에서 하늘과 구름, 초원의 동물들을 바라보며 즐겨야 한다. 가끔은 차에서 내려 사진도 담고, 꽃도 따고, 말도 보러 간다. 몽골인은 소변보는 것을 두고 여자는 꽃을 따러 간다고 하고, 남자는 말을 보러 간다고 은유적으로 말한다.







이동거리 : 437 km

이동시간 : 6시간 50분




사슴돌

사슴돌은 청동기 시대와 초기 철기 시대에 몽골과 중앙아시아의 초원 지대에 세워졌던 매우 독특한 거석 기념물이다. 높이는 1~4m로 다양한데, 지금까지 700여기가 확인되었다.

긴 돌을 4면으로 다듬어 무늬를 새겼는데, 대개 상부에는 해와 달 모양의 고리, 하부에는 도끼나 단검 같은 도구를 허리띠에 매단 것 같은 형태로 새기고, 그중간에 양식화된 형태의 사슴을 새겼다. 사슴은 아름다운 뿔과 긴 주둥이, 하늘로 박차고 날아오르는 듯한 힘찬 다리 등을 가지고 있다. 용도는 확실히 알 수 없지만, 매장 풍습이나 조상 숭배 등과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잘 알려진 음식과 음료

몽골의 토속음식은 부재료를 첨가하지 않은 양고기 요리가 대부분이다. 시골일수록 더한데 도시에서는 청 지배 시절 중국음식이 토착화한 고기 만두인 보즈 - Бууз를 판다는 간판이 흔해서 거기서 먹을 수 있다. 부즈 이외의 다른 고기만두로는 물에 끓여 만드는 반시나 양고기를 구워 만드는 요리도 있다. 수프인 랍샤(Lapsha)나 볶음밥 종류인 부다타이 후르가(Budaatai Huurga), 볶음 국수 종류인 초이왕도 있다. 

부즈 이외의 호쇼르는 튀김만두와 비슷하고 고기와 양파를 잘게 썰어 간을 한 속을 밀가루로 만든 피에 싸서 튀겨 먹는 음식으로 부즈 만큼이나 대중화된 간이 음식으로 부즈와 같이 전문점도 존재한다. 

시리얼은 대개 보리로 만들어진다. 대맥으로 만드는 시리얼은 우유나 물에 섞어서 먹으며 설탕이나 밀크 티와 곁들여 먹기도 한다. 매일 먹는 음료로는 소금을 곁들인 수테 차이('우유가 든 차'라는 뜻, '밀크 티')가 있으며 쌀과 고기를 곁들여 진한 죽(zutan)으로 만들어 먹기도 한다. 공산주의 시대 동안 소련의 영향으로 아주 많은 국내 보드카 상품이 몽골 내에 있고 대중적인 편이다. 

큰 찜통의 바닥에 차돌을 깔고 큰 덩이로 뼈째 썰은 양고기와 감자 등의 채소를 약간의 간을 더한 상태로 찐, 허르헉라는 찜요리는 축제나 잔치 때 나누어 먹는 음식으로 보편화되어 있으며, 현재 관광객에게 제공하는 특식으로 유명하다. 이와 유사한 버덕이라는 양고기 대신 염소고기를 구운 차돌을 이용하여 구워먹는 음식이 있는데 허르헉의 경우 조리시간이 4~5시간 소요되며, 버덕의 경우 6시간 이상 소요되기도 하므로 특별한 경우가 아니고는 대중음식으로 칠 수 없는 음식이다.















오랑 터거 화산



온트 여행자 캠프 도착

조식 후 말타기  2 시간

토일로트 통나무집 캠프




유람선 타고 섬에 가기 


















후브스굴 호(몽골어: Хөвсгөл нуур 후브스굴 누르)는 몽골 북서부 후브스굴 주에 위치한 호수로 면적은 2,760km2, 최대 길이는 136km, 최대 너비는 36.5km, 최대 수심은 267m, 평균 수심은 138m, 저수량은 480.7km3이다. 호수 이름은 투바어로 "파란 물"을 뜻한다. 러시아 국경과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며 바이칼 호와 후브스굴 호를 함께 묶어서 "자매 호수"라고 부른다.















이동거리 : 300 km

이동시간 : 8시간 40분



















이동거리 : 83 km

이동시간 : 3시간















이동거리 : 214 km

이동시간 : 8시간

 

 

 

 

 

 

 

 

 

 

 

 

 

 

 

 

 

 

 

 

 

 

 

차강호수 가는길에 만난 협곡인데  촐루트강[촐로강]으로 불리우며 지진으로 생긴 협곡으로, 아래를 내려다보면 얼마나 깊은 협곡인지 오금이 저려온다.

 

 

 

 

 

 

 

허르거분화구

화산활동으로 생긴 분화구는 모두 7개인데, 이 허르거 분화구는 가장 크고 형태가 잘 보존되어 있어 외국인들이 많이 찾는다. 허르거 분화구는 깊이가 150m, 지름이 250m~400m, 주변을 한 바퀴 도는 게 800m정도 돼요. 분화구 경사도는 45도에서 60도가 되는데, 20~30년 전에는 안에 물이 고여 호수가 생기기도 했다고 한다. 화산석이 많아서였을까? 소원하는 것들이 많아서일까? 분화구에 오르는 길은 온통 ‘어워’ 천지다.

 

 

 

 

 

 

 

차강은 우리 말로 '희다(白)'라는 뜻이다. 차강노르는 '하얀 호수(white lake)'라는 뜻으로 제대로 된 명칭으로는 '테르킨 차강 노르'(the lake of terkhiin tsagaan nuur)이다. 차강 노르라는 명칭을 지닌 호수가 다른 곳에도 많기 때문에 테르킨에 있는 차강노르라는 것을 밝혀 말한다. 몽골에서도 흰색은 길한 상을 뜻한다. 우리의 설날과 같은 명절을 몽골에서는 차강사르(흰 달)라고 한다. 재미있는 것은 여자를 '흰 사람'이라고 하는데 비해, 남자는 '검은 사람'이라 한다. 생산과 번영을 중시 여기는 모계중심의 의식이 담겨 있는 듯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