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일

2007년 1월 16일(화요일)

  • 출발지 : 카트만두 로얄 신기 호텔
  • 경유지 : 카트만두 국내선공항 - 보드나트(Bodhnath)
  • 도착지 : 카트만두 안나푸르나 호텔

 

04:35

   모닝콜  밤새 서너 번 잠을 깼으나 잘 잤음.

- 호텔 아침 부페식 빵

 

05:40

   공항으로 출발. 안개가 끼어 걱정

 

06:00

   공항 도착. 날씨가 쌀쌀함. 다른 트레킹 팀들. check in 엄격함.

          Yeti Airlines 2대가 먼저 가고 나중에 한 대 Yeti Airlines OY-111

          6시 45분 비행기 8시 30분으로 출발 연기

          아이들 놀이, 공안요원 구경

          계속되는 연기, 안개는 걷힐 줄 모르고, 쌀쌀한 날씨. 반팔. 냉장고 magnetic 4개 1,000루피에 구입



 

10:00

   안개가 걷히고 해가 났다. 대장님이 루크라에는 비가 오고 남체에는 눈이 온다며 11시로 이륙이 연기되었다고 함. 그 때에도 떠날지는 미지수. 옷을 부실하게 입어서 그런지 추움.

         비스켓 450루피에 구입.

         비행기 연착 12시 30분으로. 포카라행 비행기는 떠나고.

 

13:20

   비행기 캔슬. 트레킹을 좀솜 지역으로 변경 가능성

 

14:20

   공항에서 철수. 3일째 루크라행 비행기 경항




 

14:40

   안나푸르나 호텔 옆 식당 - 점심(닭고기, 채소, 국소, 볶음밥

         - King's Way(왕궁을 보는 도로), 중심가

         - 왕궁: 쿠데타 사건, 세계 갑부, 친위대 장갑차 한 대. 엽총에서 M16으로. 친위대 7만명 정도, 반군이 싫어함. 왕궁 둘레 4km.

         - 카트만두는 분지로 물사정이 안 좋음. 요즘 날씨는 건기라 쾌청해야 하는데 기상이변임

         - 점심 후 미팅: 트레킹 지역을 좀솜으로 확정





 

15:30

   버스로 시내관광 출발

 

16:00

   티벳사원. 시계방행으로 돌 것. 마니차 돌리기

         - 시장, 도로위 난전. 대졸자 한 달 월급 3만 5천원, 행복지수 세계 2위

         - 빗(10루피), 장갑(40루피)

         - 중앙선이 없는 도로, 오토바이(헷멧)








 

17:00

   관광 후 집합 버스로 안나푸르나 호텔 도착(왕궁 소유)

 

18:00

   방 배정 1055호. 고급 호텔

         - 무질서 속의 질서. 개들 많음

19:00

   라운지 미팅 후 저녁식사 하러 감 - 내일 6시 기상, 6시 30분 아침, 7시 출발

          - 한국음식 식당 Villa Everest: 된장국, 김치찌개, 콩나물, 두무무침, 김치, 오이무침, 배추겉조리 등

          - Thamel 거리: 관광객들이 모이는 거리, 마사지, 댄스바, 핀조네 집(아내 미인)

          - 선물가게 많음: 양모(cashimir 제품)가 선물에 좋음

          - 툼바, 사람이 많아 먼저 럭시를 타고 호텔로, 골목길을 달리는 솜씨 좋음, 조금 불쌍함, 100루피(3$)


 

 21:00

   호텔로 돌아와 휴식

 

보드나트(Bodhnath)

 

네팔에서 가장 높은 사리탑으로, 티베트네와르족() 불교신자들의 숭배지이다. 고대 카트만두와 라싸 사이의 고대 무역로로 사용되었던 차바힐(Chabahil) 동쪽 1km 지점에 있으며, 높이는 38m이고 기단의 높이만 36m에 이른다.

5세기경에 축조되었으며 티베트 불교의 영향을 받았다. 티베트인()들은 탑이 카트만두 계곡의 모든 기운이 모이는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고대 부처의 사리가 묻혀 있다고 믿어 왔다. 탑은 4개의 방형() 기단부 위에 세워져 있으며, 돔과 정상부 사이에는 13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첨탑이 있는데, 이것은 깨달음을 얻기 위한 13단계를 상징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에 따라 탑 이름을 'Bodh(깨달음)의 Nath(사찰)', 즉 보드나트(Bodhnath)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전설에 따르면, 천민인 자드지모(Jadzimo)가 부처에게 공양할 것을 찾다가 왕의 허락을 받고 짓기 시작하였는데, 지방 귀족들이 천민이 탑을 건설하는 것을 못마땅하게 생각하여 탄원하였으나 왕은 "한번 허락된 것은 철회할 수 없다(Jarung Kashor)"라고 말하며 거부하였다고 한다. 또한, 훗날 자드지모의 공덕으로 그의 아들이 8세기 티베트 불교를 확립한 왕으로 환생하였다는 전설도 있다.

네와르족의 연대기에 따르면, 15세기 후반에 마나데바(Manadeva) 왕이 아버지를 살해한 후 속죄를 위해 건립하였다고 하며, 한 여인이 왕에게 사리탑을 지을 땅을 허락받아 지었다는 전설도 전해진다.

 

 

 

 

옴마니반메훔(Om mani padme hum)

 

 

 

김무생/ 위덕대 불교대학원장

요즈음 '옴마니반메훔(Om mani padme hum)'이라는 진언이 방송매체를 타고나서 세인의 관심을 증폭시키고 있다. 진언(眞言)은 불교에서 깨달음의 심경을 즉시적으로 표현한 말을 가리킨다. 사람은 다른 어떤 방법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것을 상징이라는 방법을 통하여 그것을 표현한다. 진언은 바로 상징적인 말, 즉 상징어인 것이다.

   불교에서는 수행이 깊은 사람의 깨달음을 상징적인 말로써 표현한 많은 진언이 있다. 상징어는 그 속에 많은 의미를 함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즉 진언은 깨달음의 심경 등, 팔만사천 경전의 의미를 축약적으로 담고 있다. 그래서 다라니(摠持)라 부르기도 한다.

   그리고 사람들이 진언을 염송(외움)함으로써 마음의 안정(선정)을 얻게 되고, 진언이 담고 있는 깨달음의 심경, 또는 경전의 의미를 직관적으로 체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불교의 진언 중에서 가장 보편적이고 으뜸 되는 진언이 '옴마니반메훔'이다.

'   옴마니반메훔'은 육자대명왕진언(六字大明王眞言) 즉 여섯 자로 된 가장 밝고 최고인 진언이라 불린다. 육자진언은 대승장엄보왕경(大乘莊嚴寶王經)이라는 경전에서 설하고 있는 진언이다. 이 경전은 10세기 전후에 성립된 것으로 보기 때문에, 육자진언은 10세기경 현존의 형태로 완성되었다.

   이 경전은 육자진언을 관자재보살의 미묘본심(微妙本心)이라고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보통 육자진언을 본심진언(本心眞言)이라 부르고 있다. 또는 이 육자진언은 관자재보살이 가지고 있는 진언이라는 뜻에서 관세음진언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미묘본심은 부처님의 깨달은 마음을 말하기 때문에, 모든 부처님을 총괄하는 비로자나(毘盧遮那)부처님의 진언으로서 보통 신앙되어 왔다.

   육자진언은 지금까지 확인된 연구로는 고려 중기(1157)에 우리 나라에 수용되어, 몽골족 침입 이후 크게 신앙되었다. 육자진언이 가장 널리 신앙되고 있는 곳은 티베트인데, 티베트는 실질적으로 10세기 이후부터 육자진언을 크게 신앙하여 왔다. 그리고 티베트 불교를 신앙하는 몽공족이 우리 나라에 침입한 후 크게 신앙된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 육자진언은 범종, 향완, 단청 등에 빠짐 없을 정도로 사용되고, 일상의 신앙 생활에서 가장 많이 신앙된 진언중의 하나가 되었다.

   육자진언이 이처럼 신앙된 것은 이 진언의 상징 의미 때문이다. 앞의 대승장엄보왕경은 육자진언이 모든 대승경전중에서 정순미묘(精純微妙)한 것이라 하고, 육자진언은 정미(精米, 白米)와 같고 다른 것은 강피(糠皮, 껍질)과 같다고 말한다. 그리고 육자진언을 염송(외움)하면 한량없는 지혜와 자비심을 얻게 되고, 금과 보배로써 무수한 불 보살을 조성하고 공양하는 공덕 보다 더 많은 공덕을 받는다고 하고 있다. 이것은 육자진언이 불교 가르침의 핵심적인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육자진언은 '온 우주(Om)에 충만하여 있는 지혜(mani)와 자비(padme)가 지상의 모든 존재(hum)에게 그대로 실현될지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곧 육자진언을 염송하면 법계(우주)에 두루한 지혜와 자비가 수행자에게 실현된다는 것이다. 본래 옴(Om)은 태초 이전부터 울려오는 우주의 소리(에너지)를 의미하여 보통 성음(聖音)이라 한다. 그리고 마니(mani)는 여의주(如意珠)로서 깨끗한 지혜를 상징하고, 반메(padme)는 연꽃으로서 무량한 자비를 상징한다. 마지막으로 훔(Hum)은 우주의 개별적 존재 속에 담겨 있는 소리를 의미하며, 우주 소리(Om)를 통합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육자진언을 염송하면 사람의 내면적 에너지(지혜)와 자비)를 활성화시켜서 우주의 에너지와 통합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육자진언은 수많은 세월 동안 많은 수행자들이 지속적으로 체험하여 축적된 깨달음의 심경을 함축적으로 표현한 소리, 진언인 것이다. 그 때문에 육자진언의 염송(외움)은 법칙에 따라서 해야 그 공덕을 입을 수 있다. 즉 진언이 가지고 있는 진동(vibration)에 맞게 염송해야 하고, 마음으로는 진언의 상징의미를 체험적으로 느껴야 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양약이 비상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현재 한국에는 통일불(統一佛)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을 근본 부처님으로 삼고, 모든 진언의 근본 진언인 육자진언의 염송을 수행의 중심으로 하는 불교진각종(佛敎眞覺宗)이 있다.

 

마니차

마니차, 티벳에 가면 맨 처음 사람들이 원통형으로 생긴 금속 통을 열심히 돌리는 모습을 보고 어 저게 뭐지 한다. 그 크기도 다양해서 아주 작은 것부터 저걸 어떻게 들고 다니지 할 정도의 크기가 있다. 그런가 하면 사원입구엔 아주 거대한 직경 2m 이상 길이 4m이상 되는 것도 있다. 그리고 사원 밖 벽면에 수없이 많은 원통형 마니차를 돌리는 사람들을 시계방향으로 따라가다 보면 어느덧 사원을 한바퀴 돌고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원통은 위가 동그랗고 실린더 형태이고 그 가운데는 축이 있고 손잡이가 원통 아래에 있다. 그리고 통이 잘 돌도록 원통과 손잡이 사이에는 조개 껍질로 만든 하얗고 동그랗게 생긴 원형 디스크가 끼워져 있다. 그리고 원통에 연결된 사슬은 추와 연결되어 돌리기 쉽게 되어 있다. 허나 처음에 돌리면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거나 잘 돌지 안는다. 재질에 따라 청동으로 만든 것도 있고 가죽 또는 양철로 된 것도 있다. 겉에는 주로 옴마니 받메흠이란 글씨가 세 겨져 있다. 연꽃 속에 핀 보석이라고 직역할 수 있다.

소형 마니차 (투제첸포)는 작은 것은 주머니에 넣고 다닐 수 있고 큰 것은 어깨에 매어야 될 정도도 있다. 그리고 요즈음에는 그 크기가 점점 커지는 추세인 것 같다. 70노인이 그 큰 마니차를 돌리며 거리를 다니거나 일을 할 때 항상 돌리고 있는 모습을 보면 굉장한 공력이라는 걸 느낀다. 또한 어떤 마니차에는 노란 천이 통 위로 부 터 내려져있고 빙 돌려져 바람이 불면 그 힘으로도 원통을 돌린다

제일 중요한 것은 그 원형 통 안에는 탄트라 경전이 있는대 돌돌 말려져서 두루마리 형태로 축을 중심으로 원통 안에 있다. 그래서 한번 그 마니차를 돌리면 한번 경전을 읽는 것과 다름이 없다. 그리고 사람들은 옴마니 받메흠을 독송하며 시계방향으로 사원을 돌거나 자기 일을 한다.

고정된 중형이나 대형의 마니차(던코르) 는 사원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모든 마니차는 시계방향으로 돌리며 수행자 역시 시계방향으로 사원을 돈다. 그리고 거대한 마니차를 힘겹게 돌리는 순간 다른 사람이 도와주면 굉장히 빠르게 돈다. 그리고 원통형 맨 위에 막대기가 종을 쳐서 한바퀴 돌 때마다 소리가 난다.

사원 안 벽면에는 중간 크기의 마니차는 적게는 10여 개에서 많게는 200개가 넘게 즐비하다. 한 지상에서 1.2m위에 매달려있으며 밖에 있는 관계로 가끔씩 기름을 연결 부위에 부으며 쌀 또한 올려놓는다. 어떤 통에는 까닥이 메여있다. 소망을 빌거나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비는 뜻이다.

어떤 마니차는 물의 힘으로 간다. 시냇물이 있는 곳에서는 통 밑에 물레바퀴를 달아서 물의 힘으로 통을 돌게 한다. 하루종일 쉬지않고 그 지역에 있는 사람들은 경전을 읽는 것과 같다. 또한 사원 안에는 불의 힘으로 도는 마니차도 있다. 유리 케이스에 밑에는 등잔불이나 촛불이 있고 바람개비처럼 생긴 원형 꼬깔 이 더워진 공기로 돈다.

 

룽다(Lungda)와 타르초

   룽다란 '바람'이란 뜻의 '룽'과 '말'이란 뜻인 '다'가 합쳐진 티베트 말이다. 룽다는 긴 장대에 매단 한 폭의 길다란 깃발이고 타르초는 긴 줄에 정사각형의 깃 폭을 줄줄이 이어달은 것으로 만국기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다. 룽다는 말 갈퀴가 휘날리는 모습을 뜻하는데 히말라야의 산언덕이나 산간마을의 어귀에 어김없이 바람에 나부끼는 룽다의 깃발은 정말 그렇게 보인다.
   룽다에는 '옴마니 반메흠' 같은 만트라, 경문이 가득 씌어있다. 진리가 바람을 타고 세상 곳곳으로 퍼져서 모든 중생들이 해탈에 이르라는 히말라야 사람들의 염원이 담긴 것이다. 그래서 룽다의 천으로 된 깃발은 형체가 닳아 없어질 때까지 그대로 놓아둔다.

 

 

 

 

 

 

 

 

출처 : Easy English Grammar
글쓴이 : 이효정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