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 가는 길,한국과학자에겐 머나먼 길
日강점기에 39개국 이용권 규제 조약
2008년 02월 29일 | 글 | 박근태 기자 ㆍkunta@donga.com |
 
북극이 보이지 않는 홍역을 앓고 있다. 지구 온난화로 뱃길이 새로 열리고 빙하에 숨어 있던 섬들이 나타나면서 북극을 둘러싼 각국의 치열한 암투가 시작된 것이다.

최근 수년째 북극을 둘러싼 분쟁은 끊이지 않고 있다. 러시아와 덴마크 등 북극 주변 8개 나라는 온갖 수단을 동원해 다른 나라의 출입을 제한하고 영유권을 주장한다.

한국의 과학자들이 북극으로 가는 길도 험난해질 것으로 보인다.

한 극지 연구자는 “원하는 지역에 들어가기 위해 최대 1년까지 기다린 적도 있다”고 한다. 게다가 이런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는 오래된 망령도 맴돈다. 바로 83년 전 체결된 노르웨이 최북단 스발바르 제도의 영유권과 이용권을 규정한 ‘스발바르 조약’이다.


노르웨이 최북단 섬 주변 이용권 규정


스발바르는 노르웨이 최북단, 그린란드 동북쪽 5개 섬으로 이뤄져 있는 제도. 제1차 세계대전 직후인 1920년 전승국들은 북극에서 1000km 떨어진 이 제도를 당시 후진 농업국 노르웨이에 넘기기로 했다.

그 대신 다른 나라에 주변 지역을 마음껏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줬다. 이런 내용을 담아 1925년 발효된 스발바르 조약에는 노르웨이를 비롯해 러시아와 미국, 영국, 아프가니스탄 등 모두 39개국이 가입했다.

그러나 한국은 이 조약에 가입할 수 없었다.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돼 일본에 외교권을 빼앗겼기 때문이다.

광복 후에도 어려운 나라 살림 때문에 잊혀졌던 이 조약이 과학자들에게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불과 10여 년 전. 이제는 한국의 북극 개발을 막는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스발바르 지역에서 조약 가입국과 미가입국의 대우는 거의 하늘과 땅 차이다. 조약 가입국의 과학자들은 아무런 제한 없이 마음껏 연구 및 자원 개발 활동을 벌일 수 있다.

그러나 조약 미가입국인 한국은 훗날 이 지역의 개발에 대한 어떤 권리도 주장할 수 없다.


주변 자원-어장 이용 싸고 가입국들 암투


최근 이 지역에서는 긴장감이 맴돌기 시작했다. 노르웨이 정부가 스발바르 일대 에너지와 어족 자원을 독점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다른 조약 가입국의 반발을 사고 있는 것.

노르웨이를 비롯해 각국이 이 일대에 주목하는 것은 풍부한 자원 때문이다. 캐나다, 그린란드, 아이슬란드 주변 바다의 어획량은 세계 어획량의 37%에 달한다.

또 이 일대 바다 밑에는 전 세계 석유 부존량의 20% 정도가 묻혀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러시아 오호츠크 해에서 가스 하이드레이트를 연구하는 진영근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요 몇 년 새 북극 주변에 감도는 이런 긴장은 뚜렷이 감지된다”고 말한다. 메탄 덩어리인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태우면 고온의 열을 내는 미래 에너지원. 저온 고압 환경의 수심 500∼700m 바다에서 발견되는데 북극에선 300m에서도 발견된다. 유엔환경계획은 지난해 가스 하이드레이트를 채굴하는 데 가장 경제성이 좋은 지역으로 북극을 꼽았다.


정보 공유 위해 북극위원회 등 가입 노력 시급


북극을 둘러싼 분쟁은 지구 온난화 때문에 더 늘고 있는 형편이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지난해 여름 북극 빙하 부피는 2003년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덴마크와 캐나다가 그린란드의 나레스 해협과 캐나다 북부 엘즈미어 섬 사이에서 발견된 한스 섬을 두고 20년째 영유권 다툼을 벌이고 있는 것도 지구 온난화의 결과다.

한국도 2002년 노르웨이령 뉘올레순에 다산 과학기지를 세우고 정보 수집에 나서고는 있지만 크게 뒤져 있는 상황이다.

한국이 북극과 관련해 가입한 국제기구는 협의체 수준인 국제북극과학위원회와 뉘올레순기지운영위원회에 불과하다. 북극에 관한 알짜배기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북극위원회에는 가입하지 못하고 있다.

서현교 극지연구소 연구원은 “북극에서 자유로운 연구와 자원 개발 활동을 벌이는 데 한국 연구자들은 제한을 받는 실정이다”라며 “스발바르 조약과 북극권 8개국이 주도하는 북극위원회에 옵서버 국가로 참여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