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되는 나, 잘되는 너



몽상이 아닌

꿈을 꾸는 사람과 어울려야 한다.

거대한 목표를 세우고 위대한 일을 이루려는 사람과

가까이하면 우리도 그렇게 된다. 우리가 잠재력을

온전히 발휘하도록 도와줄 사람을

사귀어야 한다.



- 조엘 오스틴의《잘되는 나》중에서 -



* 꿈도 전염이 됩니다.

좋은 꿈을 가진 사람과 어울리면 좋은 꿈의 소유자가 되고,

그 꿈이 이루어져 가는 것을 내 일처럼 도와주면

자신의 꿈도 어느덧 현실로 바뀝니다.

나도 잘 되고, 우리도 잘 됩니다.

출처 : 直指 BADMINTON CLUB
글쓴이 : 박종익 원글보기
메모 :
[리치 사이언스] 소머즈는 바가지를 썼을까?
2008년 03월 31일 | 글 | 김상연 기자ㆍdream@donga.com |
 
케이블TV에서 최근 ‘바이오닉우먼 소머즈’라는 이름의 미드(미국드라마)가 방영을 시작했습니다. 1976년 미국에서 처음 방송을 탔던 ‘소머즈’를 현대에 맞춰 재탄생시킨 거지요.
과학동아는 마침 4월호에 ‘2030 바이오닉맨’이라는 주제로 특집기사를 썼습니다. 천리를 내다보는 눈, 듣고 싶은 소리만 골라 듣는 귀, 철근을 솜털처럼 들어 올리는 팔과 다리 등 의공학자들이 앞으로 20년을 목표로 진행하고 있는 연구들이지요.

제가 재미있게 본 건 뇌입니다. 단기 기억을 장기 기억으로 바꿔 주는 기관인 해마를 인공해마로 대체하거나 컴퓨터와 연결하면 뇌의 기억용량이 획기적으로 늘어난다고 하네요. 미래가 궁금하신 분들은 어서 서점이나 인터넷 서점으로…^^.

다시 코너 본연의 자세로 돌아와서 돈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1976년 소머즈를 만든 비용은 600만 달러(60억 원)입니다(쉽게 말하면 600만불의 사나이에 이은 600만불의 아가씨겠죠). 그런데 2008년 소머즈는 5000만 달러(500억 원)입니다. 아니 이런. 시간 좀 흘렀다고 가난한 소머즈에게 10배나 되는 바가지를 씌우다니….

과연 소머즈는 바가지를 썼을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1972년에서 32년이 흘렀는데 그새 물가가 그만큼 오른 거지요. 아니 물가가 이렇게 오를 수 있냐고요?
만일 물가 인상율이 3%라면 올해 100원 하는 물건은 내년에는 103원이 됩니다. 이듬해에는 106.09원이 됩니다. 그 이듬해에는 109.27원이 됩니다. 소수점 이하로 이상하게 따라붙는 녀석들이 있죠? 그게 바로 복리에 의한 효과입니다.

이자만 복리가 있는 게 아닙니다. 사실 물가는 가장 대표적으로 복리로 늘어나는 돈입니다. 처음에는 별게 아닌데 시간이 많이 흐르면 어마어마한 숫자로 불어납니다. 그래서 아인슈타인은 복리를 8대 불가사의라고 불렀지요.

소머즈를 만든 비용을 물가를 고려해 계산해 봅시다.
소머즈는 두 다리, 팔 하나, 귀 하나, 눈 하나를 인공장기로 바꿉니다. 원작에 비해 눈이 늘어났습니다. 600만 달러일 때 장기 하나를 150만 달러라고 한다면 2008년 소머즈는 1976년 기준으로 750만 달러가 들어간 셈입니다(눈 하나 추가…어째 으스스)

1976년 이후 평균 물가 인상율은 아쉽게도 잘 모릅니다. 올해 정부 목표가 3% 대인데요, 여기에 맞추면 <750만 달러 * 1.0332 = 1931만 달러>입니다. 하지만 요즘은 역사적으로 저물가 시대입니다. 만일 5%라고 하면 3574만 달러가 나옵니다. 6%라고 하면 4840만 달러입니다. 실제 들어간 돈과 거의 비슷합니다(물가가 복리가 아닌 단리로 오르면 2190만 달러가 됩니다). 7%라고 하면 소머즈는 횡재했습니다.

게다가 소머즈에는 나노기술 등 현대의 온갖 첨단 기술이 적용됩니다. 원작보다 확실히 성능이 좋아 보이지 않습니까? 그러니 소머즈가 바가지를 쓴 건 아니지요. 물론 돈은 소머즈 뒤에 있는 비밀단체에서 냈겠지만요.
아래 한글로 작선한 영한 물리 용어집입니다.
Eng-Kor.hwp
0.26MB

'과학 관련 자료 > 물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합모의 평가 기출문제  (0) 2009.09.22
흥덕고 물리1 학습자료 1. 힘과 운동  (0) 2009.03.06
아침형 인간은 아무나 하나
이래도 안 깨어나? 잠 깨는 방법도 가지가지
2008년 03월 26일 | 글 | 서영표 기자ㆍsypyo@donga.com |
 
“따르릉~ 따르릉~”
새벽 다섯 시. 직장인 이 모씨(29, 경기 시흥시)의 방에 자명종이 울리고, 동시에 프로펠러가 공중으로 날아오른다. 겨우내 불어난 체중을 빼기 위해 새벽 헬스를 시작한 지 일주일째. 얼마 전 해외구매대행 사이트까지 뒤져가며 ‘알람 헬리콥터’를 장만했다. 그는 자명종 소리에 깨자마자 억지로 몸을 일으켜 방 안을 날아다니는 프로펠러를 쫓아다닌다. 프로펠러를 제자리에 올려놓아야 소리가 멈추기 때문이다.

퍼즐알람. 사진제공 bimbambanana.com
이처럼 아침형 인간이 되려고 노력하는 사람을 위한 갖가지 아이디어 상품들이 다양한 모습으로 시장에 선보이고 있다. 우선 비몽사몽간에 자명종을 꺼버려 낭패를 본 적이 있다면 주목해볼 만한 상품이다. ‘클라키’라는 제품은 바퀴가 달려있는 알람시계다. 요란한 소리를 내며 방 안 여기저기를 도망 다녀 쉽게 소리를 끄지 못하도록 했다. 알람과 동시에 퍼즐조각이 튀어 오르는 제품도 있다. ‘퍼즐알람클록’은 방바닥에 흩어진 조각들을 정확히 끼워 맞춰야 소리가 멈춘다. ‘로비’(Roby)라는 제품은 로봇 몸통에 있는 액정화면의 과녁을 장난감 권총으로 정확히 명중시켜야 자명종이 멈추도록 만들었다.

요란한 소리 대신 진동을 울려 깨우는 제품도 있다. 옆 사람에게 시끄러운 자명종 소리로 피해를 주지 않아도 되고, 소리에 둔한 사람에게도 적합하다. ‘알라밍 링’(Alarming Ring)은 반지 모양으로 집게손가락에 끼우고 있으면 맞춰놓은 시간에 진동이 울린다. ‘진동괘종시계 VALNX’는 납작하고 둥근 모양으로 잡지만한 크기다. 베개나 시트 밑에 두면 소리와 함께 진동을 울린다. 베개 자체가 통째로 진동하는 제품도 있다. ‘구롯쿠피로’(Clock Pillow)는 베개 측면에 시계가 달려있고 기상시간에 베개가 ’드르륵‘ 울린다.

닥터라이트(좌),글로필로(우). 사진제공 태진IND,www.embryo.ie

자명종 소리에 억지로 일어난 날, 하루 종일 머리가 무겁고 몸이 찌뿌드드할 때가 있다면? 자연스럽게 빛으로 잠을 깨는 방법도 고려할 만하다. 필립스(Philips)는 동이 트면서 햇빛이 밝아지는 과정을 모방한 ‘웨이크업 라이트’라는 제품을 내놓았다. “빛으로 깨어나는 것이 건강에 좋다”라는 주장이다. 알람소리를 들으며 억지로 잠에서 깨면 생체리듬이 깨지고 몸이 쉽게 피로해진다는 것이다. 국내에는 ‘닥터라이트’라는 제품이 있다. 30cm 높이의 스탠드조명으로 기상시간 45분전부터 약 1초에 한 단계씩 빛이 천천히 밝아진다.
오코시타로. 사진제공 itmedia.co.jp

‘글로 필로’(Glo Pillow)라는 제품은 베개 속에 발광다이오드(LED)가 있어 기상시간까지 40분 동안 서서히 강한 빛을 낸다.

소리, 진동, 빛 모두 통하지 않는다면 일본의 ‘오코시타로’는 어떨까? 베개보다 조금 큰 크기의 주머니로 허리 밑에 두고 잠들면 된다. 기상시간이 되면 공기가 30cm 높이로 부풀어 오른 뒤 팽창과 수축을 반복한다. 상체를 들었다 놓았다 괴롭히니 아무리 곰 같은 사람이라도 버틸 재간이 있겠는가.

자료협조 비드바이 코리아(www.bidbuy.co.kr
과학, 꿈을 건축하다
‘온리 원, 월드 퍼스트’展미래형 건축 속의 첨단기술
2008년 03월 28일 | 글 | 김상연 기자ㆍdream@donga.com |
 
자연의 거대한 힘에 맞선 빌딩, 지구와 과학을 모티브로 한 건물 디자인, 환경에 따라 빛과 공간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건축물….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는 최근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 청사에서 세계 각국의 다양한 첨단 건물과 미래형 건축을 엿볼 수 있는 ‘온리 원, 월드 퍼스트’ 전시회를 열었다. 전시된 건축물들은 자연과의 조화, 환경 보호와 에너지 절약, 인간을 위한 공간, 과학을 활용한 디자인 등으로 눈길을 끌었다.

각각에 숨어 있는 과학과 건축 기술을 살펴보자.

지진-강풍에도 끄떡없는 방사형 기둥


사진 제공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호텔 크레센트(아제르바이잔 바쿠 시에 건설 예정)

한국의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가 중앙아시아의 신생 독립국 아제르바이잔과 계약을 체결하고 설계 중인 호텔 크레센트는 바닷가에 접한 초승달 모양의 건물이다. 지진이 심한 이곳에서 대형 건물에 가장 필요한 것은 흔들리는 땅과 강한 바람에 견디는 능력이다. 유무열 실장은 “4개의 튜브로 기본 뼈대를 이루고 이를 방사형의 기둥으로 엮어 주면 삼각형의 거대한 아치 구조물이 돼 바람과 지진에 잘 견딜 수 있다”고 밝혔다. 가운데 큰 구멍도 바람이 잘 통과하도록 돕는다. 유 실장은 “나노탄소섬유 등 첨단 재료가 개발되면 더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에너지 소비-자원 소모 최소화 청정도시


그린 CBD 2015(중국 충칭 시)

지속 가능성에 초점을 맞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과 자원 소모를 최대한 줄이려고 계획한 미래 도시 프로젝트다. 산 모양의 고층 건물은 청정 수도를 상징한다.


9개의 구와 철근으로 재현한 핵분열 순간


아토미움(벨기에)

벨기에의 아토미움은 9개의 큰 구와 철근을 엮어 만든 초현대적 구조물이다. 원자가 핵분열하는 순간을 표현했다. 오스트리아의 무어 강에 만든 인공 섬은 조개 모양의 외관에 외부를 투명유리로 마감했다. 자연 채광을 이용하면서 강 양편이 동시에 보이도록 설계했다.


3만 개의 노즐이 뿜어내는 물안개의 몽환


블러 빌딩(스위스)

3만1500개의 고압 노즐로 물방울을 뿌려 주위에 인공 안개를 만든다. 안개가 건물을 감싸며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한다.


층마다 필요에 따라 움직이는 내부 공간


오레스테드대(덴마크)

이 건물은 네 개의 부메랑같이 생긴 갑판 층으로 이뤄졌다. 각각의 층이 서로 엇갈리며 회전해 다양한 내부 공간을 구성한다.


태양열로 따뜻하게… 투명하게…

런던 시청사(영국)

‘그래스 에그(Grass Egg)’라는 별칭으로 유명한 건물. 유리로 된 외관은 태양열을 이용해 에너지 절감 효과가 크다. 투명한 시정을 상징하기도 한다.
 

우리의 삶은 한 권의 책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삶은

 한 권의 책을 쓰는 것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아무도 대필해주지 않는 책

스스로 저자가 되어 엮는 한 권의

 책을 누구든 쓰게 됩니다


지난 삶이

비록 아름다운 이야기를 쓰지 못했어도

 돌아보기조차 아프고 힘든 장이었다 해도

 염려할 것이 없는 것은

아직 책에 마침표가 찍히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골이 깊어야 산이 높은 것이니

과정에 힘겨워하지 말아요

결론이 중요하지 않을까 합니다


바울의 인생에 마지막 장은

 ‘후회함이 없다’고 썼고

예수님은 ‘모든 것을 이루었다’쓰셨지요

그러나 험난한 과정이 있었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우리에게 지난 장이

 힘들고 고단했던 것은

 이 새로운 장을 더욱

빛나게 하기 위한 것이지 싶습니다


 과거는 다시 쓸 수 없으나

 미래는 얼마든지 마음대로 쓸 수 있으니

 오늘부터 멋진 책을 완성하기 위해

 아름답고 멋지게 살아갑시다


언젠가 책장을 덮는 날이 오겠지요

 오늘 나태하면 미완성의 작품이 되고

 무분별하게 살면 추한 작품이 될 것이니


 하루하루를 아름답게 살아가기 위해

노력의 노력을 더해야 할 것입니다

'잡동 사니 > 좋은 글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고의 건강 비결  (0) 2008.04.04
[스크랩] 잘되는 나, 잘되는 너  (0) 2008.04.02
[스크랩] 지나간 일은 던져 버리세요  (0) 2008.03.28
시간을 정복한 사람  (0) 2008.03.16
산다는 것  (0) 2008.01.28

지나간 일은 던져 버리세요


"삶이란
끊임없이 새로워지는 것입니다.
마치 뱀이 주기적으로 허물을 벗듯이
사람도 일정한 시기가 되면 영혼의 성장을 위해
마음의 껍질을 벗어야만 합니다. 지나간 일을 이제
던져 버리십시오. 비록 미래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알 수 없지만, 당신을 초대한 삶에 충실하십시오.
지금 이 순간의 삶 말입니다. 덧없이 늙지 않고
진정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그 길밖에 없습니다."


- 한스 크루파의《마음의 여행자》중에서 -


* 지나간 일을 던지라는 것은
과거를 무시하라는 말이 아닙니다.
잘 삼키라는 뜻입니다. 지난 일들을 꿀꺽 잘 삼켜서
어제보다 오늘을 더 새롭게, 더 멋있게 살라는 뜻입니다.
과거의 아픔이나 상처들은 걷어내고 그 안에 담긴
긍정의 요소들을 찾아내 새로운 자양분으로
삼는 것이 곱게 나이들어가는 것입니다.

출처 : 直指 BADMINTON CLUB
글쓴이 : 박종익 원글보기
메모 :
진짜같은 인공피부 아픔을 감싸안다
2008년 03월 21일 | 글 | 파리=김상연, 목정민 기자 ㆍdream@donga.com, loveeach@donga.com |
 

화상치료-실험동물 대체 ‘살갑게 다가온 인공피부’

“전 당신의 아름다움을 위해 희생당하고 싶지 않아요!”

새 화장품이 나올 때마다 테스트를 위해 자신의 피부를 내놓는 실험동물들은 이렇게 절규할지 모른다. 그러나 최근 사람을 닮은 인공피부가 개발되면서 이들의 희생도 머지않아 끝날 것으로 보인다. 인공피부는 불평도 없고 아픔조차 느끼지 않는다.

화장품 테스트뿐만이 아니다. 화상 환자에게서 새 살이 돋도록 돕거나, 섬세한 촉감을 느끼게 해 로봇팔에 생기를 불어넣는 등 다양한 용도의 인공피부가 개발되고 있다.


화장품 실험용 피부, 진짜와 80% 같아


세계적인 화장품 회사인 로레알은 1998년 처음으로 인공피부 ‘에피스킨’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사람의 피부세포를 떼어내 배양한 뒤 다양한 보조물질을 넣어 바깥 피부인 표피를 인공적으로 만든 것이다. 표피에 면역세포, 멜라닌 등을 넣어 자외선 차단제를 비롯한 다양한 화장품의 효능을 실험할 수 있게 했다. 유럽연합(EU)은 2009년부터 동물실험을 거친 화장품의 판매를 단계적으로 금지할 계획이다.

인공피부는 손바닥만 한 키트 안에 있는 여러 개의 작은 홈 안에 얇은 층으로 깔려 있다. 이곳에 화장품을 넣어 효과와 안전성을 테스트한다.

조제 코토비우 로레알 생명과학연구소 박사는 “다양한 화학물질을 테스트한 결과 인공피부의 효과는 진짜 피부의 80% 수준이다”라고 밝혔다.

로레알은 최근 표피 아래에 있는 진피까지 모방해 ‘리얼스킨’이라는 인공피부를 만들었다. 피부를 지탱하고 탄력을 주는 콜라겐과 섬유세포 등 피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진피의 일부 구성성분을 갖춰 더욱 사람의 피부와 비슷하게 만든 것이다.

코토비우 박사는 “신경, 모낭 등을 넣어 진짜 피부와 더욱 비슷한 인공피부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그날이 오면 고통 속에 신음하던 동물들이 인공피부를 향해 절을 할지도 모른다.


화상 위 보호막 역할… 수명 2∼4주


심한 화상을 입으면 먼저 깨끗한 물질로 상처를 덮어 병원균에 감염되지 않도록 한 뒤 다른 조직에서 건강한 피부를 떼어내 이식해야 한다. 그러나 화상이 너무 심하면 피부를 바로 이식하기 어렵다. 이때가 바로 인공피부가 활약하는 시간이다.

현재 미국에는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화상 환자용 인공피부로 ‘트랜스사이트’ ‘인티그라 인조 세포’ ‘바이오브레인’ 등이 나와 있다.

이들은 동물 조직이나 사람의 피부를 이용해 만든다. 예를 들어 바이오브레인에 들어 있는 동물성 단백질 젤라틴은 상처 부위의 혈액 응고 인자와 결합해 상처 위에 튼튼한 보호막을 만든다. 하루면 보호막이 완성된다.

트랜스사이트는 콜라겐과 실리콘, 진짜 사람 세포로 코팅된 나일론 그물 모양이다. 바깥층은 상처를 보호하고 그물 사이의 단백질은 새 피부가 돋는 것을 촉진한다.

미국 예일대 의대 데이비드 르펠 교수는 ‘피부과학’이라는 책에서 “인공피부는 수명이 2∼4주이며 화상 부위 치료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로봇팔도 힘 센서 넣은 인공피부로 덮어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힘 측정 및 평가 연구실은 요즘 힘과 온도를 감지하는 인공피부를 개발하고 있다. 신축성이 있는 인공피부에 힘 센서를 넣어 접촉감과 압력을 느끼도록 한 것이다.

연구실의 김종호 박사는 “64개의 힘 센서로 이뤄진 인공피부를 로봇 손가락에 씌우면 1mm의 분해능으로 3kg의 무게까지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1mm의 공간 안에 닿는 압력과 접촉감을 구분해 느끼는 것이다. 100개의 힘 센서를 넣은 인조피부를 이용하면 사람과 비슷한 압력을 느낄 수 있다.

로봇팔 ‘덱스트라’를 만든 미국 럿거스대 윌리엄 크라엘리우스 교수는 늘 “피아노를 자유자재로 연주하게 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한다. 현재 3개의 손가락이 마음대로 움직이니 5개까지는 시간문제. 더 중요한 것은 손끝에서 느끼는 정교한 접촉감과 압력이다.

사람과 비슷한 인공피부를 만든다면 머지않아 낭만적으로 피아노를 치는 로봇을 만나게 될 것이다.

큰그림 보러가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