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클라이밍 유럽 최고봉 엘브루즈 원정
산 행 지 : 러시아 볼쇼이 코카서스 산맥 엘브루즈(5642 m)
산행기간 : 2012년 7월 31일~8월 9일(9박 10일)
등반루트 : 남면 노멀루트
배럴산장(3,700 m) -> 푸리웃 산장(4,100 m) -> 파스트초브 바위(4,620 m)
-> 새들(5,300 m) -> 서봉정상(5,642 m)
대원소개 : 원장 대장 : 정창호(60),
등반 대장 : 박종익(50)
대 원 : 민양식(58), 신철기(56):식량, 김태수(55):의료, 최승원(53),
윤석완(53), 이대영(52), 이범훈(51):기록
등반목적 : 고산 정상 등반 능력 배양
고소 적응 능력 향상
7월 31일 12시 50분 인천공항 출발
17시 15분 러시아 항공인 아에로플로트(AEROFOLT) 항공 이용 약 9시간 30분 만에 모스크바
세르메치예보공항(D)에 도착(시차 -5시간)
8월 5일 엘브루즈 정상 공격
8월 9일 귀국
- 날씨 : 맑음(서울), 맑음(모스크바)
->10:10 윤석완, 최승원 대원과 만남
->12:50 인천공항 이륙(러시아 에어로포트 항공)->->17:00 착륙(러시아, 세레메체보공항(D))
인천에서 모스크바까지 비행시간 약 9시간 25분
러시아 모스크바 공항에 도착 어디가 입국 수속을 밟는 곳인지 몰라 헤메이다가
공항앞에서
공항에서 숙소까지 약 17 km가 떨어져 있다고 하는데 극심한 교통체증으로 1시간 30분이 걸렸다.
심할때에는 4~5시간 걸리기도 한다고 한다. 이곳이 이렇게 극심한 교통체증이 일어나는 이유는 어느나라나 마찬가지로 차량의 증가가 첫번째 원인이며, 두번째로는 교통사고가 발생하면 차선이 어디이던간에 경찰관이 나타날때까지 사고 현장을 그대로 유지하는 러시아 인들의 습성도 한몫한다고 한다. 실제로 사고 현장을 보니 두 운전자가 차안에서 가만히 앉아 경찰관을 기다리고 있었다. 경찰관이 도착하면 운전자를 한사람씩 구석으로 데려가 대화를 나누는데 밑거나 말거나 두 운전자중 조금이라도 돈을 많이 건내는 사람쪽 손을 들어준다고 한다.
숙소에 도착하여
80년 모스크바 올림픽 당시 선수촌으로 건립되었던 이즈마일로보(IZMAILOVO 알파) 호텔에서 휴식
80년, 84년 이념전쟁으로 반쪽짜리 올림픽을 치뤄야 할 때 선수숙소로 사용하였던 곳을 리모델링하여 호텔로 사용한다고 한다.
러시아인들의 자존심인지 특히나 이곳에서는 영어 알파벹을 찾기가 힘들다.
그래서인지 우리나라 베낭여행객들이 최종적으로 찾는 나라중에 하나이기도 하다고 한다.
러시아를 방문한는 모든 사람은 최소한의 러시아인들과 대화에 필요한 문장은 적어와야 여행하는데 그나마 약간의 도움이 될 것이다.
05시 15분 모스크바 공항으로 출발을 위하여 호텔을 나서며
06시 19분 탑승수속을 밟고 있는 이대영 대원
김태수/정창호
신철기
스타브로풀 주, 미네랄리니예 보디 공항 도착
영어 가이드 미팅 후 차량이동(약 3시간)
영어 가이드이지만 영어구사능력은 그리 썩 좋아보이지는 않았다.
그래서 산행기간 내내 의사소통 문제로 참으로 고생을 많이 하였다.
테스콜로 향하는 중
길 양옆에 끝없이 펼처진 해바라기와 옥수수 농장이 우리를 반겨준다.
해바라기를 찍기 위해 잠시 길가에 주차하고
카바르디노-발카리야 자치공화국 박산계곡의 체겥 Volfram Hotel 도착
자작나무 숱으로 고기(샤슬릭)를 굽기 위하여 어느 식당앞이건 이렇게 자작나무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문제라면 이곳 음식이 너무 짜다는 것
'해외 등반 및 트레킹 > 엘브루즈 원정(2012-08)'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08-06 가라바쉬에서 다시 체겥으로 (0) | 2012.08.13 |
---|---|
12-08-05 엘브루즈 정상 도전 (0) | 2012.08.13 |
12-08-04 고소적응을 위하여 파스트쵸브 바위(4,690 m)까지 산행 (0) | 2012.08.13 |
12-08-03 체겥-아자우-가라바쉬-고소적응 산행(4,400 m) (0) | 2012.08.13 |
12-08-02 테스콜 피크 고소적응 산행 (0) | 2012.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