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겔러리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가리  (0) 2007.11.24
1  (0) 2007.11.24
1  (0) 2007.11.19
3  (0) 2007.10.28
3  (0) 2007.10.24

 

 

 

 

 

 

 

 

 

 

 

 

 

 

 

 

 

“어릴 적 환경이 과학자 만든다”
책을 많이 읽는 가정에서 태어나 중고등학교 때 뛰어난 과학자를 만난 경험이 있는 사람은 과학자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 교육학과 오헌석 교수팀은 국내 대표 과학자 31명을 분석해 최근 발표한 ‘과학 인재의 전문성 개발 과정에서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에서 이 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1987년에서 2007년까지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한국과학상, 젊은 과학자상 등을 수상했거나 각종 기관에서 업적을 인정받은 과학자 31명을 심층 인터뷰해 이들의 공통된 특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과학자들은 대부분 초중고등학교 시절에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와 ‘다양한 분야에 관한 관심과 강점’을 지녔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 책을 많이 읽는 가정환경에서 성장했거나 어릴 적에 과학자와 의미 있는 만남을 가진 경험이 있다고 한 응답도 전체의 70%를 넘었다.

또 조사 대상 과학자 90%가 대학시절에 자신의 미래 계획을 혼자 세우거나 남들이 관심을 두지 않는 분야에 신경을 쏟았다. 이를 바탕으로 한 석ㆍ박사 과정과 박사후과정에서 특정 과제에 한껏 몰입한 경험이 있다는 응답도 역시 90%에 이르렀다.

창의연구단장 경험서 입증

이번 연구에서 발견된 과학자들의 성장 과정은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집단인 창의적연구진흥사업단장들에게서도 확인된다.

분석대상인 과학자 31명 가운데 창의연구단장은 6명으로 △유룡 기능성나노물질연구단장(KAIST 화학과 교수) △김빛내리 마이크로RNA연구단장(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이효철 시간분해회절연구단장(KAIST 화학과 교수) △조윤제 구조생물학연구단장(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 △김규원 혈관·신경계 통합조절연구단장(서울대 약대 교수) △김은준 시냅스생성연구단장(KAIST 생명과학과 교수)이 포함됐다.

이들에게선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 어린 시절의 지적 자극, 연구 과제의 조기 선정과 몰입 등의 특성이 골고루 나타난다. 이달 초 ‘국가과학자’에 선정된 유룡 단장은 고등학교 시절 흐릿한 등잔불 아래에서 이를 악물고 공부한 경험이 있다. 자신이 정한 공부 분량을 채우지 못하면 잠자리에 들지 않았다. 유 단장의 활동 무대인 ‘다공성 물질’은 그가 학자로서 본격적으로 발을 딛기 시작한 90년대 초반 이전부터 집중하던 분야다. 당시에는 이 같은 연구가 지금처럼 주목받지 못했지만 지금까지 그는 다른 과제에 한 눈을 판 적이 없다.

과학계의 신인상 격인 ‘젊은 과학자상’을 받은 유일한 여성인 김빛내리 단장도 어린 시절이 범상치 않았다. 여고 때 읽은 고대 과학사 책이 김 단장을 과학자의 길로 이끈 원동력이 됐다. 간접 경험이긴 했지만 아르키메데스 같은 과학자들의 활동상이 김 단장에게 남긴 인상이 컸던 것이다.

마이크로RNA라는 그의 연구 분야도 이미 박사 시절에 모색한 것이다.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박사 과정을 밟으면서 RNA의 중요성에 눈을 떴고 박사후과정도 관련 연구를 할 수 있는 미국 펜실베니아대에서 보냈다. 이 같은 준비과정에 있었기에 지난 2001년부터 쉴 새 없이 연구성과를 쏟아낼 수 있었던 것이다. 김빛내리 교수는 “생명과학 분야로 진로를 정한 것을 후회한 적이 없다”며 “현재 수행 중인 연구의 가능성에 강한 흥미를 느끼고 있다”고 강조했다.

글/이정호 기자 sunrise@donga.com (2007년 11월 22일)

<Copyright ⓒ 창의연구단. 무단전재와 재배포 금지>
"이래서는 안 되는데..."


여유 없는 삶은
파괴적 결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과로사와 단순 과로는 대개 종이 한 장 차이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래서는 안 되는데...좀 쉬어야 하는데..."하다가
쓰러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순간 멈추면 삽니다.
그 순간 휴식을 취하면 회복이 됩니다.
과로사는 잠깐 쉬지 못해서 아주
쉬어버리는 현상입니다.


- 황성주의《10대, 꿈에도 전략이 필요하다》중에서 -


* 잘 알고는 있는데 실행을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래서는 안 되는데, 안 되는데' 하면서도 계속
과로의 수렁으로 걸어 들어가는 것이지요.
'이건 아니다' 싶을 때 잠깐 멈추는 것,
그것이 여유있는 삶입니다.
여유를 잃으면 작은 피로가 과로로 이어지고
과로가 쌓이면 어느 한 순간 통째로 무너집니다.

'잡동 사니 > 좋은 글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 번째 문  (0) 2007.11.29
날마다 더 나아지고 있는 사람  (0) 2007.11.26
1도 차이  (0) 2007.11.14
꼭 안아 주세요  (0) 2007.11.13
후회는 꼭 뒤늦게 찾아온다  (0) 2007.11.07
[과학으로 보면 더 재미있는 미술]누드화 벗겨보면 기하학이…
2007년 11월 16일 | 글 | 박근태 기자 ㆍkunta@donga.com |
 
미술전람회를 가면 그냥 지나치는 작품이 적지 않다. 미술계 거장의 작품이라고 하니 눈여겨보긴 하지만 그림이 그려진 배경을 잘 모르는 탓에 보는 둥 마는 둥 한다. 본보 플러스 과학면은 세기적 명화를 과학의 눈으로 새롭게 읽어보는 코너를 7회에 걸쳐 소개한다. 과학자와 미술평론가가 모여 미술관에서 명화를 감상할 때 꼭 기억해 둘 만한 핵심 관람 포인트를 제시한다. 첫 회 주제는 ‘누드’로 잡았다. 이명옥 사비나미술관장, 정민석 아주대 해부학교실 교수, 이광연 한서대 수학과 교수와 함께 대표적인 누드 작품 2개를 통해 누드의 관람 포인트를 짚어본다.

【포인트 1】그림 속의 황금비율을 찾아라


‘미와 조화, 균형감’이라는 삼박자를 모두 갖춘 벨베데레의 아폴론은 고대 그리스에서 만든 아폴론상 중 최고 걸작으로 불린다. 상체와 하체, 머리와 목부터 허리까지의 길이가 황금비율(1 대 1.618)을 이룬다. 그리스인들은 이런 방식으로 신체의 비율을 고려해 이상적인 몸매를 만들어 냈다.
미술에 문외한일지라도 가장 편하게 ‘한마디’ 할 수 있는 작품 소재는 몸이다. 하지만 예술가들이 누드를 주제로 작품을 만든 것은 그와 다른 이유다.

이명옥=“누드는 원래 완벽한 비례와 균형, 대칭의 산물이다. 기원전 5세기 그리스인은 남성의 몸을 가장 완벽하고 아름답다고 인식했다. 1490년 로마에서 발견된 벨베데레의 아폴론상은 이상적인 남성 누드다. 그리스인들은 이상적인 몸을 묘사하기 위해 키를 기준으로 몸의 다른 부위를 일정한 비례로 만들었다. 카논(‘자’라는 뜻)이라는 이 법칙에 따르면 키가 머리보다 7배(훗날 8배로 바뀜) 길 경우가 가장 아름답다고 봤다.”

과연 당시 예술가들이 수학자나 알 만한 ‘비례’나 ‘법칙’이란 걸 얼마나 의식했을까.

이광연=“가장 이상적인 아폴론상이 만들어졌을 즈음인 기원전 550∼300년은 유클리드 기하학이 완성된 시기다. 벨베데레의 아폴론상을 보면 발바닥에서 머리까지 황금비율이 쓰였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어깨 양끝과 남성의 성기를 이으면 역이등변삼각형을 이룬다. 아름다움마저 수학 규칙을 통해 표현하려는 풍토가 반영된 것이다.”


【포인트 2】S라인에 현혹되지 말라


19세기 신고전주의 화가 앵그르의 작품 ‘샘’. 자연스럽게만 보이는 그림 속 여인의 도발적 자세는 해부학적으로는 비정상이다.
미술평론가는 요즘 유행하는 ‘S라인’의 기원을 과거 명화에서 찾아낸다. 육체의 아름다움에 대한 기준은 시대를 관통하는 걸까.

이명옥=“아름다운 몸을 표현하려는 노력은 유럽 르네상스를 거쳐 19세기까지 이어진다. 16세기 레오나르도 다빈치와 미켈란젤로는 사람 몸을 직접 해부해 작품으로 남겼다. 특히 19세기 화가 앵그르가 그린 ‘샘’의 여성 누드는 이상적 미와 현실감이 조화된 몸으로 꼽힌다. 한 발은 살짝 구부린 채 엉덩이는 치켜세우고 허리는 요염하게 비틀어 성적 매력을 발산한다. 요즘 젊은 여성 사이에서 유행하는 ‘S라인’ 몸매가 한껏 드러나는 자세다.”

과학의 눈으로 볼 때 상당수의 누드화 모델은 해부학적으로 ‘기형’으로 보인다.

정민석=“샘에 등장하는 여성(요정)의 몸은 현실감도 높지만 해부학적 오류가 있다. 그림 속 여인은 오른발을 살짝 들고 있는데, 이럴 경우 골반 오른쪽이 올라가야 몸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오른쪽 골반이 내려간 것은 비정상이다. 레오나르도 다빈치나 미켈란젤로와 달리 해부를 했다는 기록이 없는 라파엘로의 경우도 그렇다. 라파엘로가 그린 ‘삼미신’의 한 여신은 흉쇄유돌근이 나타나지 않고 다리 무릎 뒤에 있어야 할 오금이 보이지 않는다. 화가는 아마도 좀 더 ‘예술가의 시각으로’ 완벽한 미를 추구하기 위해 사실대로 그리지 않았을 것이다.”


【포인트 3】소품 하나에도 과학이 있다


명화에는 뜻밖에도 당시의 ‘첨단’ 과학지식이 반영돼 나타나기도 한다. 눈여겨보지 않으면 좀처럼 드러나지 않는 부분이다. 작품 ‘샘’에 등장하는 여인 어깨에 얹은 물동이에서 떨어지는 물은 평행선을 그린다. 그러나 떨어진 물이 바닥쯤 왔을 때 평행선은 사라진다. 왜 이렇게 표현했을까.

이광연=“‘샘’이 그려진 1850년대 중반은 비(非)유클리드 기하학이 처음 제시된 때다. 비유클리드 기하학에서는 평행선은 절대 서로 마주치지 않는 직선이 아니다. 사회 변화에 민감한 화가였던 앵그르는 과거 2000년간 절대 서로 만나지 않는다는 평행선의 개념이 흔들리고 있음을 작품에 반영했을 수 있다.”

'사진 겔러리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0) 2007.11.24
4  (0) 2007.11.24
3  (0) 2007.10.28
3  (0) 2007.10.24
2  (0) 2007.10.24
1도 차이


물은 100도에 이르지 않으면
결코 끓지 않습니다. 증기기관차는
수증기 게이지가 212도를 가리켜야 움직입니다.
99도, 211도에서는 절대로 변화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고작 1도 차이일 뿐인데도 말입니다.
용기는 집요함을 요구합니다.
마지막 1퍼센트의 인내가 인생의 성패를 좌우합니다.


- 유영만의《용기》중에서 -


* 시험도 1점 차이로 합격 불합격이 갈립니다.
올림픽은 더 해서 불과 0.01초 차이로 메달 순위가 바뀝니다.
다 끝났다 싶을 때 한 번 더 살펴보고, 더 이상 길이 없다
싶을 때 한 걸음 더 나가야 '변화'가 옵니다.  
마지막으로 한 번 더! 한 걸음만 더!
여기에 성공의 비결이 있습니다.
꼭 안아 주세요


사랑하는 아내를, 아이를 꼭 안아 주세요.
끌어안은 품 안에서 놀라운 일이 일어납니다.
당신의 포옹은 마음 속 깊은 사랑과 감사와
위로를 한꺼번에 전해줄 것입니다.
그런 포옹이 가장 필요한 사람은
바로 당신의 가족입니다.


- 존 스미스의《포옹 Hugs for Dad》중에서 -


* '프리 허그' 운동으로 좀 나아졌지만
아직 우리에게 많이 부족한 것이 포옹 문화입니다.
사랑과 감사, 위로와 반가움을 온 몸으로 전하고 온 몸으로
느낄 수 있는 포옹, 아침편지 가족들이 먼저 나서서
실천하는 것은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따뜻하게 한 번 꼭 안아 주세요.
백마디 말이 필요 없습니다.

'잡동 사니 > 좋은 글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래서는 안 되는데..."  (0) 2007.11.22
1도 차이  (0) 2007.11.14
후회는 꼭 뒤늦게 찾아온다  (0) 2007.11.07
조금이라도 더 아름다운 영혼을 위해  (0) 2007.11.06
좋은 목수  (0) 2007.11.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