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도곽
지도 내용을 둘러싸고 있는 2중의 선을 도곽선이라고 한다. 안쪽의 것을 내도곽, 바깥쪽의 것을 외도곽이라 한다.① 내도곽
도엽의 가장자리로서 횡단메르카토르 도법에 의한 경·위선으로 결정한다. 내도곽 각 변과 모서리에는 지리좌표, 평면직각좌표, 도로·철도의 도달주기 등이 기재되어 있다. 평면직각좌표는, 1km 간격으로 나누어 검은 단선(短線)이 직각으로 표시된 분구선(分區線, tick)으로 표시되어 있다.
② 외도곽
외도곽은 내도곽의 밖에 1.0cm 사이를 두고 내도곽과 평행한 한줄의 가는선(3호선)과 다시 1.0mm 바깥에 그은 굵은선(1.0mm)으로 표시되어 있다. 육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섬 등은 분도(삽입도)로서 다른 도엽 안에 포함시킨다.
![]() |
[그림 9] 분도의 예(1:25,000 지형도 ‘울릉’ 도폭) |
출처 : ♣━┏Life is cool ┓
글쓴이 : James 원글보기
메모 :
'잡동 사니 > 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7. 평면직각좌표 (0) | 2012.10.09 |
---|---|
[스크랩] 6. 지리좌표(경도와 위도) (0) | 2012.10.09 |
[스크랩] 4. 도엽종류 (0) | 2012.10.09 |
[스크랩] 2. 도엽명칭 (0) | 2012.10.09 |
[스크랩] 정식(난외주기)이란? (0) | 2012.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