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절- 어른의 관절은 재생되지 않는다
※ 하산시 보행방법이 관절 손상에 중요한 관건..
사람은 누구나 완벽한 한 세트의 뼈를 갖고 다니면서도 노출된 남의 뼈는 끔찍해 한다.
이런 모순속에 등산에 관계되는 해부학 분야중 하나가 소위 관절학이라는 분야가 아닐까 한다.
등산은 심폐기능을 훈련하는 육체운동과 정신을 맑게하는 정신운동의 복합운동이다. 그러나 모
든 사람이 등산 중 가벼운 관절의 손상을 받아 본적이 있으리라 생각된다.
관절이란 골격뼈가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이 서로 이어져 있는 부분을 말한다. 관절에서는 연결된
뼈 사이에 관절 운동이라는 움직임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이 중 우리가 흔히 손상에 노출되는
관절은 무릎관절과 발목관절이다.
※ 보폭 줄이고 배낭은 가볍게..
관절의 손상은 등산보다는 하산 할 때 많이 발생한다. 왜냐하면 등산 할 때 사용하는 관절과 하
산 할 때 사용하는 관절의 종류와 충격량이 다르기 때문이다. 우리가 평지를 걷는 모습을 슬로
모션으로 본다면 앞에 놓이는 발은 뒤꿈치 부터 서서히 앞바닥까지 닿는다. 이때 발 뒤꿈치는 뼈
와 피부사이에 강한 충격도 흡수 할 수 있는 지방층이 있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문제가 되지 않는
다.
그러나 달리기나 등산을 할 때에는 단위 시간당 충격량이 증가한다. 등산시에는 중력에 역행하
여 올라가는 과정이라 속도가 느려지고 동시에 앞에 놓이는 발의 바닥이 전면에 걸쳐 거의 동시
에 서서히 긴 시간에 걸쳐 땅바닥에 닿기 때문에 단위 시간당 충격량을 계산해 보면 거의 제로
에 가깝다. 단지 힘만 들뿐이다.
또 근육의 수축을 보더라도 무릎 관절이나 발목 관절 보다는 엉덩이 관절(고관절 몸통과 다리 사
이의 관절)에서 왕성한 운동이 발생한다. (근육을 만져 단단하게 되어 있으면 수축된 것임)
엉덩이관절 무릎관절 발목관절의 순서대로 주변을 싸고있는 근육의 양이 달라 강도도 이의 순서
로 변한다. 그러나 하산시에는 앞발을 쭉 뻗어 발 앞바닥이 먼저 닿고 뒤꿈치가 나중에 바닥에 닿는다.
또 한 체중에 중력이 실려 관절의 충격량이 등산시나 평지 보행시 보다 한결 많다. 이때 관절이
정상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운동 범위보다 과도하게 힘이 가해지면 관절을 보호하는 인대가 손
상 받던가 인대가 부착된 뼈의 골절이 된다.
이런 손상을 막기 위해서는 하산시 보행 습관이 매우 중요하다. 보폭을 줄이고 배낭은 꼭 필요
한 물품만 넣어 가볍게 하도록 한다. 그리고 장기적으로는 체중을 줄이고 지팡이나 스키 스톡을
사용하여 충격량을 분산시킨다.
체중 70kg인 사람이 다리를 한 스텝 옮겨 놓을 때 다리 한 쪽 무게 만큼의 약 10kg을 뺀 60kg이
관절에 충격량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체중이 20%쯤 늘어나 84kg가량 되었다고 하자. 체중은 늘
어도 다리의 근육량은 증가할 리 없으니 다리 한쪽 무게 약 10kg을 뺀 74kg만큼이 충격량으로
전달된다. 즉 늘어난 체중 14kg이 고스란히 관절에 전달된다.
이 때 체중의 부하가 관절에 걸리는 양은 (74-60)/60×100=23.33%가 늘어난 셈이 된다. 즉 체중
은 20% 늘었지만 관절에 가해지는 충격량은 23%가 늘어나 체중의 증가보다도 더 많이 손상을
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중년기 이후 등산은 체중 조절부터 시작해야 관절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 실족시 관절 충격 치명적
배낭을 지고 바윗길을 뛰다시피 내려가는 사람들이 많은데 그러면 무릎 관절에 엄청난 충격이
가해져 결국 언젠가는 관절이 손상을 입게 된다. 산 길을 올라갈 때보다 내려갈 때 오히려 더 느
리게 걷는다는 마음자세가 특히 중년이 넘어선 이들에게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등산화도 적절한 것을 잘 골라 신어야 한다.
등산화는 반드시 발목 위를 덮어야 하고 가죽과 같이 딱딱한 재질로 되어야 힘을 분산시킬 수 있
다. 농구화처럼 천으로 된 것은 관절보호 효과가 적다. 등산화 뒤꿈치 안쪽 깔창의 재질도 또한
중요하다.
스펀지 콜크 및 공기 주머니 등의 재료가 충격량을 줄여주는 데 효과적. 요즘 시판되고 있는 무
릎 관절 보호장치는 별로 효과적이지 못하다. 고무줄이 삽입된 천이 고작이다 미끄러지는 경우
발바닥 뒤꿈치로 온 충격이 허리관절로 직접 전달되어 손상을 받을수도 있다.
그러므로 등산화 바닥은 요철을 넣어 낙엽이나 눈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안된 것이어야 한다.
테니스화와 같은 운동화는 등산에는 매우 부적당하다.
무릎관절과 발목관절은 해부학적으로 윤활관절이라고 하는데 이는 두뼈 사이의 공간이 존재하
고 윤활액이라는 액체가 고여 있어 자유로운 운동성을 부여한다. 따라서 두 뼈는 약간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이를 보호하기 위해 바깥은 질긴 섬유로 된 관절 주머니라는 자루 모양의 구
조물로 둘러 싸고 있다.
이 관절 주머니는 두 개의 층으로 되어 있는데 겉은 결합조직이라는 섬유막 속은 윤활막으로 구
성된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관절에 물이 고인다고 하는 것은 윤활액의 양이 증가된 상황이다.
이 윤활액이 바로 윤활막에서 생성되고 청소도 되며 윤활막으로 흡수되어 일정량의 액체가 항
상 관절 공간을 이룬다.
하산 후 무릎 관절이 아프고 붓거나 손으로 만지면 뜨거운 경우는 내부적으로 물리적으로 관절
이 손상을 입은 것이므로 가벼운 휴식으로 회복이 된다. 그러나 장기간 통증이 지속되면 전문의
의 상담과 치료를 필요로 한다.
관절 양쪽 뼈의 끝은 초자연골에 의해 덮여 있는데 어린이는 재생이 잘 된다. 그러나 어른의 경
우 재생이 잘 안되는데 그 이유는 초자연골에 혈관이 없어 혈액공급이 안되는 한편단지 활액막
으로 부터 확산된 성분만이 연골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절은 재생이 안되고 평생에 한 번밖에 사용할 수 없는 부위이니 조심스럽게 아껴 사용
해야한다. 600만불의 사나이의 인공관절도 생체의 관절에 비교하면 조잡한 것이다. 또다른 관절
을 보호하는 장치는 인대다.
인대는 인접한 뼈 사이에 짧게 그리고 질기게 부착되어 탈골을 막아주는 장치다. 일반적으로 인
대가 늘어나거나 찢어진 경우 통증과 붓는 증상을 동반한다. 이 인대가 다칠 경우에 대비해 등산
시 진통제인 아스피린 정도는 상비하도록 한다.
발목관절 손상의 경우 등산화를 벗기고 찬물 찜질을 하여 붓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한편 손상부
위가 심장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시키면 다소 붓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일단 손상된 관절은 자꾸
움직이면 손상의 정도가 커지므로 피한다. 특히 골절을 동반한 경우 피부 밑 점상출혈이 보이는
데 이 때는 부목으로 고정시켜 뼈조각에 의한 2차 손상을 예방한다.
가벼운 경우 침구술에 의해 진통의 효과도 볼 수 있으나 찢어진 조직이나 내부출혈은 치유가 되
지 않는다. 그러므로 일단 급성기가 지난 24시간 이후에는 더운 찜질을 하여 장기적으로 원할한
혈액 순환에 의해 조직이 재생되기를 기다린다.
'잡동 사니 > 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좋은양말 고르기 및 신는 법 (0) | 2007.09.18 |
---|---|
[스크랩] 올바른 스틱 사용법 (0) | 2007.09.18 |
[스크랩] 여름철 등산준비 이렇게 하자! (0) | 2007.09.18 |
[스크랩] 여름철 등산준비 이렇게 하자! (0) | 2007.09.18 |
[스크랩] 산에서 걷는 기술 (0) | 2007.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