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k 16. 띨제 - 자갓

트레킹

출발지

캠핑사이트

고도

소요시간

trek 1

카트만두 - (전세 차량) -  아루갓 바자르

520m

10:20

trek 2

아루갓 바자르

소티 콜라

620m

5:45

trek 3

소티 콜라

마차 콜라

930m

8:10

trek 4

마차 콜라

도반

990m

5

trek 5

도반           

필림

1,550m

7:30

trek 6

필림           

1,895m

4:30

trek 7

뎅               

2,140m

6

trek 8

리히

2,905m

5:45

trek 9

리히

사마가온

3,530m

7

trek 10

사마가온 (고소적응일-빙하호수 방문)

3,680m

3

trek 11

사마가온

삼도

3,850m

3

trek 12

삼도 - 티베트 국경 방문

4,240m

7

trek 13

삼도

다람살라

4,450m

3:35

trek 14

다람살라 - 라르키아 라(5213m) - 빔탕

3,720m

11:20

trek 15

빔탕

띨제

2,335m

8:20

trek 16

띨제

자갓

1,314m

9

trek 17

자갓

나디

930m

7

trek 18

나디 - 불불레 - (전세 차량) - 카트만두

1,400m

11

 


 

7년 만에 만난 안나푸르나 서키트 길

2007. 10. 28(일)


 

Lamjung_google.jpg어제 아침에 비하면 이곳은 완연한 봄날이다. 텐트 안 기온이 10도를 가리키고 있다. 남쪽으로 터진 계곡 위로 설산이 보인다. 람중히말(Lamjung Hima, 6986m)이다. 그 오른쪽에 뾰족하게 튀어 나온 봉우리는 안나푸르나 2봉(7939m)이다. 2000년 가을, 안나푸르나 서키트 트레킹 시작 마을인 베시사하르에서 처음 본 설산이 바로 람중히말이었다. 그때 생전 처음으로 말로만 듣던 히말라야의 설산을 보고 감격했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 포카라에서 보면 제일 오른쪽으로 보이는 설산이다.

pokhara_pano.jpg다들 뽀리지를 싫어해 마지막 남은 라면으로 아침을 먹었다. 이유는 너무 달다는 것이다. 우유에 설탕을 더 넣었는지 모르지만 웬만하면 음식에 입맛을 맛추기로 작정한 나 혼자뽀리지를 먹었다. 모두 단 음식을 전혀 안 먹는 사람처럼 손사래를 치는 것이 이상하다. 요즘 먹을거리에 설탕이 들어가지 않는 것이 없다. 평소 크림빵은 잘 먹으면서 뽀리지가 조금 달다고 싫어하다니...

외국에 나와서도 꼭 한식을 고집하는 노인네들이 아니라면 마음을 열어두어야 한다. 특히 히말라야에 들어와서는 더 그렇다. 식성이 까다로와 잘 먹지 않는 사람들을 보면 괜히 밉다. 트레킹 때는 더 밉다. 에너지 부족으로 당사자가 고생하게 되니 옆에서 왈가왈부할 일은 아니다 하더라도 운행에 '민폐'를 끼칠 수 있다.

7시 15분 출발. 롯지 바로 아래에 있는 카니를 지나니 바로 현수교가 나온다. 빔탕 이후 처음으로 강을 건넜다. 대나무와 무성한 잡목 숲으로 이어진 산허리길이다. 얼마 후 언덕에 오르니 멀리 안나푸르나 서키트 트레킹의 주 트레일이 지나는 마을 다라빠니(Dharapan)가 보였다. 그 아래 보이는 마을은 톤제(Thoje, 2015m)다. 톤제 아래로 강을 가로지르고 있는 현수교가 보인다. 그곳까지 가려면 한참 내려가야 한다.

출발한지 1시간 지난 8시 20분 경 출렁다리 앞에 도착했다. 힘룽히말과 체오히말에서 발울한 두드콜라의 최하류를 가로지르는 다리로 아주 길다. 안나푸르나 지역은 강폭이 넓어 다리가 항상 길다. 이곳에 비하면 마나슬루 지역의 다리는 높고 짧다. 다리를 건너다 중간쯤 되는 지점 난간이 뻥 뚫려 있어 무심코 지나가다 깜짝 놀랐다.

톤제 마을 입구의 카니는 티베트 초르텐의 모양을 하고 있다. 마을에 들어서니 지금까지의 마을과는 다른 전형적인 안나푸르나 트레킹 롯지 마을의 깔끔한 모습이다. 마당에는 백일홍이 한창이고 길가 담장에는 장작을 많이 쌓아두었다. 지나가던 한 집 마당에는 어미 염소가 풀을 먹고 있는데 새끼는 그 어미의 젖을 먹고 있는 정겨운 모습이 보인다.

톤제에서 다시 강을 건넜다. 이번은 마르샹디 강이다. 강을 건너 조금 오르니 바로 다라빠니가 나온다. 안나푸르나 주 트레일로 접어든 것이다. 띨제에서 1시간 30분 걸렸다. 속도가 빠른 팀이라면 빔탕에서 다라빠니까지 당일 바로 올 수도 있겠지만 특별한 상황이 아닌 한 지나친 속도는 트레킹의 맛을 제대로 느끼지 못하게 된다.

골목을 빠져 나와 안나푸르나 주 트레일과 만났다. 7년 만이다. 입구에는 마낭과 라르케로 가는 안내판이 있다. '주의!(Notice)'라는 말을 세 번이나 써 놓아 처음에는 안나푸르나 트레킹을 하는 사람이 빔탕 쪽으로 가려면 따로 허가를 받아야 된다는 말을 써 놓은 줄 알았다. 자세히 보니 그게 아니다. 빔탕까지는 안나푸르나 보존지역에 해당하므로 마나슬루에서 이곳으로 내려오는 사람은 따로 안나푸르나 지역 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내용이다. 반대로 생각하면 안나푸르나 허가서만 있으면 빔탕까지 갈 수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그 삼거리에 체크포스트가 있다. 우리는 이미 카트만두에서 ACAP허가를 받았다. 타시가 체크하러 간 사이 잠시 그 앞에서 쉬었다. 몇몇 사람은 허가서를 카고백에 깊이 넣어 둔 상태라 보여줄 수 없었지만 단체로 움직이는데 빼 먹을 일이 있겠느냐고 말해 그냥 넘어갔다. 세 가지나 되는 트레킹 허가서는 나눠주지 말고 처음부터 타시가 모두 가지고 있는 것이 좋았다.

조금 내려가니 우리가 내려 온 두드콜라 계곡이 왼편으로 보였다. V자 계곡 아래 꼭지점에 하얀 설봉이 조금 보인다. 마나슬루는 아닐 것이고 라르키아 피크 근처 쯤이나 될 것이다. 지난 16일 동안 저 산군 건너편에서 빙 돌아 깊고 깊은 계곡과 눈덮인 높은 고개, 그리고 다시 골짜기를 지나왔다. 언제 다시 또 그 길을 걷게 될런지는 기약할 수 없지만 한 번 더 가고 싶은 곳이다. 아래에서 서양 노인네 단체팀이 올라오고 있다.

안나푸르나의 길은 역시 넓다. 그리고 전체 규모가 크다. 마르샹디 강도 마나슬루 지역의 부리 간다키 강과는 비교를 불허한다. 골짜기도 깊다. 마을도 자주 있고 사람들의 왕래가 빈번하다. 조랑말 행렬은 일상적인 풍경이다. 아주 오래전부터 티베트와의 무역로였다는 관록이 길에 나타나 있다.

Kartenauschnitt_Naar_phu_volle_Grosse.jpg이곳에서 티베트로 가는 길은 여러 개가 있다. 토롱 라를 넘어 묵티나트로 간 후 상무스탕을 경유하는 길과 차메(Cheme)에서 오른쪽 꼬또(Koto)로 가는 나르콜라로 들어가 피상피크 동북쪽의 나르(Naar)와 푸가온(Phugaon)에서 바로 티베트로 넘어 가는 길, 그리고 마나슬루 지역의 라르키아 라를 넘어 가는 길이 있다. 반대로 말하면 그곳에서 넘어 온 티베트 상인들이 모두 이곳 다라빠니에서 만난다. 그래서 이 지역의 티베트 이름은 갸숨도(Gyasumdo)로 '세 길이 만나는 곳'이라는 뜻이다.

안나푸르나 서키트 트레킹은 네팔 히말라야 트레킹의 메카라고 할 수 있다. 넓고 깊은 장대한 계곡과 5416m의 설산 고개, 그리고 티베트 고원 풍의 황량한 들판과 넓고 바람이 거센 깔리 간다키 강, 수백 년간 티베트와의 교역으로 다져진 마을, 저지대의 힌두 문화와 계단식 논밭. 이 모든 것을 한꺼번에 볼 수 있는 곳이 안나푸르나 서키트 트레킹이다. 이런 생태계와 풍경을 동시에 볼 수 있는 트레킹 코스는 네팔에서 이곳 말고는 없다.

경작지를 찾아 강 양쪽으로 마을이 있으니 계속 이쪽 저쪽으로 건너갔다 건너와야 한다. 7년 만에 만난 길이라 그런지 영 낯설다. 그 때는 히말라야 트레킹이 처음이었으니 제대로 주변을 감상할 정신이 없었을 것이고 지금은 마나슬루 '깡촌' 마을을 본 직후여서 더 그럴 것이다. ABC, 쿰부, 랑탕 트레킹은 이런 편의시설이 잘 되어 있지만 최근 방문한 곳이 공교롭게도 네팔에서도 오지인 무스탕과 마나슬루라 그렇게 느껴지는 것이리라.

다리빠니에서 다시 현수교를 건너 왼편으로 넘어간 후 카르테(Karte)에 도착했다. 새로 신축중인 롯지가 몇 채 보인다. 이곳에 도나(Dona) 빙하호수로 가는 길이 있다는 안내판이 있다. 다라빠니의 안내판도 그렇고 이 안내판도 7년 전에는 본 기억이 없다. 도나 호수로 가려면 이곳 동쪽 도나콜라를 타고 올라가야 한다. 마헨드라왕 자연보호재단(KMTNC)의 홈페이지에는 아래와 같은 설명을 하고 있다.

dona_lake .jpg도나 호수는 마나슬루 남서쪽, 해발 4700m 지점에 있는 호수로 마나슬루 호수로도 알려져 있다. 마낭지역에서 틸리초 호수 다음으로 높은 곳에 위치한 아름다운 호수로 점차 방문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곳까지는 이틀이 걸린다. 가는 길은 나체(Nache) 마을을 통과하여 빽빽한 푸른 소나무 숲과 다양한 색의 랄리구라스 숲, 그리고 초지를 지난다. 이 지역은 사슴, 사향노루, 꿩, 붉은 판다 같은 야생동물들의 좋은 서식지이며 가축들의 방목지로도 이용되고 있다. [주의] 이 호수로 가는 길은 야생 상태라 여행자들을 위한 시설이 없다. 방문자들은 경험많은 현지 가이드를 고용하고 장비와 식량을 가져가야 한다. 방문시기는 7-8월과 4-5월이 가장 좋다.

Tilicho.jpg구글어스에서 찾아보니 도나 호수는 길이 2300m, 폭 400m의 직사각형 모양이다. 같은 고도에서 틸리초외 비교해 보니 틸리초가 두 배 정도로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두 호수는 4000m 이상의 높이에 있는 히말라야 호수 중 제일 큰 호수에 속한다. 쿰부의 고쿄 호수, 촐라초, 임자초도 이들보다 작다.

트레킹 초심자는 이런 코스까지 챙길 여유가 없다. 그러나 네팔 3대 메이저 트레킹 코스를 마치고 캠핑이 필요한 코스로 눈을 돌리기 시작하면 이런 코스도 '땡기기' 시작한다. 안나푸르나 서키트를 캠핑트레킹으로 할 경우 이곳에서 도나 호수를 방문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그곳에 다녀오면 자연스럽게 고소적응이 된다. 그리고 다시 틸리초 호수를 다녀오면 더 좋다. 물론 그러기 위해서는 시간과 자금을 더 많이 모아야 한다.

카르테를 지나가는데 한 롯지 식당 입구에 "맛있는 김치 있어요"라고 쓰여 있는 나무판이 놓여 있다. 금년부터 인천-카트만두 직항 정기노선이 생기면서 한국 사람들이 이곳을 점점 더 많이 방문하고 있다는 증거다. 롯지촌을 벗어나니 바로 강을 건너는 현수교가 나와 다시 오른쪽 사면으로 건너왔다.

10시 경에 나타난 작은 마을 코또에서 점심을 먹기로 하고 롯지 식당으로 들어가 신발을 벗었다. 조금 이르긴 해도 다음 마을인 딸(Tal)까지 가려면 여기서 1시간 이상 더 가야 한다. 이미 주방팀이 먼저 도착하여 음식을 준비했기 때문에 얼마 후 바로 점심을 먹었다. 그리고 11시 15분에 다시 출발했다. 계속 트레커들이 올라오고 있다. 중년 이상의 트레커들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최근의 경향이다.

골이 깊은 안나푸르나 서키트 길은 초반 계곡길에 폭포가 많다. 마나슬루도 폭포가 많지만 이곳도 그에 못지 않다. 규모도 엄청 나 처음 보는 사람은 감탄사를 연발하게 된다. 카르테 아래의 폭포는 지그재그 다단계형의 특이한 형태를 지니고 있어 걸음을 멈추게 한다. 쏟아지는 물의 양도 굉장하다.

골짜기 풍경이 웅장하다. 다시 현수교를 건너 강바닥으로 내려섰다. 원래는 위로 오르는 계단이 있지만 건기에는 강바닥을 이용할 수 있으니 힘을 덜 수 있다. 위에서 물줄기가 떨어지는 길이다. 잠시 후 오르막을 오르고 다시 내리막으로 내려가 강바닥 길을 걷는다. 그러나 곧 오르막이 시작되리라는 것을 안다. 계곡은 항상 이런 식이어서 많은 체력을 요구한다.

히말라야 트레킹을 절대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된다. 나도 처음엔 가볍게 생각했다. 롯지가 중간에 많아 언제든지 쉬어 갈 수 있다는 말에 현혹되었다. 그러나 그것은 시간이 아주 많아 하루 서너 시간 운행으로 만족할 때의 일이다. 그런 식의 운행을 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최소한 오후 두세 시까지 운행하게 되는데 일주일만 지나면 체력이 많이 소모되어 힘들다. 거기에 4000m 가까이 가면 고소의 영향으로 한 걸음이 천근같다. 그러므로 트레킹을 가기 전 근력과 지구력 강화훈련을 차분히 해 두어야 덜 고생한다.

절벽길에 올라 코너를 도니 멀리 딸(Tal, 1707m)이 보인다. 이 절벽길도 바닥의 흙과 축대를 보니 산사태로 무너진 것을 다시 쌓은 것임을 알 수 있다. 현상계에서는 모든 것은 변하기 마련이다. 12시 25분 도착한 딸 마을도 그동안 많이 변했다. 좋게 보면 세련되었고 아쉬운 마음으로 보면 자본주의화 되었다. 자본주의가 나쁜 것은 아니지만 모든 것을 돈으로 환산하는 가치관은 인심을 각박하게 만드는 가장 큰 원인이다. 그런 도시 문명을 벗어나 히말라야에 왔는데 다시 이곳에서 그런 분위기를 접하는 일은 썩 기분좋은 일이 아니다.

그래도 이곳은 안나푸르나 서키트 트레킹 코스에 있는 마을 중 유일한 강변마을이며 가장 목가적인 분위기를 지닌 마을이다. 주변의 산이 높고 계곡이 넓다. '딸'이란 '호수'를 뜻하는 네팔말이다. 한때 이곳은 호수였다고 한다. 세월이 흘러 아래쪽으로 침식작용이 일어나 물이 많이 빠지자 넓은 터가 생겼고 그곳에 마을이 들어섰다. 안나푸르나 서키트를 한다면 이곳에서 하루 묵는 일정을 고려할 만하다. 네팔 행정구역에서 이곳 딸까지 마낭지역이다. 이 아래부터는 람중지역이다.

안나푸르나 산군의 동쪽지역은 크게 람중(Ramjung) 지역과 마낭(Manang) 지역으로 나눈다. 딸 이전의 마을은 람중 지역이다. 람중 지역은 낮은 지대여서 산에 계단식 논을 만들어 농사를 지을 수 있지만 마낭 지역은 험한 산악 지대여서 계단식 논을 잘 볼 수 없다. 쉽게 티베트 풍의 마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람중 지역은 힌두문화권이고 마낭 지역은 불교문화권이다. 딸은 마낭 지역의 가장 남쪽 마을이다. 마을은 제법 큰 편이다. 롯지와 기념품 가게들이 줄지어 있다. ACAP 체크포스트도 있다. 큰 마을답게 우체국도 있고 보건소도 있다. 그러나 약품이 턱없이 부족한 것이 이곳 사정이다.

마을을 벗어나니 길이 왼편 산기슭으로 급하게 오른다. 작년 몬순 때 홍수로 마을이 고립되었다는 뉴스를 본 적이 있다. 그때 물길이 바뀌어 원래의 길을 덮쳤고 그 물길이 고착되어 원래의 길은 물 속에 잠겨 버렸다.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도도한 물길을 이 낙후된 지역에서 인위적으로 바꾸기는 어렵다. 차라리 새로 길을 내는 것이 더 쉽다.

trek16_map2.jpg그래서 만든 길이 이 산기슭 길이다. 기계가 들어올 수 없는 이곳에서는 쉽지 않았을 것이지만 그래도 수작업으로 완성시켰다. 길이 완성되기 전에는 건너편 기슭으로 난 길로 다녔다고 한다. 그 길은 현지인들이 다니는 높은 길이다. 트레커들은 딸을 생략하고 바로 높은 산기슭을 넘어 다라빠니로 가느라 힘이 훨씬 들었을 것이다. 작년(2006년) 여름 마나슬루 트레킹을 마치고 우리처럼 내려가는 길에 이곳을 지난 김지나 씨의 글에는 그 길에 대한 생생한 묘사가 있다.

산중턱에서 보니 멀리 앞쪽으로 원래의 길이 보인다. 카니에서 강바닥으로 내려오는 길을 강물이 막고 있다. 카니 아래로 보이는 현수교가 바로 딸을 거치지 않고 바로 산중턱에 있는 가랑(Gharang)이라는 마을을 지나 다라빠니로 가는 길이다.  산기슭길을 한참 지나 입구에 도착하니 마오바디들이 책걸상을 갖다놓고 통행세를 받고 있다. 우리는 이미 마나슬루 지역에서 냈기 때문에 그냥 통과했다. 그곳에서 보이는 가야할 길이 가물가물하다. 한참 내려갔다가 다시 정신없이 올라가야 한다. 선택의 여지가 없는 것이 트레킹이다. 그래서 체력이 필요한 것이다.

이런 험한 히말아야 트레킹 길도 산악자전거를 타기 위해 오는 친구들도 있다. 서양인 친구나 앞에 오고 뒤에 네팔인 친구가 따라 온다. 짐을 진 포터는 뒤에 따라 올 것이다. 어쩌면 이들보다 앞에 가 있을지도 모르겠다. 에베레스트 베이스캠프까지 자전거를 타고 가는 것을 디스커버리 채널인가 내셔널지오그래픽 채널인가에서 본 적이 있다. 대단한 친구들이다. (나도 일주일만 더 젊었으면 산악자전거를 탔을텐데... 아깝다, 일주일!)

멋지고 웅장한 폭포를 향해 강 아래쪽으로 내려 갔다. 긴 폭포가 아주 인상깊다. 폭포를 지나면 곧 다리가 나오고 다리를 건너 오른편 기슭으로 오르니 참제(Chemhe)가 나왔다. 막 오후 3시를 지나고 있다. 마을 중간에 있는 큰 롯지 을 보니 반가웠다. 롯지 모습은 여전하다. 7년 전 묵은 곳이고 그때 이곳에서 예상치 못했던 동포들을 만났다.  당시의 기록을 보니 느낌이 새롭다.

3층짜리 목조 건물인 라사(Lahsa) 호텔에 짐을 풀었다. 우리 방은 3층에 있는 방이다. 방은 갈수록 좋아졌다. 복도를 돌아가니 화장실 겸 샤워장도 있다. 미지근한 물에 땀을 씻었다. 태양열을 이용하여 물을 데우기 때문에 이 시간까지 미지근한 물이나마 남아 있는 것이 다행이다. 옷가지를 빨아 발코니 빨랫줄에 널었다. 바람이 세게 불어 잘 마를 것 같았다. 빨래집게가 줄에 몇 개 있었다. 빨랫줄은 준비했는데 빨래집게는 생각이 미치지 못했다. 빨래집게도 다음부터는 꼭 가져와야겠다고 생각했다. 대부분의 숙소에는 빨래집게가 없었다. 사소한 것이지만 현지에서는 요긴하게 쓰인다.

여기서 한국사람들을 만나게 될 줄은 생각을 못했다. 3층에 올라가니 안쪽 방에서 한국말이 들렸다. 반가웠지만 짐을 풀고 씻는 것이 급선무라 나중에 확인을 하기로 했다. 내가 씻고 나서 덕문스님이 씻으러 들어간 사이 한 청년이 왔다. 양평에 산다는 남기범(23세)이라는 친구였다. 세 사람이 같이 왔는데 스님도 한 분 있다고 한다. 그 친구가 가고 잠시 후 선일이라는 스님이 왔다. 초면이었다. 그러나 내가 덕문스님과 같이 왔다고 하니 깜짝 놀란다. 알고 보니 덕문스님과는 수계도반이며 여러 철 같이 살았다고 한다. 이번 여름에 동화사 금당선원에서 정진했다고.

잠시 후 덕문스님과 반가운 해후를 했다. 덕문스님도 전혀 예기치 못한 일이라 무척 반가워 한다. 또 한 사람은 서울에서 온 이정숙양(여, 29). 세 사람은 각기 따로 인도를 여행하고 네팔로 들어와 포카라에 있는 인드라 호텔에서 만났으며 호텔 분위기가 트레킹을 하는 분위기여서 덩달아 트레킹에 나섰다고 한다. 파카 등 장비도 포카라에서 빌렸다는데 아무래도 전문적으로 준비한 우리보다 엉성했다. 신발도 운동화를 신고 있다. (붓다아이, <2000 안나푸르나 서키트 트레킹> day 3)

원래는 이곳 참제에서 오늘 운행을 마칠 생각이었다. 시간상으로도 적당하다. 그런데 점심 때 밍마가 참제에는 캠프사이트가 좋지 않다고 자갓으로 가자고 한다. 사실은 레이놀즈의 가이드북에도 자갓까지 하루 일정으로 나와 있지만 일정을 짤 때 지도상으로 너무 멀어보여 참제로 정한 것이다. 캠프사이트가 좋지 �다면 주저할 이유가 없어 밍마의 의견을 따라 자갓까지 가기로 했다. 조금 더 걷겠지만 그만큼 내일 일정은 단축될 것이라고 피곤해 하는 동포들을 위로했다.

Manaslu_1456.jpg아닌게 아니라 유일한 캠프사이트인 마을 끝에 있는 학교 마당은 길보다 지대도 낮고 분위기도 영 아니다. 길가로 하수도도 흐르고 있다. 하수도보다 낮은 곳에서 잠을 자고 싶지는 않다. 그대로 통과한 것은 잘한 일이다.

자갓(Jagat) 에 도착한 시각은 4시 20분. 참제에서 1시간 20분 걸렸고 중간에 두 번 쉬었다. 폭포도 지나고 강바닥까지 내려갔다가 오르기를 몇 번 반복했다. 연 3일간의 강행군으로 다들 많이 지쳤다. 체력이 좋은 젊은 사람이라면 5:30~6시간 걸린다고 레이놀즈는 말하고 있다. 우리는 8시간(-점심시간 1시간 15분) 걸렸으니 어지간히 느린 속도로 움직였다.

자갓은 톨게이트(toll gate)라는 뜻이라고 이미 마나슬루 지역의 자갓을 지날 때 이야기 했다. 즉 이곳은 티베트를 오가는 상인들에게 세금을 거두던 곳이다. 그런 까닭에 이곳 주민들은 티베트계인 보티아(Bhotia)족이다. 수백 년 동안 이어지던 소금무역은 1959년 중국이 티베트를 침공하고 국경을 폐쇄하면서 쇠퇴의 길로 접어 들었다. 대신 1975년 안나푸르나가 일반 트레커들에게 개방되면서 관광업이 주 산업이 되었다.

아담한 롯지 정원에 스테프들이 캠프를 치고 있다. 바나나 나무도 보이고 꽃이 만발해 있다. 이곳 고도가 1314m이니 이제 따뜻한 중산간 지역으로 내려왔다. 라르키아 라와는 고도차가 4000m 가까이 되는 곳이다. 오늘은 뜨거운 샤워를 할 수 있으려니 기대를 했다. 그러나 늦게 도착한 탓인지 따뜻한 물은 잠시 나오더니 아예 찬물까지도 잘 나오지 않아 여성동포들은 주방에서 데워 준 물로 간단하게 �었다. 나는 오늘도 물수건의 신세를 졌다.

모처럼 분위기 있는 정원 식탁에서 바나나를 사 먹었다. 저녁은 여행사에서 서비스로 준비한 특식이란다. 한국식으로 요리하기 위해 두 분이 주방을 다녀왔다. 무진행 보살님이 요리법을 설명하고 영어가 전공인 보명화 보살님이 통역했다. 그 결과물에 대해서는 모두들 이구동성으로 "생애 최고로 맛있게 먹은 음식"이라고 찬탄했다. 어쩌면 '말짱 도루묵'의 일화와 같은 이치일지도 모르겠다. 그만큼 그동안 '배가 고팠다'는 반증일 것이다.

저녁을 잘 먹어서 그런지 아니면 힘든 트레킹이 거의 끝나는 시기여서 그런지 동포들의 얼굴이 한결 여유롭고 좋아보인다. 내일이면 실질적인 트레킹은 끝나기 때문에 내일 묵을 나디에서 쫑파티를 준비하라고 타시에게 150불 주었다. 포근한 밤이다.
 

trek 16. 띨제 - 자갓  (top으로)

 trek16_map.jpg

manaslu_map_T.jpg

trek16_map_google.jpg

Manaslu_1333.jpg

Manaslu_1337.jpg

띨제 캠프에서 멀리 남서쪽으로 보이는 람중히말. 오른쪽 봉우리는 안나푸르나 2봉(7939m)이다. 띨제를 벗어나 다리를 건너 뒤를 마을을 돌아보았다.

Manaslu_1341.jpg

Manaslu_1346.jpg

출발한지 45분 쯤 지나 언덕에 오르니 다라빠니가 보였다. 그 아래 마을은 톤제 마을이며 톤제로 가는 긴 다리가 두드콜라 하류에 설치되어 있다.

Manaslu_1348.jpg

Manaslu_1353.jpg

톤제 다리 중간 난간 철망이 뻥 뚫여 있어 깜짝 놀랐다. 톤제 마을 입구 카니는 티베트풍이다.

Manaslu_1366.jpg

Manaslu_1363.jpg

다라빠니 도착. 빔탕으로 가는 안내판이 있고 맞은 편에 체크포스트가 있다.

Manaslu_1364.jpg

Manaslu_1372.jpg

체크포스트 앞에서 체크할 동안 휴식. 다리빠니를 벗어나자 마르샹디 강과 두드콜라의 합수점에 있는 계곡 사이로 마나슬루 산군이 조금 보였다. 줌으로 당겨서 그렇지 실제로는 멀어 아주 작게 보인다.

Manaslu_1387.jpg

Manaslu_1388.jpg

안나푸르나 서키트 구간은 이런 현수교를 자주 건넌다. 짐을 싣고 오가는 조랑말 무리도 자주 만난다. 이 길은 수백 년 동안 티베트를 오가던 소금무역길이다.

Manaslu_1396.jpg

Manaslu_1397.jpg

점심을 먹은 코또의 롯지 초우따라에서 쉬며 일정을 살피고 있는 �은 두 서양 트레커. 그곳에서 조금 내려가자 지그재그형의 웅장한 폭포가 나왔다.

Manaslu_1401.jpg

Manaslu_1403.jpg

계곡을 지나는 트레킹은 항상 오르막과 내리막의 연속이다. 가물가물한 길을 따라 내려가면 강을 건너는 현수교가 나온다. 건기에는 위로 가는 계단길 대신 아래 강바닥길을 이용할 수 있어 힘이 덜 든다.

Manaslu_1405.jpg

Manaslu_1411.jpg

강바닥길을 지나면 당연한 일지지만 다시 오르막이 나온다. 그리고 계곡이 갑자기 넓어지며 '호수'라는 뜻의 마을 딸(Tal)이 나타났다. 안나푸르나 서키트 지역에서 유일한 강변마을이며 목가적인 분위기의 마을이다.

Manaslu_1412.jpg

Manaslu_1414.jpg

딸까지 가는 길도 산사태가 나 새로 다졌다. 절벽길을 내려와 평화로운 마을를 향해 가고 있다. 제일 뒤에 가는 사람은 밍마 세르파다.

Manaslu_1417.jpg

Manaslu_1420.jpg

마을에 있는 마니월은 예전에 못 보던 것이다. 그냥 무심코 지나쳤는지도 모르겟다. 그러나 컬러 마니석은 없었던 것이 확실하다. 있었다면 당시의 여행기에 이 독특한 물건에 대한 묘사가 없을리 만무하다.

Manaslu_1421.jpg

Manaslu_1428.jpg

예전만큼은 낭만적이지 않지만 그래도 딸은 안나푸르나 지역에서 가장 멋진 곳임에는 틀림없다. 옛길은 물에 잠기고 새로 만든 절벽길로 올라왔다. 예전에 다니던 길에 있는 카니와 길의 흔적이 보인다.

Manaslu_1429.jpg

Manaslu_1430.jpg

언덕에서 보면 물길이 옛길을 덮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언덕 산허리길은 작년에 사람들이 100% 수작업으로 뚫은 길이다.

Manaslu_1432.jpg

Manaslu_1434.jpg

길이 끝나는 곳에 마오바디들이 통행세를 거두고 있었다. 그곳에서 가야할 길이 가물가물하다. 강바닥 가까이 한참 내려간 후 다시 올라가야 한다.

Manaslu_1439.jpg

Manaslu_1445.jpg

위 사진 오르막길 꼭대기에 거의 다 올라왔다. 점심 먹고 3시간 운행을 하고 있으니 이제 슬슬 피곤이 몰려왔다. 그곳에서 산악자전거를 타고 온 사나이들을 만났다. 이 친구 뒤로 네팔인 친구도 자전거를 타고 지나갔다. 저 자전거를 끌고 토롱 라를 넘어갈 모습은 상상만 해도 숨이 찬다.

Manaslu_1449.jpg

Manaslu_1455.jpg

곧 웅장한 폭포가 나와 경치를 즐겼으나 다시 아래로 한참 내려가야 했다. 폭포를 지나 오른쪽 사면으로 건너 잠시 오르니 참제가 나왔다.

Manaslu_1461.jpg

7년 전 묵었던 참제의 라사 호텔을 지날 때는 옛 추억에 잠겼다. 그리고 다시 머나먼 길을 바라보며 걸었다. 저쪽 산 모퉁이를 돌아야 오늘의 목적지 자갓이 보일 것이다.

Manaslu_1466.jpg

Manaslu_1467.jpg

아담한 마을 자갓의 롯지들. 참제에서 1시간 20분 걸렸다. 우리 포터들이 롯지 입구에서 우리가 그냥 지나치지 못하도록 기다리고 있었다. <에베레스트 호텔> 마당의 캠프사이트는 푸른 정원으로 싸인 아늑한 곳이다.

Manaslu_1468.jpg

Manaslu_1469.jpg

여행사에서 서비스로 마련한 특별식을 코치하는 두 보살님 덕분에 맛있는 저녁을 먹었다. 트레킹을 마쳐갈 즈음이어서 그런지 차와 바나나를 먹으며 식탁에 앉아 저녁을 기다리고 있는 모습이 한결 여유 있어 보인다. 음식은 먹기 바빠서 찍지 못했다.

trek 15. 빔탕 - 띨제

트레킹

출발지

캠핑사이트

고도

소요시간

trek 1

카트만두 - (전세 차량) -  아루갓 바자르

520m

10:20

trek 2

아루갓 바자르

소티 콜라

620m

5:45

trek 3

소티 콜라

마차 콜라

930m

8:10

trek 4

마차 콜라

도반

990m

5

trek 5

도반           

필림

1,550m

7:30

trek 6

필림           

1,895m

4:30

trek 7

뎅               

2,140m

6

trek 8

리히

2,905m

5:45

trek 9

리히

사마가온

3,530m

7

trek 10

사마가온 (고소적응일-빙하호수 방문)

3,680m

3

trek 11

사마가온

삼도

3,850m

3

trek 12

삼도 - 티베트 국경 방문

4,240m

7

trek 13

삼도

다람살라

4,450m

3:35

trek 14

다람살라 - 라르키아 라(5213m) - 빔탕

3,720m

11:20

trek 15

빔탕

띨제

2,335m

8:20

trek 16

띨제

자갓

1,314m

9

trek 17

자갓

나디

930m

7

trek 18

나디 - 불불레 - (전세 차량) - 카트만두

1,400m

11

 


 

수목한계선 아래로 내려오다

2007. 10. 27(토)


 

어제보다 훨씬 포근한 아침이다. 밖으로 나오니 살얼음이 얼어 있다. 아직 해가 뜨기 전이라 쌀쌀하다. 어제 안개로 보지 못한 주변 경치를 보기 위해 모레인 제방으로 올라갔다. 티 한 점 없는 맑은 하늘 아래 설산의 모습이 뚜렸하다. 내려다 보니 넓은 빔탕의 전체 모습이 잘 보인다.

일출이 시작되었다. 남동쪽에 있는 마나슬루로 해가 비친다. 이곳에서 보는 마나슬루는 지금까지 보던 모습과 전혀 다르다. 두 개의 뾰족한 봉우리를 보고 마나슬루임을 짐작할 뿐이다. 가이드북과 다른 사람들의 여행기가 아니었다면 마나슬루라고는 생각을 하지 못했을 것이다. 북쪽으로는 힘룽히말과 체오히말 봉우리에도 해가 비치기 시작한다. 이곳에서 보는 일출은 햇빛이 산의 측면을 비추기 때문에 붉게 타오르는 장엄한 모습은 볼 수 없다.

모레인 제방 아래에는 에메랄드빛의 작은 빙하 호수가 하나 있지만 특별히 가까이 가서 볼 만한 호수는 아니다. 아래에서 무진행 보살님이 아침 산책 중이길래 사진을 찍어 줄테니 올라 오시라고 했다. 20여 미터만 오르면 아주 다른 풍광을  즐길 수 있으니 숨이 차더라도 구경할 수 있을 때 구경하는 것이 좋다.

around-Bimtang.jpg빔탕에서 하루 더 여유가 있다면 위쪽 힘룽히말과 체오히말에서 내려온 빙하수가 고여 있는 제법 넓은 빙하호수를 방문하는 반나절 소풍을 즐길 수 있다. 또는 아래쪽으로 내려가다 왼편 숲이 돌출되어 있는 곳으로 오르면 전망대가 나오는데 에델바이스 자생지인 그곳에서 보는 설산의 풍광이 멋지다고 한다. 레이놀즈의 말이다. 그러나 그런 여유 있는 일정을 가진 팀은 그리 많을 것 같지 않다.

빔탕은 빔타코티(Bimtakhoti)라고도 하며 '모래의 평원'이라는 뜻이다. 빙하 모레인 제방과 산 경사지 사이의 넓은 분지인데 모레인 땅이라 경작은 불가능하다. 옛날에 이곳은 라르키아 라 동쪽의 바북과 더불어 티베트와의 중요한 교역장소였다. 1950년에 틸먼이 처음 방문했고 1956년에는 스넬그로브가 방문하고 각각 기록을 남겼다.

빔타코티에는 조(zo)와 양들이 라르키아 고개 또는 톤제(Thonje)에서 빈번하게 오가고 있다. 10여 마리 이상의 조 무리의 목에 달린 종소리는 끊이지 않고 우리의 캠프를 지나 짧은 초지를 향하곤 했다. 모두 둔중한 소리의 종을 달고 있는데 무리의 리더는 밝은 진홍색 야크털 장식 술과 함께 작은 종을 달고 있다. 이곳 창고 담당자는 우리에게 짧은 교역시즌 동안 그는 3000마리 이상의 조가 싣고 온 짐의 무게를 잰다고 했다. 이곳에서 쌀과 소금의 교환비율은 16:25인데 라르키아 라를 넘어가면 소금 25를 사기 위한 쌀은 12면 충분하다. (H. W. Tilman, , pp.860-861)

빔탕은 라르키아 라 동쪽에 있는 바북처럼 단지 여름철 교역장소로 쓰이고 있다. 티베트에서 야크 등에 실려 바북을 거쳐 이곳으로 물건은 소금과 모직물이 오고 네팔에서는  쌀과 곡물, 면제품 옷, 담배, 성냥 그리고 다른 유용한 물건이 온다. 이곳에서 무역을 통한 이익을 얻기 위해 티베트 국경을 넘어 오거나 갸숨도(Gyasumdo) 또는 누프리에서 온 티베트인들을 만날 수 있다. (David. Snellgrove, , p.239)

틸먼이나 스넬그로브도 언급하고 있듯 이곳은 경작지로는 쓸 수 없는 땅이다. 풀이 조금 나 있기는 해도 조금만 파면 마사토 같은 빙하 모래가 나와 작물의 재배가 불가능하다. 냇물도 가까이 흐르는 좋은 조건이지만 모래땅이라 농사를 짓지 못하니 사람이 살지 않는다. 티베트와의 교역이 뜸해진 지금은 서너 채의 롯지만 트레커들을 맞이하고 있다.

아침 식사 때 타시가 와서 어제의 일을 정식으로 사과했다. 자기의 가이드 생활에서 중요한 사건이었으며 아주 좋은 지적이어서 감사하다는 내용이다. 모두 고개를 끄덕이며 앞으로 더 훌륭한 가이드가 되기를 축원해주었다. 그런 의미에서 적당하게 넘어가기보다는 그때그때 필요한 지적을 해 주는 것이 그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다.

7시 20분 출발했다. 내리막길이긴 하지만 앞으로 3일 동안의 일정은 매일 8시간 이상 운행을 해야 하는 빡빡한 일정이다. 처음부터 중간에 하루를 더 늘이면 편하기는 하나 너무 늘어지는 감이 있다. 2주간의 트레킹으로 피곤하기는 해도 이럴 땐 오히려 조금 졸라매야 긴장감으로 잘 견딘다. 일단 고소로부터 자유로우니 큰 문제는 없을 것이다.

길은 개울물 곁을 지나 빙하를 건너기 위해 언덕으로 향하고 있다. 그리고 빙하 제방 7부 능선길을 빙 돌아 간다. 따뜻한 햇볕이 비치는 길이다. 앞쪽으로는  마나슬루 서쪽에 있는 캄풍히말(Kangpung Himal)에서 제일 높은 풍기(Phungi, 6538m)가 햇빛을 받아 밝게 빛나고 있다. 오늘이 설산을 가까이에서 볼 수 있는 마지막 날이라 내내 눈을 맞추며 걸었다.

언덕을 넘으니 강을 가로질러 다리가 하나 있다. 빙하지대이기는 해도 얼음이 없는 골재채취장 같은 곳을 흐르는 작은 개울 수준의 강이다. 이 강의 이름은 두드콜라이며 이곳이 최상류에 해당한다. '두드'란 '우유'라는 뜻의 네팔말이다. 강물의 빛깔이 우유같다고 해서 지은 이름이다. 쿰부에도 고쿄의 고줌파 빙하에서 시작하여 루클라 아래로 이어지는 강 이름도 두드코시다. 코시는 콜라와 같은 뜻(작은 강)이다.

다리를 건너 빙하 제방을 따라 조금 더 내려가 다시 작은 다리가 있는 곳에 이르렀다. 그곳까지 길이 무너져 있어 보울더 바위 사이를 타고 가느라 조금 성가셨다. 나중에 보니 위쪽으로 새로운 길이 나 있다. 이 다리는 난간도 없다. 다리  위로 서리가 내려 미끄럽다고 타시가 모래를 집어 뿌려주었다. 이곳은 물살이 제법 세다. 북쪽으로 힘룽히말과 체오히말의 모습이 보인다. 이 산의 모습을 보는 것도 여기가 마지막이다. 강물은 빙하 모래층 아래에서 갑자기 꽐꽐 솟아 나오고 있다.

다리를 건너 빙하의 서쪽 제방 꼭대기로 올라가 잠시 쉬었다. 첫 번째 휴식시간이다. 출발한지 1시간 되었다. 이제 빙하지대는 끝났다. 그곳부터는 내리막길인데 갑자기 우람한 나무들이 있는 숲속으로 들어간다. 풍경이 이렇게 갑자기 바뀔 수도 있다는 사실이 신기하다. 나무에는 이끼와 실 같은 지의류가 많이 붙어 있어 이제 수목한계선으로 내려왔다는 것이 실감났다. 네팔의 국화인 랄리구라스도 보인다. 레이놀즈의 책에는 이 길가에 (ABC 트레킹 코스의 데우랄리 못미처 나오는 힌쿠 동굴 같은 모양의) 동굴이 있다고 나와 있지만 보지 못하고 지나쳤다.

숲속에서 가끔 툭 터진 곳으로 나오면 캄풍히말이 반겨주었다. 기온도 많이 올라갔다. 즐거운 숲 길이다. 큰 전나무가 탄 모습이 보인다. 먼 산에는 산불로 고사목이 되어 불에 탄 전봇대처럼 흉물스럽게 서 있다. 그 너머로 마나슬루 서쪽면의 빙하가 보인다. 쿰부에도 남체바자르에서 텡보체 가는 도중에 이런 산불 흔적이 있다. 히말라야에서 산불이 나면 대책이 없다. 이 험한 산에 올라가 불을 끌 방법이 도저히 없다. 헬기로 불을 끄는 시스템은 먹고 살 만한 나라나 가능하다.

1994년 9월 하순에 옐로우스톤 국립공원을 방문한 적이 있는데 그 때도 이런 산불에 탄 수많은 고목나무들을 본 적이 있다. 미국은 산불이 나도 끄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고 한다. 낙뢰 등 자연적으로 발생한 현상을 자연의 순환현상으로 보고 인위적인 방법으로 막지 않는다는 것이다. 한편으로는 그들의 말에도 일리가 있어 보인다.   (관련기사)  

계곡에 들어서니 숲길이지만 평지만 있는 것이 아니어서 오르막과 내리막을 계속 반복한다. 8시 30분, 울창한 숲 속에서 휴식. 그리고 잠시 계곡 위로 난 전망이 좋은 양지녁 오솔길을 걸었다. 마나슬루 정상의 둥근 빙하가 왼편으로 보인다. 1950년 5월 23일, 마낭에서 안나푸르나에 접근할 수 있는 계곡과 빙하를 탐사하기 전 틸먼 탐사대는 이곳 두드콜라 위쪽 마나슬루와 그 주변 봉(체오히말과 힘룽히말)을 먼저 탐사하기 위해 이곳에 온다. 그리고 빔탕으로 가는 도중 지금 우리가 걷고 있는 이곳에서 마나슬루를 똑똑하게 보고 감동을 받는다.  

이 전망대에서 우리는 어두운 숲에서부터 그 너머 마나슬루에서 흘러 나온 둥근 빙하까지 바라보았다. 오른쪽으로 하늘을 찌르는 두 개의 바위탑과 얼음은 우리에게 경이로움을 주었다. 마나슬루는 거친 모양을 거의 감추고 조용하고 영원하고 장엄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낮은 스노우콜(snow col)로부터 마나슬루의 긴 북쪽 능선은 가볍게 25000피트를 오르고 1000피트를 내려간 후 눈의 고원에 날카롭게 솟아 있다. 그리고 잘 받쳐져 있는 받침대 위에 정상의 피라미드가 서 있다. (H. W. Tilman, 위의 책, p.820)

계곡은 이제 많이 넓어졌다. 산사태의 흔적으로 강물 속에 큰 나무가 넘어져 있는 모습이 자주 보인다. 10시 15분, 롯지가 하나 있는 넓은 캠프사이트가 나왔다. 마나슬루 지역에서의 롯지는 주방과 캠프사이트만 제공하는 곳이 대부분이다. 롯지 문은 잠겨 있다. 주인이 있다면 이곳에서 점심을 지어 먹고 갈 수도 있지만 문이 잠겨 있으니 주방팀은 이곳을 그냥 통과했다. 강에서 물을 길어 나르는 등 굳이 번거로운 이곳을 주방팀이 택할 까닭이 없다.

왼편으로 터진 계곡 사이로 탐스러운 설산이 보인다. 이곳은 하루 묵고 싶은 평화로운 풍경이 있는 곳이다. 지도에는 이런 카르카가 몇 개 표시되어 있다.  급경사 내리막길을 통해 숲으로 다시 들어가다가 얼마 후 길은 계곡 바닥으로 내려갔다. 우기 때 생긴 산사태로 길이 끊어져 바닥에 새로 만든 험한 길이다. 아름드리 나무가 가로로 쓰러져 있고 그 아래로 길이 난 곳도 있다.

강으로 쓸려 내려온 흙과 돌더미 사이를 헤치고 오르내리는 길은 상당히 위험해 보인다. 위쪽에 있는 바위가 언제 또 무너질 지 모르는 일이라 긴장이 되었다. 레이놀즈의 책에도 언급되어 있으니 이 산사태는 적어도 10년 전에 일어난 것이다. 물건을 실은 말이 이런 길을 통해 빔탕까지 다니고 있다. 이 길은 오늘 일정에서 가장 난코스라고 할 수 있다.

from_Bimtang_to_Karche.jpg산사태 길을 지나 다시 숲속 언덕으로 올라가 작은  지류에 놓인 다리를 나왔다. 돌과 나뭇가지를 교묘하게 얽어 기초를 만든 독특한 다리다. 이런 다리는 처음보았다. 다리를 건너니 바로 점심 먹을 장소인 카르체(Karche)가 나왔다. 이곳에 한 가족이 살고 있는 티하우스가 하나 있다. 주변에 제법 넓은 경작지가 보이는 것으로 보아 농사를 짓는 모양이다. 시간이 11시 40분을 지나고 있어 배가 고팠다. 이제 고도는 3000m 이하로 내려왔다.

집 뒤마당에 넓은 캠프사이트가 있다. 바람은 불지만 햇볕은 따뜻하다 못해 뜨겁다. 계곡 사이 푸른 숲 위로 설산의 봉우리가 깨끗하게 보인다. 점심을 기다리는 동안 오랜만에 머리를 감으니 개운하다. 이 집의 꼬맹이가 호기심을 보이며 우리 주변과 주방을 차례로 들락거린다.

점심 먹고 1시에 출발했다. 길은 완연한 저지대 숲길이다. 가끔 계곡 바닥으로 내려가기도 하면서 오르막 언덕을 우회하여 오르내린다. 물건을 싣고 오르는 조랑말 무리도 만났다. 카르체 이후부터는 경작지와 흩어져 있는 집들이 자주 나온다. 사람들이 거주하는 지역이 시작된 것이다. 경작지가 있는 곳은 짐승의 출입을 막기 위해 돌담을 쌓아 놓았다. 염소와 양이 떼지어 풀을 뜯고 있는 모습도 보인다.

길가 밭에서 감자를 캐고 있는 있는 아낙네들과 인사를 하며 지나간다. 새로 롯지를 만들고 있는 곳도 있다. 이곳도 이제 트레커들이 많이 오기 시작했다는 뜻이다. 마니월도 다시 보이기 시작한다. 초우따라가 있는 고개에서 한숨 돌린 후 가족이 메밀 수확을 하는 곳을 지나자 곧 오늘의 목적지 띨제(Tilje)가 멀리서 보였다. 오른쪽 산비탈로 계단식 밭이 보이고 전깃줄도 보이는 큰 마을이다. 마니월과 텅빈 학교를 지나 마을 입구에 있는 카니를 통과했다. 여자 아이 둘이 검은 소를 몰고 와 소를 밭으로 내 쫓은 후 우리를 따라 마을로 돌아왔다.

오후 3시 40분, 띨제에 도착했다. 띨제는 구릉족이 사는 이 근처에서 제일 큰 마을이다. 틸먼이나 스넬그로브 시대에는 이 두드콜라 계곡의 유일한 마을이었다. 캠프장이 있는 집 마당에는 백일홍과 다알리아가 한창이다. 꽃 구경도 오랜만이다. 뎅에서 보고 처음이니 8일만이다. 오늘은 하루만에 풍경이 이렇게 달라졌다. 주방팀은 차 준비를 하고 다른 스태프들은 텐트를 치느라 바쁘다. 어제부터 긴 운행으로 조금 지치긴 했지만 다시 아이들이 놀고 닭이 활개짓하는 마을로 돌아오니 마음이 편해진 한편 섭섭하기도 하다.

트레킹도 이제 거의 끝나가고 있다. 오늘 아침까지 눈이 시리도록 보았던 설산은 더 이상 가까이에서 볼 수 없다. 그저 가끔 먼 산 계곡 사이에서 바라 볼 수 있을 뿐이다. 뜨거운 차를 마시며 피로를 풀고 저녁 먹기 전 등산화를 수선(끈 교체)했다. 지금까지 별 탈없이 버텨준 것이 고맙다. 내일은 마나슬루 지역을 벗어나 안난푸르나 라운딩 코스로 접어드는 일정이다. 7년 만에 그 길을 다시 가는데 그동안 어떻게 변해 있을지 자못 궁금하다.
 

trek 15. 빔탕 - 띨제  (top으로)

 trek15_map.jpg

manaslu_map_T.jpg

from_Bimtang_to_Tilje.jpg

Manaslu_1212.jpg

Manaslu_1201.jpg

모레인 언덕에서 바라 본 빔탕의 아침 모습. 카메라의 초점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배경의 명암이 달라진다. 왼편은 마을에 초점을 두었고 오른편은 설산에 초점을 두고 찍었다.

Manaslu_1204.jpg

Manaslu_1221.jpg

조금 이상한 모습의 마나슬루에 해가 비치고 있다. 건너편 사마가온에서는 불이 붙는 듯한 모습이었다. 마나슬루 오른편은 캄풍히말의 풍기(Phungi)봉이다.

Manaslu_1217.jpg

Manaslu_1224.jpg

모레인 너머에 작은 빙하호수가 하나 있다.  추운데 굳이 내려가 볼 만한 정도는 아니다. 아래에서 아침 산책 중인 무진행 보살님을 올라오시라고 해 힘룽히말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어주었다. 추운 아침의 느낌이 사진에 나타나 있다.

Manaslu_1225.jpg

Manaslu_1230.jpg

추운 아침, 그늘에서 캠프를 철수하는 스태프들. 묵묵히 우리의 트레킹을 도와주는 수호천사들이다. 출발하자 곧 따듯한 햇빛 속으로 들어갔다. 터프한 모습의 캄풍히말이 맞아주었다.

Manaslu_1233.jpg

Manaslu_1234.jpg

곧 마나슬루 산군 위로 해가 떠 올랐다. 그 오른쪽에 있는 6538m의 풍기가 더욱 선명하게 다가왔다.

Manaslu_1236.jpg

Manaslu_1237.jpg

빙하를 가로지른 첫 번째 다리를 건너다. 그곳에서 본 힘룽히말과 체오히말. 1950년 안나푸르나 4봉 등정에 실패한 틸먼 일행은 이곳에 와 대신 이 두 봉우리를 오르려고 시도했으나 결국 중간에서 돌아오고 만다.

Manaslu_1243.jpg

Manaslu_1244.jpg

모레인 언덕을 넘자 다시 나타난 빙하수 여울. 길을 무너져 있어 찾느라 헤메는 중이다. 길은 왼편 언덕 뒤로 나 있었다. 이곳은 두드콜라 최상류다. 두드콜라는 다라빠니에서 마르샹디 강에 흡수된다. 그곳에서 본 마나슬루 정상부.

Manaslu_1245.jpg

Manaslu_1248.jpg

두 번째 다리를 건너 모레인 언덕으로 오르면 빙하지대에서 완전히 벗어난다.

Manaslu_1250.jpg

Manaslu_1256.jpg

모레인 언덕을 넘으면 풍경이 급변하여 울창한 숲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가끔 넓은 초지가 나타나 시야를 시원하게 해 준다.

Manaslu_1257.jpg

Manaslu_1261.jpg

랄리구라스 나무도 보이는 숲을 지나면 작은 언덕이 나오고 거기에서 마나슬루 히말의 서쪽면 파노라마를 만난다. 이곳 풍경에 대한 틸먼의 기록이 있다.

Manaslu_1271.jpg

Manaslu_1272.jpg

문이 닫혀 있는 롯지가 하나 있는 넓은 캠프사이트를 지나다. 따뜻한 햇볕을 받으며 걷는 걸음이 가볍다. 그곳에서 본 마나슬루 히말의 모습이 평화롭다.

Manaslu_1275.jpg

Manaslu_1276.jpg

Manaslu_1278.jpg

Manaslu_1281.jpg

오늘 일정의 가장 난코스라 할 수 있는 산사태 지역. 10여년 전에 일어난 산사태가 마치 어제 일어난 것처럼 생생한 모습이다. 이 길을 지날 때 금방이라도 위에서 산이 무너져 내릴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되돌아 본 산사태 길.

Manaslu_1282.jpg

Manaslu_1286.jpg

다시 숲으로 올라갔다. 거목 사이로 보는 설산의 풍경이 감미롭다. 물살이 거친 작은 계류 위에 놓인 다리는 기초가 휜 나뭇가지로 돌을 가두어 놓은 구조를 하고 있는 독특한 모습의 다리다.

Manaslu_1290.jpg

Manaslu_1293.jpg

다리를 지나면 곧 롯지가 하나 있는 카르체가 나온다. 여기서 점심을 먹었다. 롯지 뒷마당이 캠프사이트다. 날이 따뜻해 이곳에서 오랜만에 머리를 감았다. 소박한 모습의 롯지 가족들.

Manaslu_1289.jpg

캠프사이트에서 본 마나슬루 히말의 마지막 모습. 이곳을 지나면 이제 더 이상 마나슬루 산군을 볼 수 없다고 해서 한참 바라보며 아쉬움을 달랬다.

Manaslu_1295.jpg

Manaslu_1305.jpg

다시 계곡으로 내려갔다가 오르니 완연한 산간 마을 풍경이 펼쳐졌다.

Manaslu_1307.jpg

Manaslu_1310.jpg

감자를 캐고 있던 마을 아낙네들과 인사를 나누었다. 전형적인 구릉족 사람들이다. 드문드문 계속 마을집들이 나타났고 어슬렁거리는 소들도 보였다.

Manaslu_1311.jpg

Manaslu_1313.jpg

어떤 곳에는 염소떼가 바위에 올라가 풀을 뜯고 있었다. 새로 짓고 있는 롯지도 있다. 트레커들이 조금씩 증가하고 있다는 증거다.

Manaslu_1314.jpg

Manaslu_1317.jpg

돌담이 있는 것은 경작지에 짐승들이 못들어가게 하기 위해서다. 길은 계속 계곡을 오르락 내리락 한다. 개울물 같았던 두드콜라가 이제는 제법 큰 강이 되어 흐르고 있다.

Manaslu_1318.jpg

Manaslu_1320.jpg

오후 3시 15분 초우따라가 있는 언덕에서 마지막 휴식. 모두 조금 지친 상태다. 다시 운행을 시작하자 곧 메밀밭에서 수확중인 가족을 보았다.

Manaslu_1321.jpg

Manaslu_1323.jpg

잠시 후 멀리 오늘의 목적지 띨제가 보였다. 전깃줄이 보이는 제법 큰 마을이다. 곧 마을 입구의 마니월을 통과했다.

Manaslu_1324.jpg

Manaslu_1327.jpg

방학 중인 학교는 텅 비어 있다. 그리고 바로 마을의 대문인 카니가 나타났다. 오랜만에 보는 카니가 반가웠다.

Manaslu_1328.jpg

Manaslu_1330.jpg

꼬맹이 여아 둘이 당차게 소를 몰고 와 밭으로 보내는 모습이 귀여워 잠시 걸음을 멈추었다. 띨제 마을은 견고하게 쌓은 돌집이 서로 붙어 있는 형태다.

Manaslu_1331.jpg

Manaslu_1332.jpg

마을 공동수도를 지나 끝 부분에 캠프사이트가 있다. 오른쪽 움막이 주방이다. 백일홍과 다알리아가 한창인 푸른 화원에 들어서니 지난 며칠 간의 고산지역이 먼 옛일로 느껴졌다.

trek 14. 다람살라 - 라르키아 라 - 빔탕

트레킹

출발지

캠핑사이트

고도

소요시간

trek 1

카트만두 - (전세 차량) -  아루갓 바자르

520m

10:20

trek 2

아루갓 바자르

소티 콜라

620m

5:45

trek 3

소티 콜라

마차 콜라

930m

8:10

trek 4

마차 콜라

도반

990m

5

trek 5

도반           

필림

1,550m

7:30

trek 6

필림           

1,895m

4:30

trek 7

뎅               

2,140m

6

trek 8

리히

2,905m

5:45

trek 9

리히

사마가온

3,530m

7

trek 10

사마가온 (고소적응일-빙하호수 방문)

3,680m

3

trek 11

사마가온

삼도

3,850m

3

trek 12

삼도 - 티베트 국경 방문

4,240m

7

trek 13

삼도

다람살라

4,450m

3:35

trek 14

다람살라 - 라르키아 라(5213m) - 빔탕

3,720m

11:20

trek 15

빔탕

띨제

2,335m

8:20

trek 16

띨제

자갓

1,314m

9

trek 17

자갓

나디

930m

7

trek 18

나디 - 불불레 - (전세 차량) - 카트만두

1,400m

11

 


 

라르키아 라를 넘어 빔탕으로

2007. 10. 26(금)


 

3시에 일어나야 한다는 강박감 탓인지, 아니면 황홀한 달밤을 본 탓인지 잠을 푹 자지 못했다. 텐트 안은 0도로 생각보다 춥지 않았다. 텐트 안이 영하를 기록하지는 않았지만 물통의 물에 살얼음이 어는 경우는 있었다. 옷을 갈아입고 침낭속에서 모닝콜을 기다렸다. 짐은 대부분 어제밤 미리 싸두었다. 잠시 후 밖이 조금 소란스러워지더니 빠상이 어김없이 "띨레리~"하며 차를 가지고 왔다. 오늘 아침 세숫물은 생략이다.

뜨거운 홍차로 속을 덥힌 후 짐을 챙겨 식당텐트로 갔다. 밖으로 나오니 아주 춥다. 영하 10도는 될 것 같다. 사람들이 하나 둘 들어왔다. 다행히 모두 어제보다 컨디션은 더 이상 나빠지지 않은 듯하다. 그러나 식욕은 아직 돌아오지 않은 모양인지 음식을 잘 먹지 못하고 있다. 오늘 긴 일정을 생각한다면 잘 먹어야 한다고 독려했다.

0-brynje_arctic.jpg새벽 운행이 추울 것에 대비해 어제 잘 때 입은 브린제 악틱(Brtnje Arctic) 고소내의는 그대로 입었다. 어제까지는 잘 때만 입었다. '고소내의계의 지존'이라고 할 수 있는 이 내의는 원래 남극이나 북극 등 세계 오지탐험을 위해 노르웨이의 브린제사에 의해 개발되었다. 제품 설명에 의하면 안감은 브린제 고유의 메라클론 망사조직으로 되어 있어 내부의 땀을 신속하게 배출하고 겉감은 100% 메리노울로 직조하여 외부 한기를 차단할 뿐 아니라 내부 발산열을 가두어 보온력을 높혀준다고 한다.

그러나 이 옷에도 결점이 있으니 그것은 부피와 무게가 다른 고소내의에 비해 부담이 된다는 점이다. 원정대처럼 고산에서 오래 머무는 사람들은 몰라도 15일 트레킹 중 이삼일 정도만 고산에 머무는 코스에는 굳이 무게와 부피에 대한 부담이 큰 이런 장비까지 가져갈 필요가 없을 것 같다. 4000m 이상에서 제법 오래 머무는 쿰부 서키트 트레킹 때는 좋을 것이다. 나는 이 옷을 2년 전부터 토굴에서 입고 있다. 겨울이 되면 내가 거주하는 방안은 기온이 10도 내외에 머물고 있다. 그동안 난방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심초사했지만 큰 효과를 얻지 못했다. 결국 내 몸을 따뜻하게 하는 것이 최선의 난방법이라는 것을 알았다.

 "땅이 거칠어 다니기 불편하다고 모든 땅에 부드러운 가죽을 깔 수 없다. 너의 발만 가죽으로 싸면 온 세상을 가죽으로 싼 것과 마찬가지다."

이말은 원래 현상계는 자기의 마음 상태에 따라 보이므로 모순되어 보이는 세상을 바꾸려 하지 말고 자신을 바꾸어야 한다는, 스승이 제자에게 가르치는 비유의 말씀이다. 그 말에 힌트를 얻어 나도 넓은 공간의 난방에 신경쓸 것이 아니라 난방이 필요한 내 몸을 직접 따뜻하게 하는 옷에 신경쓰기로 했다. 보온 기능이 뛰어난  등산복은 그 목적에 제격이다.

토굴에서 브린제 내의와 폴라텍 파워스트레치 상하의는 기본이다. 등산양말을 신고 상의는 우모복을 하나 더 걸친다. 목에는 네팔의 특산물 파슈미나 목도리를 두른다. 그리고 빵모자로 마무리 하니 천하가 태평하다. 히말라야 트레킹 경험은 추운 산골살이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아무리 방이 춥다해도 히말라야  4천 고지의 페리체 롯지보다 따뜻하니 견딜만하다.  늘 입맛에 맞는 음식을 먹고 샤워도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할 수 있으니 더 이상 바랄 게 없다.

매일 짐을 싸지 않아도 되고 땀을 흘리지 않아도 된다. 침낭에 들어가지 않는 잠자리는 편안하다. 집 떠나면 고생이라고 집에 머무는 것이 제일 편하다. 돈도 들지 않는다. 짐을 챙기느라 몇 날 며칠을 고민하지 않아도 되고 공항까지 끙끙대며 무거운 짐을 나르지 않아도 된다. 고소도 없고 두통이나 식욕부진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춥고 힘든 히말라야를 가고 싶어 할까? 사람마다 각자 이유가 있을 것이나 인간사를 관통하는 다음의 한 마디 말은 트레킹에도 당연히 해당된다.

"고통이 없으면 얻는 것도 없다(No pain, no gain)."

코 아래 얼굴 전체를 가려주는 안면마스크(face mask)와 머리 전체를 뒤집어 쓰는 바라클라바(balaclava)도 이번에 준비했다. 오늘 새벽 단 몇 시간만 필요한 장비지만 없으면 고생이다. 2000년 안나푸르나의 토롱 라를 넘을 때와 2002년 쿰부의 촐라패스를 넘을 때 추워서 혼이 난 경험을 한 이후로 트레킹할 때마다 추위에 대한 신경을 많이 쓰고 있다. 그런데 바바클라바는 써보니 너무 답답해 안면마스크를 쓰고 고소모자를 눌러썼다.

몸은 추위를 느끼면 자동적으로 가장 중요한 심장을 보호하기 위해 심장에서 먼 손끝이나 발끝의 말초혈관으로 가는 혈액을 줄인다. 그 결과 그곳은 체온이 떨어진다. 만일 추운 상태가 계속되면 몸은 에너지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말초혈관으로 가는 혈액공급을 줄이다가 마침내 단시킨다. 혈액이 중단되면 세포가 괴사하기 시작한다. 그것이 동상이다. 그러니까 동상은 문자그대로 '수뇌부'가 생명을 조금이라도 더 유지시키기 위한 최선의 조치로 생기는 현상이다. 손발이야 잘라도 살 수 있지만 심장이 멎으면 바로 사망하기 때문이다.

텐트에서 나오자마자 세르파들과 포터들이 텐트를 철수시키기 시작한다. 어둡고 추운 새벽에 철수작업을 하느라 고생이 많다. 장갑도 없는 친구들이 많다. 그들의 노고에 감사한다. 정말 그들은 아무리 임금을 받고 고용된 사람들이지만 레이놀즈의 말대로 '인간트럭'이 아닌 '전문노동자'로 정중하게 대해야 한다. 짐을 지고 고산을 오르는 일만큼은 지구상에서 네팔사람을 따라 갈  종족이 없다. 세계의 지붕인 히말라야를 터전으로 살고 있으니 그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몇 달 전 우연히 디스커 버리채널에서 방영한 <에베레스트, 한계를 넘어서(Everest, Beyond the limit)>를 보았다. 2006년 봄 뉴질랜드인 러셀 브라이스가 지휘하는 상업등반대의 에베레스트 등정 상황을 기록한 내용이다. 6부작이라는데 다 보지는 못하고 점심시간에 어쩌다 나오면 보았다. 내용은 등반 도중 악천후로 동상을 입어 두 다리를 잃었지만 의족을 달고 나선 사람, 암수술을 받고도 참가한 사람, 오토바이 사고로 온 몸의 뼈를 쇠로 이어붙이 사람, 무산소 등정을 시도하는 천식환자 등 다양한 사람들의 인간승리를 다루고 있다.

마지막 편에서는 등반대원 중 한 명이, 하산 때 죽어가는 등반가를 발견하지만 구하지 못하고 그냥 내려오는 장면이 있다. 실제로 그 사람의 모습도 보인다. 그 사람을 그대로 두고 지나가는 등반가들이 비정하다는 여론이 있지만 그 상황에서는 자기 자신의 몸도 가누기 힘든 8000m  고도에서는 어쩔 수 없는 현실이다. 에베레스트 정상으로 오르는 길 가에는 그렇게 죽은 사람의 시신이 많이 있다고 한다, 7년 전쯤 <산>지에서 그런 시신이 방치되어 있는 비인간적인 모습의 사진을 보고 씁쓸했던 기억이 있다.

그런데 그 프로에서 내가 받은 가장 인상적인 장면은 의지의 군상들이 벌이는 인간한계에 대한 도전이 아니었다. 캠프 2인지 3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그곳에 캠프를 차리고 대장이 세르파 6명에서 2km의 로프를 주고 정상까지 로프를 설치하라고 하는 장면이 나온다. 한참 지난 후 무전이 날아온다. "대장님, 모두 정상에 도착했습니다."

나는 그 대목에서 웃음이 나왔다. 정상에 한 번 올라가보겠다고 아래에서 고소 등으로 갖은 고생을 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인데 세르파들은 이웃집 마실 가듯이 가볍게 정상에 오른 것이다. 그것도 무거운 로프와 산소통을 매고. 원정대원들이 할 일은 그들이 깔아 둔 로프를 잡고 오르는 일이다(물론 그것도 쉬운 일이 아니다). 히말라야 세르파들의 강인함과 위대함이 돋보이는 대목이다. 그래서 진정한 등반은 알파인 스타일의 단독 등정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히말라야 14좌를 처음으로 완등한  라인홀트 메스너(Reinhold Messner, 1944~)가 위대하다고 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

메스너는 1975년 가셔브룸 1봉을 등정하면서 이전과는 전혀 새로운 루트로 등정을 한다. 게다가 산소용구, 고소포터, 중간캠프, 고정로프를 쓰지 않는 순수한 알파인 스타일로 올라간다. 그는 알프스의 4000m 급 산을 오르는 방식으로 8000m 급 고봉을 사흘 만에 올랐다. 이런 등반방식은 전통적인 방법보다 몇 배나 더 어렵고, 죽음을 무릅쓴 도전이기에 메스너의 성공이 더욱 높이 평가되고 있다. 이로부터 8000m 고봉에 대한 도전 방식이 바뀌게 된다. 메스너는 8000m 급 고봉 14개를 처음으로 모두 오른 사람이다. 게다가 그것도 쉽게 오른 것이 아니라 알파인 방식으로 올랐고, 또 한 시즌에 8000m 이상의 고봉 3개를 등정하는 해트트릭도 한 사람으로 20세기 최고의 등반가라고 한다. (향기로운 책글방 1163호, <알피니즘, 도전의 역사(마운틴북스)>에서 인용 )

등반의 세계에는 등정주의(登頂主義)와 등로주의(登路主義)가 있다. 등정주의는 루트에 무관하게 정상 등정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등로주의란 보다 어렵고 험난한 루트를 택해 정상을 향해 오르는 것이다. 세계적인 등반가들은 당연히 등로주의를 추구해왔고, 한국 산악인들 역시 등정주의에서 점차 등로주의 쪽으로 나아가고 있다.

AppaSherpa.jpg그런 메스너도 네팔 세르파들을 제외한 나머지 나라 산악인과 비교할 때 출중할 뿐이다. 2002년 쿰부트레킹 때 남체바자르 서쪽 타미(Thame)의 서미트 롯지에서 머물 때 롯지 주인인 압빠 세르파(Appa Sherpa, 1962~ )를 만난 적이 있다. 그의 롯지 식당 벽에는 얼마 전 에베레스트를 12번을 올랐다고 해서 기네스북에서 수여한 세계기록증이 식당에 걸려 있었다.

어릴 때부터 원정대와 트레킹 팀의 포터 일을 해온 그는 1990년 뉴질랜드 팀의 세르파로 처음 에베레스트 정상에 올랐다. 그리고 2007년 5월 17번째로 에베레스트 정상을 밟았다. 따져보니 17년 동안 매 년 한 번씩 오른 셈이다. 만일 그가 원정대처럼 스폰서의 후원을 받아 마음먹고 오른다면 히말라야 14좌 완등을 가장 빠른 기간 내에 마칠 것은 자명한 일이다.

그는 항상 알파인스타일로 오른다. 왜냐하면 그는 정상에 오르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 원정대가 정상에 잘 오르도록 로프를 깔고 대원들을 안내하기 위해 고용한 세르파이기 때문이다. 네팔에는 그와 같은 세르파들이 부지기수다. 압빠 세르파는 2006년 미국 후원자들의 도움으로 가족(아내와 네 자녀)이 모두 유타주의 드래퍼(Draper)로 이주해서 살고 있다. 그곳에서 그는 현지 등산점에서 일하고 강의도 하며 필요하면 에베레스트를 안내하는 세르파 일을 한다고 한다. 그래서 그의 신기록은 계속 진행중이다. 말을 하다보니 잘 알지 못하는 등반에 대한 이야기로 흘렀는데, 결론적으로 내가 하고 싶은 말은 이렇다.

"세르파와 포터가 없으면 히말라야 등반도 없고 트레킹도 없다. 그러니 항상 그들의 노고에 감사하자."

*   *   *

만반의 준비를 마치고 4시에 출발했다. 오늘 구간이 마나슬루 트레킹에서 제일 힘든 구간이다. 그리고 히말라야 트레킹에서 몇 안되는 최고의 풍광을 볼 수 있는 구간이기도 하다. 다람살라에서 라르키아 라까지 763m 올라간 후 그곳에서 빔탕까지 1493m 내려가야 한다. 그러나 그것은 어느 트레킹이든 고개를 넘는 구간은 다 비슷한 상황이니 특별할 것은 없다. 아무리 어렵다 해도 야크와 말이 넘을 수 없는 촐라패스보다는 쉬울 것이다. 촐라패스와 고쿄 사이에는 초오유에서 내려오는 고줌파 빙하를 횡단하여 건너야 하는 어려움도 있다.

안나푸르나 라운딩에서 토롱페디 하이캠프(4800m)에서 토롱 라까지 616m 올라갔다가 묵티나트까지 1616m 내려간다. 쿰부 트레킹에서 촐라패스를 넘자면 닥락에서 고개까지 720m 올랐다가 종라까지 570m 내려간다. 랑탕에서 헬람부로 넘어가는 고개인 로우레비나 패스는 5000m 이하라 조금 수월한 편이지만 그곳도 4321m의 고사인꾼드에서 383m 오른 후 고개 넘어 로우레비나 페디까지 1060m를 내려가는 일정이다.

고개를 안 넘으면 모를까(안나푸르나 라운딩에서는 선택의 여지가 없지만) 넘으려면 각오를 단단히 해야 한다. 그리고 그런 고개를 넘지 않는 4000m 이하의 히말라야 트레킹은 아무래도 설산의 멋진 풍광을 멀리서 보기 때문에 웅장한 느낌이 떨어진다. 예외가 있다면 ABC 트레킹처럼 장엄한 안나푸르나 남벽의 일출을 코앞에서 보는 경우인데, 그 경우 역시 막다른 골목으로 갔다가 되돌아 내려오는 하산길은 큰 재미가 없는 것이 사실이다.

길은 바로 오르막이다. 어두운 새벽에 반딧불 같은 헤드렌턴 불빛이 날아다니고 있다. 타시가 앞장서고 내가 제일 뒤에서 불을 밝혔다. 이번에 오면서 강력한 헤드랜턴을 하나 마련했다. 지금까지 쓰던 프랑스의 페츨(petzl) 헤드랜턴은 작년 무스탕 벽화 감상 때 불합격 판정을 받았다. 좀 더 강력한 후레시가 필요했다. 그래서 여기저기 뒤진 끝에 독일제 헤드랜턴 루시도를 발견했다.

lucido.jpg이 헤드랜턴은 정말 마음에 든다. 무엇보다 자동차의 하이빔처럼 120m 전방을 강력하게 비추는 서치라이트 기능은 압권이다. 트레킹 첫날 밤중 아루갓바자르를 가는 구불구불한 찻길에서 나는 이 랜턴을 든 손을 창문밖으로 내밀어 길을 비춰주었다. 차에서 내려 숙소로 가는 어두운 밤길에서도 불도 없이 미끄러운 비탈길을 내려가는 포터들을 뒤에서 비춰주었다.

평소에는 2단 정도면 족하다. 그러나 오늘 같은 달이 진 후의 어두운 새벽에는 뒤에서 서치라이트로 비춰주면 앞에 가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된다. (내가 살 때인 2006년 8월에는 74,000원 했는데 최근 새 모델이 나오면서 값이 많이 올라 108,000원이나 한다. 그래도 등산을 자주 하는 사람이라면 하나 사 둘만하다).

트레커들은 각자 헤드랜턴이 있으니 알아서 잘 가지만 얼마 후 따라 온 포터들은 어두운 길을 불도 없이 추월해 간다. 포터들에게도 오늘 새벽은 헤드랜턴이 필요하다. 그러나 개인별로 가져오지도 않고 여행사에서도 지급하지 않는다. 이들에게는 익숙한 일이지만 우리는 이해하기 어려운 네팔의 현실이다. 한참 비춰주며 따라갔다. 속도가 빠른 포터들은 곧 시야에서 사라졌다.

dharamsala-larkyala.jpg두꺼운 고소장갑을 껴도 손이 시럽다. 안면마스크가 없었다면 얼굴이 고생했을 것이다. 모레인 언덕길을 오르는 시작부터 모두들 힘들어 한다. 라르키아 라까지 가는 길 전반부는 라르키아 피크에서 내려오는 빙하 모레인지대를 따라 거슬러 오르는 길이다.  

오늘부터 보명화 보살님의 배낭은 타시가 맡고 무진행 보살님의 배낭은 밍마가 맡았다. 이 두 분의 컨디션이 제일 좋지 않다. 고소와 식욕부진으로 체력이 많이 떨어진 상태다. 뒤에서 보니 계속 발걸음이 늦어진다. '쉬면서 오르기' 주법을 따라하도록 내가 앞장을 섰는데 얼마나 잘 따라했는지는 알 길이 없다.

출발한지 1시간 지나자 서서히 여명이 밝아온다. 왼편으로 빙하호수가 보였다. 타시가 돌맹이를 던지니 호수 위에서 팅겨 나간다. 꽁꽁 얼어 있다. 6시 40분, 일출이 시작되어 해가 서쪽 산 꼭대기를 비추기 시작했다. 이미 만년설 지대로 들어와 주변에 눈이 쌓여 있다.  오르막이라 30분 이상 계속 운행하기 어려워 틈나는 대로 쉬면서 운행했다. 제법 많이 쌓인 눈길로 접어들었지만 얼어 있고 러셀이 잘 되어 있어 체력이 문제지 운행하기에는 어렵지는 않다. 햇볕 속으로 들어오니 일단 추위는 가셨다.

오전 7시, 돌집이 있는 대피소에 도착했다. 키친보이 푸르바가 점심을 가지고 동행하고 있다. 배는 고프지 않고 오직 목이 말라 보온병에 담아 온 레몬 티 한 잔씩 마셨다. 5000m 가까운 고도의 눈길에서 3시간 운행을 한 탓에 모두들 지쳐 양지녁에 돌 위에 아무 생각없이 앉아 있다. 아직 정신이 말짱한 사람은 별로 없어 보인다. 나도 두통이 조금 있지만 참을 만하다. 앞으로 두 시간만 가면 고개가 나올 거라고 격려를 했다.

고소를 느끼는 사람은 다이아목스를 먹고 두통이 있는 사람은 두통약을 먹었다. 그곳에서부터 라르키아 라까지는 예상보다 40분 늘어난 2시간 40분 걸렸다. 2시간 40분이라고 하니 가벼운 운행처럼 들리지만 실제로는 많은 노력이 필요했다. 4000m 이하라면 그렇게 힘들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5000m 고도에서 두 시간 이상 오르막을 오르는 일은 평지의 10시간처럼 느껴진다.

예전 기록을 보니 2000년 토롱페디 하이캠프에서 토롱 라까지 2시간 30분 걸렸다. 그 때도 무척 힘들었다. 2002년 쿰부의 촐라패스는 출발하여 고개까지 점심시간 포함하여 무려 7시간 15분 걸렸다. 제일 춥고 힘들었다. 2004년 랑탕 헬람부에서는  3641m의 로우레비나 페디에서  4700m의 로우레비나 패스까지 4시간 50분 걸려 올라갔는데 그 때는 중간 모레인 지대에서 간식을 먹고 오르는 등 그리 힘들었다는 기억은 없다(그래도 현장에서는 가쁜 숨을 몰아쉬었다).

라르키아 라로 가는 길은 낮은 언덕을 계속해서 넘는 일이다. 이정표로 언덕에 세워 놓은 말뚝을 보고 저곳에 가면 고개가 보이려나 하는 기대를 갖는데 막상 올라가면 또 다른 말뚝이 멀리서 "나 잡아 봐라~" 하며 서 있다. 그것이 한 두 번이 아니다. 시야가 너무 탁 터진 것도 걷는 사람에게는 오히려 기운을 빠지게 만든다. 그러나 그만큼 풍광이 좋다. 끝없이 이어진 넓은 설원과 주변 설산의 풍경은 과연 밥(Bob)의 말이 사실임을 증명해주었다. 라르키아 라에 대한 그의 글은 이번 마나슬루행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나는 히말라야의 많은 고개를 넘었다. 그러나 라르키야 라는 히말라야에서 가장 장엄한 고개 중 하나이다. 아마 가장 장엄할 것이다. 우리 너머로 고개는 빙하로 가파르게 내려가고 있고 빙하 위로는 거칠 것 없는 수 천 미터의 봉우리들이 솟아 있다. 대부분 7000m미터 급(힘룽 히말 등)이다. 물론 그 가운데는 마나슬루와 안나푸르나도 있다. 안나푸르나는 앞으로 계속 보게 될 것이다. (Bob Rosenbaum, Bob's explores the Manaslu and Nar-Phu region, 2004)

눈표범의 발자국을 본 것은 뜻밖이었다. 눈표범을 직접 볼 수 있다면 더 이상의 영광이 없겠지만 은밀하게 움직이는 눈표범을 직접 보기란 하늘의 별따기다. BBC 다큐멘터리 촬영팀은 위장막을 치고 몇 주씩 기다려서 겨우 찍었다. 우리에게 이런 행운이 온 것은 눈이 내린 덕분이다. 그런데 이 높은 곳까지 어슬렁거리는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 결론은 만년설로 뒤덮여 있는 이곳에도 산양 등이 서식한다는 말이다.

추위는 가셨다. 바람이 불지 않아 이제는 오히려 더워 고소모자를 넓은 챙의 운행모자로 바꾸어 썼다. 장갑도 가벼운 것으로 바꾸고 아윈드 스토퍼도 벗었다. 폴라텍 파워스트레치 차림만으로도 충분한 날씨다. 그리고 안면마스크도 벗으려다 설면에 반사되어 오는 복사열이 엄청 뜨거워 그대로 착용했다. TV에서 원정대들의 얼굴(특히 코)이 시커멓게 탄 것이 이 복사열에 의한 화상 때문이다. 도대체 얼마나 뜨겁길래 저 정도일까 생각했는데 이곳에 오니 실감이 난다.

설원에서는 설맹의 위험도 크다. 설맹이란 에서 반사 햇빛 때문 각막이나 결막 일어 염증으로 일시적으로 앞이 보이지 않는다. 이곳은 선글라스를 껴도 눈이 부실 정도다. 도대체 눈에 반사되는 햇빛이 얼마나 강한지 궁금해서 선그라스를 슬쩍 내려보았다. 그랬더니 어마어마하게 밝은 빛이 들어오는데 마치 예리한 칼이 눈을 찌르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타시가 선글라스가 없는 포터들을 위해 일찍 넘자고 한 것은 잘 한 일이었다.

이런 넓고 긴 설원은 처음이다. 랑탕의 로우레비나 패스 넘어 고사인 꾼드 쪽으로 넘어갔을  때 잠시 눈밭을 걸었지만 이처럼 온 사방이 눈으로 둘러싸인 곳은 그리 길지 않다. 촐라 패스도 정상 부근에 있는 만년설을 지나면 그뿐이다. 토롱 라도 눈이 내려 끝없는 설원이 펼쳐진 사진을 보았는데 내가 갔을 때는 전혀 내리지 않아 달표면을 걷는 듯 삭막했다.

눈이 있으면 더 힘들기는 해도 그림이 좋다. 그러나 눈이 항상 있는 것은 아니다. 2000년 11월 이곳을 지나간 쉴즈부부와 한달 후 지나간 칼스텐은 모래땅만 보았다.  2004년의 밥과 2005년 12월 안드레스는 눈밭을 지나갔다. 운이 좋으면 우리처럼 며칠 전에 눈이 내려 굳어 있는 상태에서 다른 팀이 먼저 러셀을 해 놓는다. 운이 보통이면 황량한 모레인 지대를 지난다. 운이 나쁘면 눈이 하루나 이틀 전 내려 새로 눈길을 만들며 가야 한다.

가장 운이 나쁠 경우는 눈이 내릴 때다. 이때는 출발 전 기상 상태를 보고 웬만하면 출발하지 말아야 한다. 히말라야의 눈이나 비는 며칠씩 계속 내리는 법이 드무니 하루나 이틀 기다리면 그친다. 눈이 계속 내린다면 눈이 그쳐도 당분간 길을 뚫기 어려우니 미련만 남겨두고 되돌아와야 한다. 목숨까지 담보하면서 고개를 넘을 필요는 없다. 마나슬루 여신의 뜻으로 생각하고 다음을 기약하는 것이 좋다. 대자연 속에서는 항상 자연에 순응하는 자세가 몸에 이롭다.

모두들 지쳐 비몸사몽의 상태다. "내가 짱군가 보다. 뭐하러 이 힘든 곳을 왔지? 절대로 다시는 오지 말아야지." 이런 생각을 하면서 걷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만큼 힘이 드는 운행이다. 하지만 인간은 망각의 동물이라 편의시설이 완비된 도시의 생활을 하다보면 입에 맞는 음식과 편안한 잠자리의 고마움을 당연한 것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일상이 따분해지면 다시 히말라야의 설산을 꿈꾼다. 그때는 당시의 고생은 옛날 전설처럼 실감이 나지 않게 된다.

오전 9시 40분, 드디어 라르키아 라에 도착했다. 백산스님이 일착이고 내가 두 번째다. 수직으로 오르는 마지막 5m가 그렇게 힘들 수 없다. 돌아보니 가쁜 숨을 쉬며 오는 동포들이 힘들어 보인다. 10여 분 지나 차례로 도착했다. 중간에 오던 혜명화 보살은 꼴찌로 쳐지더니 마지막 오르막 아래에서 "스님, 저는 여기서 쉬면 안돼요?" 한다. "뭐, 거기서 쉬나, 여기서 쉬나 관계없지." 말이 떨어지기 무섭게 배낭을 풀더니 그 위에 엎드린다. 지치긴 지쳤나 보다. 잠시 후 다시 말했다. "웬만하면 올라와서 쉬지?"

무진행 보살님은 오자마자 물부터 정신없이 마신다. 이삼일 음식을 잘 못먹어 에너지가 많이 부족하다. 입맛이 여전히 없는 것이 문제다. 원래 이곳에서 도시락을 먹을 예정이었는데 아무도 먹고 싶지 않다고 한다. 초코릿바도 사양한다. 이럴 때일수록 억지로라도 먹어야 하는 것을 알지만 너무 지쳐 식욕이 나지 않는 듯하다. 그래서 초콜릿바는 나와 스태프들만 먹었다. 나중에 고개를 내려 온 후 누군가 백산스님에게 어떻게 그 힘든 고개에 제일 먼저 도착할 수 있었느냐고 물으니 백산스님의 대답이 걸작이다.

"말 마세요. 얼마나 두통이 심한지 빨리 고개를 넘어 내려가야겠다는 생각으로 죽자사자 걸었습니다."

Manaslu_1133.jpg이곳에 걸려고 보드나트에서 산 타르초와 카타를 카고백에 넣는 바람에 허공만 쳐다보고 말았다. 어제 저녁 식당텐트에서 '카고백에 있는 타르초를 배낭에 옮겨야지' 하는 생각을 했지만 돌아서서 잊어버렸다. 산소가 부족한 고산이 뇌에 미친 영향이다(나중에 타르초와 카타는 토굴에 걸었다). 산 아래쪽으로  지붕이 미완성인 대피소용 돌집이 하나 있다.  안드레스는 "아마 이 건물은 삼도 사람들이 지었는데 이곳을 지나가던 어떤 상인들이 나무를 뜯어 화목으로 썼을지 모른다."라고 쓰고 있다.

갑자기 라르키아 피크 상단부에서 연기가 나더니 구름으로 변한다. 눈사태임을 직감적으로 알았다. 처음에는 아주 약한 연기처럼 피어나더니 순식간에 구름이 몰려 내려오는 모습으로 변한다. 사실은 모두 눈이다. 이렇게 가까이에서 눈사태를 보는 것이 실감나지 않았다. 운행중이었다 해도 길과 산 사이에 낮은 계곡이 완충지대로 있어 위험하지는 않다. 그래도 눈 바람은 피할 수 없었을 것 같다.

열흘 전 내린 눈이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하다가 결국 오늘 오전 10시, 햇볕에 녹은 눈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쓸려 내려온 것이다. 히말라야 트레킹 중 눈사태 위험이 있는 곳은 ABC와 다울라기리 트레킹인데 그 구간을 통과할 때는 반드시 햇볕에 눈이 녹기 전인 오전 일찍 지나가야 한다.

이번 트레킹에서 많은 것을 보았다. 마모트에 산양에 눈표범 발자국에 눈사태까지. 마나슬루는 많은 것을 보여주고 있다. 예티의 발자국까지 보았다면 금상첨화였을 것이다. 2004년 이곳에서 밥은 예티의 발자국을 보았다고 한다. 사진이 없으니 증명할 수는 없으나 그의 말이 거짓말이라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yeti_3.jpg예티라는 말은 티베트어 '예'(yeh-눈의 계곡)와 '테'(teh-사람)에서 왔다. 고산지대에 사는, 인간과 비슷하게 생긴 포착하기 어려운 동물에 대한 개념은 다른 많은 문화권에서도 적용되어 왔다. 티베트 사람들은 그것을 예테(ye-teh), 마테(mah-teh) 혹은 메턴 캉미(mehton-kangmi)라고 부르는데 메턴 캉미는 '설인'으로 번역된다. 예티 발자국 사진은 1951년 에릭 쉽턴이 에베레스트에서 찍은 것이 가장 유명하다.

20여 분 쉰 후 모두 아이젠을 착용하고 15분 거리의 두 번째 고개로 갔다. 이 두 고개 사이는 거의 수평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니까 첫 번째와 두 번째로 나누는 것은 편의상 붙인 것이고 실제로는 라르키아 라의 서쪽 끝과 동쪽 끝이라고 해야 한다. 전망은 빔탕 방향인 동쪽이 좋다. 서쪽 고개는 북쪽의 산비탈이 전망을 비스듬하게 가로막고 있다.

trel_14_sat_1.jpg동쪽 고개에서 본 풍광은 과연 소문대로 굉장하다. 명불허전(名不虛傳)이다. 서쪽인 삼도쪽 풍경은 줄곳 보던 모습이라 이젠 특별할 것이 없다. 그러나 동쪽은 새로운 풍경이다. 강인한 인상을 주는 검은 바위 연봉인 키치게(Kichke) 히말이 앞을 가로막고 있는데 그 뒤 왼편으로 람중히말과 안나푸르나 2봉(7937m)이 머리를 내밀고 있다. 오르편으로는 강구루(Kang Guru, 6981m)와 힘룽(Himrung) 히말(7125m)이 고깔모양의 머리를 보여주고 있다. 히말라야는 역시 이런 호쾌한 파노라마를 보는 기분이 제일이다.

일단 동쪽과 서쪽을 배경으로 기념사진을 찍고 조금 쉬다가 10시 35분 하산을 시작했다. 그래도 두 고개에서 머문 시간이 1시간 가까이 된다. 급경사 내리막길이라고 하지만 오르막길 보다는 쉽다. 잠시 완만한 내리막길이 나오더니 말 그대로 고꾸라지는 듯한 비탈길이 나왔다. 눈도 이제 많이 녹은 상태라 발이 빠진다. 아이젠이 많은 도움이 되었다. 그래도 차라리 눈길이 낫다. 눈이 내리지 않았다면 미끄러운 모래길이라 운행이 더 어려웠을 것이다.

동쪽 경치는 고개보다 내려오는 도중이 더 좋다. 고개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오른쪽 체오체오히말(Cheo Himal, 6912m)까지 파노라마로 보인다. 아래쪽으로는 빙하지대와 파란 빙하호수도 보인다. 가파른 비탈길을 조심스레 걸어야 하니 경치를 제대로 감상할 여유는 없지만 잠시 서서 쉴 때마다 마음껏 풍광을 즐겼다. 길은 지그재그로 끝없이 내려가고 있다. 이제는 눈이 질퍽하여 가끔 미끄러지기도 한다.

멀리 앞에 가던 보명화 보살님이 미끄럼을 타며 내려가는 모습을 보고 깜짝 놀랐다. 잘못하면 빙하 계곡으로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곳에 가까이 가 보니 정말로 그랬다. 얼마 전 통화를 할 기회가 있어 그 때 왜 미끄럼을 탔느냐고 물어보았다(네팔에서 물어볼 생각이었는데 이 역시 깜박했다). 대답은 일부러 미끄럼을 즐기기 위해서가 아니라  "하도 힘들어서"였으며 곧 위험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가슴을 쓸어내렸다고 한다. 체력이 바닥난 상태에서는 내리막길도 힘든 법이다.

12시 15분, 눈밭이 끝나고 모레인지대가 시작되었다. 앞에 가던 타시는 쏜살같이 내려가 이미 모레인 아래에 앉아 있다. 힘이 드니 슬며시 짜증이 났다. 고개에 오를 때에도 먼저 가 버려 따라가던 사람들의 기운이 빠졌다. 각자 자기의 속도로 가는 것이 원칙이지만 웬만하면 속도를 비슷하게 해야 뒤에 따라가는 사람의 힘이 덜 빠진다. 하물며 가이드라는 작자가 손님들은 내팽개치고 혼자 휭하니 가 버리다니.

제일 먼저 내려가 인상을 잔뜩 쓰며 앉아 있는 타시를 불렀다.

"타시, 당신은 트레커입니까, 가이드입니까?"
내 표정이 심상치 않자 타시가 긴장한다.
"써, 가이드입니다."
"가이드라면 항상 트레커와 같이 움직여야 되지 않나요? 내리막길에서 어떤 일이 생길지 모르는데 약품가방까지 든 당신이 그렇게 가 버리면 어떻합니까? 나는 당신이 트레커인줄 알았어요."
"소리, 써."
타시가 계속 죄송하다고 한다.

일단 알아들었을 것이라 더 이상 추궁하지는 않았다. 지금까지는 어떤 식으로 가이드를 했는지는 모르지만 앞으로는 그러지 않을 것이다. 2004년 랑탕 헬람부 트레킹 때 삼툭도 오늘과 비슷한 일로 나에게 꾸중을 들은 적이 있다. 내가 까다로워 그런 것이 아니다. 짐만 나르는 포터라면 상관없지만 가이드는 항상 고객을 밀착수행할 의무가 있다. 그래서 임금도 더 많이 주는 것 아니겠는가.

4600m.jpg시간을 보니 12시 30분이다. 현재 고도는 4600m. 2시간 동안 줄기차게 내려왔지만 고도를 보니 600m밖에 내려오지 못했다. 이곳의 고도는 다람살라와 비슷하다. 목적지 빔탕이 3720m니 아직도 1100m를 더 내려가야 한다. 풍경은 이곳도 굉장하다. 바로 오른편에 있는 장엄한 산과 빙하는 다른 어느 곳과 견주어도 자랑할 만하다. 마나슬루 트레킹을 "네팔 트레킹에서 가장 장엄한 풍광을 볼 수 있는 곳 중 하나"로 칭송하는 이유를 알겠다. 이곳에서 조금 아래로 내려가면 세 개의 거대한 빙하가 하나로 합쳐진다.

풍광은 좋다. 그러나 갈 길이 멀고 몸은 지쳤다. 이곳에서 늦은 점심을 펼쳤지만 모두 식욕이 없어 삶은 계란만 먹는둥 마는둥 한다. 보온병에 담아 온 레몬티도 다 마시고 없다. 물통의 물도 달랑거리고 있다. 타시가 밍마를 먼저 보내 주방팀에게 누룽지와 물을 가져오게 하는 것은 어떨지 묻는다. 여기서 빔탕까지 얼마 걸리느냐고 물으니 1시간 정도 걸린다고 한다. 그렇게 가깝다고! 그렇다면 여기서 기다렸다가 누룽지를 먹고 힘을 내어 내려가도 될 것 같다.

밍마가 임무를 지니고 내려갔다. 동포들은 모두 편안한 자세로 쉬었다. 실제로는 쓰러진 모습이다. 에너지 고갈인 상태인데다 아직 고소의 영향권에 있어서 제정신이 아니다. 조금 쉬다가 문득 기왕이면 내려가다가 만나면 더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오후 1시 경 모두 깨워 출발했는데 결과적으로 잘 한 결정이었다. 네팔리들이 말하는 시간은 항상 자기들 기준으로 말한다는 사실을 깜박 잊고 느긋했던 것이다.

조금만 생각하다면 1100m 하강을 한 시간에 한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들은 적어도 두 시간 이상 걸린다. 길은 한결 수월했다. 키치케 히말은 여전히 앞에서 멋진 풍경을 보여주었다. 작은 고개에서 잠시 쉬면서 체오 히말과 빙하를 마지막으로 보았다. 이제부터는 빙하 모레인 언덕 아래쪽으로 내려가기 때문에 빙하가 보이지 않는다.

Manaslu_1190.jpg그런데 내리막길이 완만하여 도대체 4000m 이하로 내려갈 생각을 하지 않는다. 며칠 전만 해도 언제 수목한계선으로 올라가나 조바심을 냈다. 이제는 반대로 언제 수목한계선 아래로 가나 하는 생각이 든다. 라르키아 라는 운무에 덮여 보이지 않는다. 슬슬 운무가 낄 시간이 되었다. 2시 30분이 되어서야 처음 나무를 만났다. 이제야 수목한계선으로 내려온 것이다. 아직 목재는 아니고 '관목 형님뻘' 정도의 가는 가지가 있는 나무다. 가지마다 실 같은 모양의 이끼류 식물이 붙어 있다. 오후면 어김없이 올라오는 운무의 습기로 생긴 현상이다. 산 아래 작은 개울에는 맑은 물이 흐르고 있다.

그곳에서 쉬는데 모두 물이 떨어져 목이 말랐다. 각자 지니고 온 1리터의 물이 모자랐다. 대부분 고개에 올랐을 때 이미 3분의 2를 마셨다. 목은 타는데 물이 없으니 난감하다. 그제서야 이 지점에서 쉴즈부부 팀이 정화제 아이오다인을 이용해 냇물을 마셨다는 대목이 기억났다.

약 2시간 후 우리는 포터들이 자기들의 점심을 짓고 있는 작은 평지에 도착했다. 거기에서 우리는 배낭을 풀고 1시간 가량 쉬었다. 우리는 고산병과 싸우고 다이아목스를 먹느라 물을 많이 먹은 탓에 모두 물이 떨어졌다. 톰이 아이오다인 정제를 찾아냈다. 그리고 우리 모두는 근처 개울물을 물통에 채우고 아이오다인을 넣었다. 빌도 중화제를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우리 모두는 계속 내려가는 도중에 맛있는 물을 마실 수 있었다. (Tom & Louisa Shields, )

나는 지금까지 한 번도 정화제를 사용한 적이 없다. 롯지트레킹 때는 끓인 물을 사먹을 수 있으니 굳이 물값을 아끼느라 정화제를 쓸 일이 없었다. 타시에게 물병을 주며 냇물을 좀 떠오라고 부탁했다. 지금까지 히말라야 계곡의 물을 몇 번 먹은 적이 있고 별 탈이 없었다. 이곳은 빙하에 가까운 물이나 지류 계곡이라 그런지 물이 맑다. 랑탕의 랑시샤 카르카에서는 맑은 물이었어도 석회냄새가 진하게 났다. 다행히 이곳은 물맛이 좋다. 모두들 한 모금식 마셔 목을 축였다.

그 때 물은 잘 먹었지만 돌아와 레이놀즈의 글 <트레킹 중 건강문제(On-Trek Health Matters)>를 보다가 그것은 위험한 일이었다는 사실을 알았다. 위경련, 설사, 탈수를 일으키는 불결한 기생충인 편모충은 빙하에서도 살고 있다고 한다. 다행히 우리에게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지만 앞으로는 그런 모험을 하지 않고 정화제 아이오다인을 준비할 생각이다.

길은 점점 넓어졌다. 몇 군데 넓은 초지도 지났다. 운무가 점점 올라와 기온이 많이 내려갔다. 오후 2시 40분, 주방팀인 빠상과 푸르바가 기다리고 있는 풀밭에 도착했다. 어찌나 반가운지 저절로 "만세~"하는 소리가 나왔다. 멀리 모레인 언덕 아래 끝으로 빔탕이 보였다. 그곳까지는 아직 한참 더 가야 한다.

중국제 보온병에 누룽지를 끓여 담아오고 감자를 삶아와 맛있게 먹었다. 무진행 보살님은 아직도 식욕이 없어 누룽지는 별로 먹지 않고 숭늉만 마신다. 모두들 지쳐 있지만 이제 목적지가 가까이 있다는 사실에 한결 느긋한 표정이다. 가장 어려운 코스를 무사히 마쳤다는 안도감도 들었다. 수고한 빠상과 푸르바에게 팁으로 100루삐씩 주었다. 안주어도 당연히 제공하는 서비스지만 기분이 좋으면 가끔 특별팁을 주는 것도 좋다.

아주 넓은 초지가 있는 빔탕에 도착한 시각은 오후 3시 20분. 소박한 롯지가 몇 개 보인다. 긴 하루의 일정을 마쳤다. 새벽 4시에 다람살라를 출발했으니 11시간 20분 걸렸다. 웬만한 사람은 9시간 걸린다는데 노약자가 대부분인 우리팀의 +2시간 20분은 그런대로 양호한 성적이다. 이미 텐트는 다 쳐 놓았다. 넓은 초지는 오늘도 우리팀의 독무대다.

타시에 의하면 우리를 추월했던 포터들은 대부분 오전 10시 30분 경에 도착했다고 하니 얼마나 빨리 고개를 넘었는지 알 만하다. 한 포터는 오전 8시에 도착했다고 해서 혀를 내둘렀다. 사고도 있었다. 한 친구가 눈길에서 넘어져 굴러 떨어졌다고 한다. 다행히 무릎에 약간의 타박상만 입어 절뚝거리는 정도다. 이 친구는 다람살라에서도 감기로 고생해서 약을 타갔다. 무진행 보살님이 가지고 온 한방파스를 붙여주고 진통제를 주었다. 여분의 파스를 주어 내일 또 붙이라고 했다. 다행히 크게 다치지는 않았는지 나머지 4일간의 일정을 마칠 때까지 문제가 없었다.

라르키아 라를 넘었으니 마나슬루 트레킹에서 어려운 구간은 이제 다 마쳤다. 내일부터는 내려가는 일만 남았다. 라르키아 라를 넘은 기념으로 맥주 두 병(한 병에 270루삐)을 사서 건배를 했다. 3700고지라 밤이 되니 쌀쌀했지만 오랜만에 고소에서 벗어나 편안한 잠을 잤다. 감기도 어느새 사라지고 없다.
 

trek 14. 다람살라 - 라르키아 라 - 빔탕  (top으로)

trek13_map.jpg

manaslu_map_T.jpg

Sama-Samdo-Bimtang_map.jpg

trel_14_sat_2.jpg                trel_14_sat_3.jpg

Manaslu_1108.jpg

Manaslu_1112.jpg

출발한지 두 시간 지나 왼편으로 나타난 얼어붙은 방하호수. 길에서 한참 아래에있다. 6시 40분 일출이 시작되어 기념사진을 찍었다. 우리에게 스패츠가 필요없다고 한 타시 자신은 스패츠를 차고 있다.

Manaslu_1113.jpg

Manaslu_1115.jpg

잠시 후 대피소 오두막 앞에서 휴식. 5천미터에서의 3시간 운행으로 모두 지치기 시작했다.  6249m의 라르키아 피크가 손에 잡힐 듯하지만 실제로는 제법 멀다. 산 중간에 쌓여 있는 눈은 나중에 눈사태로 쏟아져 장관을 보여주었다.

Manaslu_1116.jpg

Manaslu_1117.jpg

끝없이 나나타는 오르막 언덕. 꼭대기마다 서 있는 말뚝이 약을 올리는 것 처럼 느껴졌다. 그러나 뜻밖에 눈표범의 발자국을 보는 영광(?)을 누리기도 했다.

Manaslu_1118.jpg

Manaslu_1122.jpg

끝없는 언덕은 계속 되었다. 며칠 음식을 잘 먹지 못한 무진행 보살님이 지친 몸을 이끌고 올라가고 있다. 아무튼 대단한 노익장이다. 젊은 사람들도 모두 힘들어 헤매는 중이다. 힘이 드니 이 멋진 풍경도 눈에 잘 들어오지 않을 것이다.

Manaslu_1127.jpg

Manaslu_1131.jpg

마침내 라르키아 라임을 알리는 타르초가 보였다. 제알 앞에 가던 백산스님이 길에서 숨을 고르고 있다. 고개에는 9시 40분 도착했다.

Manaslu_1128.jpg

Manaslu_1132.jpg

뒤에서 열심히 올라오고 있는 나머지 사람들. 마지막 주자인 혜명화 보살이 제일 힘들어 하고 있다. 고개에 도착하여 정신없이 물을 마시는 무진행 보살님.

Manaslu_1136.jpg

Manaslu_1138.jpg

Manaslu_1140.jpg

Manaslu_1141.jpg

첫 번째 고개에서 쉬고 있는데 갑자기 우르릉 소리가 나더니 눈사태가 일어났다. 전혀 위험하지 않은 가까운 거리에서 눈사태를 보는 것은 행운이다. 도중에 선글라스 알이 하나 빠진 타시는 카타로 오른쪽 눈을 가리고 있다.

Manaslu_1142.jpg

manaslu_pano_0013.jpg

잠시 쉰 후 15분 거리의 두 번째 고개로 가다. 조그만 동산에 말뚝이 하나 서 있는 곳이다.  가는 도중 뒤를 돌아보니 팡푸치가 여전히 내려다보고 있다.

Manaslu_1144.jpg

라르키아 라에서 서쪽과 북쪽을 배경으로 기념사진을 찍었다. 히말라야 전체 트레킹 코스에서도 트레킹 도중 이렇게 풍광이 좋은 고개는 그리 흔하지 않다. 그런데 춥지도 않은지 밍마 세르파는 어제부터 계속 반팔차림이다.

Manaslu_1148.jpg

Manaslu_1153.jpg

기념사진을 찍은 후 다시 피곤모드로 돌아가 잠시 쉰 후 하산을 시작했다.

Manaslu_1161.jpg

Manaslu_1162.jpg

급경사 내리막 눈길. 길은 중앙이 아닌 왼편 언덕으로 나 있다. 그래도 눈이 있어 모래길보다는 운행이 쉬웠고 경치도 좋았다.

Manaslu_1163.jpg

Manaslu_1165.jpg

너무 피곤해 미끄럼타고 내려가는 보명화 보살님을 백산스님이 놀라 돌아보고 있다. 그곳에서 보는 체오히말과 빙하는 정말로 멋있다.

Manaslu_1167.jpg

Manaslu_1168.jpg

정면으로 보이는 키치케 히말의 검은 바위 산 연봉. 이제 눈길은 끝나고 팍팍한 모레인 지대가 나타났다. 멀리 아래쪽 빙하 옆에는 쏜살같이 내려간 타시가 앉아 있다. 나중에 타시는 나에게 한 소리 들었다.

그곳에서 삶은 계란으로 늦은 점심을 먹는둥 마는둥 하고 각자의 취향대로 쉬었다. 아직도 고소의 영향이 빵빵한 4600m 지점이고 이미 8시간 30분 간의 운행으로 많이 지쳤다. 타시가 심히 걱정스런 표정으로 보고 있다.

Manaslu_1178.jpg        Manaslu_1179.jpg        Manaslu_1180.jpg

키치케 히말을 바라보며 다시 하산 시작. 마지막 언덕에서 본 체오히말과 빙하

Manaslu_1182.jpg

Manaslu_1185.jpg

고도가 좀처럼 4000m 이하로 떨어지지 않았다. 멀리 왼편 산모퉁이를 돈 후에도 한참 더 가야 빔탕이 나온다. 돌아보니  라르키아 라는 운무가 가리기 시작했다.

Manaslu_1192.jpg

Manaslu_1193.jpg

주방팀 빠상과 푸르바가 누룽지와 삶은 감자를 가지고 마중나왔다. 꿀맛이다. 멀리 개여울이 흐르는 넓은 분지의 빔탕이 보인다.

Manaslu_1195.jpg

Manaslu_1197.jpg

드디어 산길에서 초지로 내려왔다. 그리고 오후 3시 20분, 롯지 몇 채가 있는 넓은 초지의 빔탕에 도착했다. 기나긴 하루의 운행이 끝났다. 마나슬루 트레킹은 오늘 일정을 끝으로 어려운 구간은 더 이상 없다. 주인을 기다리고 있는 텐트를 보니 반가웠다.


라르키아 라에서 본 서쪽 파노라마

라르키아 라에서 본 동쪽 파노라마

라르키아 라에서 동쪽으로 내려가는 도중 본 파노라마

4600m 지점에서 본 북동쪽 체오 히말과 빙하

trek 13. 삼도 - 다람살라

트레킹

출발지

캠핑사이트

고도

소요시간

trek 1

카트만두 - (전세 차량) -  아루갓 바자르

520m

10:20

trek 2

아루갓 바자르

소티 콜라

620m

5:45

trek 3

소티 콜라

마차 콜라

930m

8:10

trek 4

마차 콜라

도반

990m

5

trek 5

도반           

필림

1,550m

7:30

trek 6

필림           

1,895m

4:30

trek 7

뎅               

2,140m

6

trek 8

리히

2,905m

5:45

trek 9

리히

사마가온

3,530m

7

trek 10

사마가온 (고소적응일-빙하호수 방문)

3,680m

3

trek 11

사마가온

삼도

3,850m

3

trek 12

삼도 - 티베트 국경 방문

4,240m

7

trek 13

삼도

다람살라

4,450m

3:35

trek 14

다람살라 - 라르키아 라(5213m) - 빔탕

3,720m

11:20

trek 15

빔탕

띨제

2,335m

8:20

trek 16

띨제

자갓

1,314m

9

trek 17

자갓

나디

930m

7

trek 18

나디 - 불불레 - (전세 차량) - 카트만두

1,400m

11

 


 

순례자들의 휴식처 다람살라

2007. 10. 25(목)


 

어제 밤 마을에서 밤새도록 쿵쿵거리는 소리가 났는데 아침 6시인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쇳소리는 아니고 무슨 통나무 같은 것을 마루바닥에 두드리는 소리다. 어제 보았던 의식이 없는 노인을 위한 푸닥거리일지도 모르겠다. 의사가 없는 이곳에서 병자를 위해 할 수 있는 마지막 수단이다.

텐트 안 기온은 0도를 가리키고 있다. 지금까지는 콧물이 말썽을 부리더니 이제는 코 속이 너무 건조하다. 코피가 묻어 나오는 것은 낮은 기압으로 실핏줄이 터져서 그렇다고 한다. 차고 건조한 기후도 한 몫 하고 있다. 이런 현상은 고산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일이며 몸은 현재 부지런히 현실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하는 중이다.

칼스텐의 여행기를 보니 삼도에서 히말출리의 일출이 훌륭하다고 쓰여 있는데 우리는 놓쳤다. 팡푸치 뒤로 떠오르는 해가 눈이 부시기 때문에 아예 일출에 대한 관심이 없었다. 칼스텐의 여행기를 프린터해 와 매일 반복해서 보는 데도 놓칠 정도니 과연 고산은 고산인 모양이다. 고산에 오면 판단력이 흐려진다. 고소에 걸리면 더 그렇다. 그래서 고소에 걸린 사람을 혼자 내 버려 두는 일은 절대 안되는 일이다.

오늘은 짧은 일정이지만 600m를 올라가야 하니 가벼운 소풍길은 아니다. 그러나 오전에 운행을 마칠 수 있는 거리라 시간 여유가 있으니 천천히 가면 된다. 이 구간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여행기도 어렵다는 말은 없고 오히려 찍은 사진이 멋있어 기대가 되었다. 어제 밤에 다시 본 레이놀즈의 가이드북에는 이 구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이 짧고 아주 쉬운 구간은 라르키아 고개로 가는 도중 대강 중간쯤 되는 곳에 있는 경사진 초지로, 다음날 고개를 넘기 위한 완벽한 베이스캠프를 제공한다. 그곳은 풍광이 장엄한 곳이지만 해가 지면 아주 춥기도 하고 고도도 아주 높아서 고산병이 올 수 있다. 길은 전 구간이 좋다. 오직 한 두 계류를 건널 때 바위에 얼음이 언 상태에서 신중하게 건너야 한다. 메마른 산사태 지역은 노출되어 있어 주의해야 한다. 길을 걸으며 융단이 깔린 듯한 산의 풍경을 즐기고 물을 많이 마셔라. (Kev Reynolds, , pp.75-76)

7시 40분 출발. 아직 해가 비치지 않는 아침이라 고소장갑을 꼈어도 손이 시리다. 어제 티베트 국경으로 가던 갈림길까지 다시 가야 한다. 마을에서 내려와 돌담으로 막아둔 경작지를 따라 가다가 마니월과 카니를 통과하여 부리 간다키 강을 건넜다. 곧 갈림길에 도착했다. 햇볕 아래에 들어오니 추의는 한결 가셨다.

강바닥 넓은 모레인 지대를 지나 오르막을 오른다. 맞은편으로 보이는 톱니처럼 날카로운 바위산이 위협적이다. 언덕을 올라 뒤를 돌아보니 우람한 팡푸치 아래 더욱 작아 보이는 삼도 마을에는 오늘 아침도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어제와 비슷한 풍경이다. 출발한지 1시간 지나자 길은 산허리길로 바뀌었다. 짧은 산사태 구간을 지나니 다시 오르막이 나온다. 어쨋든 오늘부터 내일 라르키아 라를 넘을 때까지 내리막은 없다. 그것이 차라리 낫다. 저지대 계곡을 지날 때처럼 오르막과 내리막이 계속 반복되면 오히려 더 피곤하다.

길을 가는데 이정표 역할을 하는 장대가 중간중간에 서 있다. 지금은 길을 잃을 염려가 없지만 눈이 내릴 경우를 대비한 이정표다. 이 장대는 라르키아 라를 다 넘을 때까지 계속 서 있다. 오르막을 지나니 잠깐 평지가 나온다. 평지는 땅바닥에 풀이 융단처럼 깔려 있다. 이런 모습은 쿰부의 페리체 근처와 비슷하다. 멀리 마나슬루 노스(6416m)가 보이기 시작하고 그 아래로 빙하가 내려오고 있다.

9시 15분 첫 번째 휴식. 해가 어느정도 올라온 탓에 뒤쪽의 팡푸치가 잘 보인다. 체력이 떨어진 상태라 잠간 동안의 운행에도 모두 힘들어 한다. 고도가 점점 높아지니 운행이 쉽지 않다. 그러나 풍광은 좋다. 무진행 보살님이 힘들어 하자 밍마가 배낭을 대신 지겠다고 해서 넘겨주었다. 힘들 때는 단 1kg도 엄천난 무게로 다가온다.

마나슬루 노스가 점점 더 크게 보이고 빙하도 전체가 다 보인다. 산허리길에는 작은 계류도 자주 나온다. 불모지 같은데 어디서 이런 물이 나오는지 모르겠다. 고도는 이미 4000m를 넘어섰다. 길은 완만한 산허리 비탈길이 대부분이라 고도가 높아 숨이 찬 것을 제외하면 운행이 그리 어려운 편은 아니다.

그런데 이 근처에 있다는 바북(Babuk=Larkya Bazar)이 보이지 않아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도에는 삼도에서 다리를 건너면 바로 나오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ㅈ;민 오는 도중 전혀 그럴 만한 곳이 없었다. 바북은 10시 15분, 출발한지  2시간 35분이 지나서야 나타났다. 남형 씨가 계곡 아래쪽을 가리켜 내려다 보니 무너진 돌집들이 넓은 초지에 흩어져 있다. 바로 바북이었다. 바북은 티베트와 정기적인 교역이 이루어졌던 시장이다.

1956년 9월 8일,  여섯 달 동안의 돌포와 무스탕과 마낭 지역을 여행을 마친 스넬그로브 일행(스넬그로브, 네팔인 대학생, 가이드 빠상, 포터 6 등 모두 9명+빔탕에서 고용한 짐 운반용 조 몇 마리)은 빔탕에서 라르키아 라를 넘는다. 그는 라르키아 라가 지금까지 넘었던 고개 중 제일 쉬운 고개였다고 한다.

빔탕에서 라르키아 라를 넘는 것은 토롱 라를 묵티나트에서 넘는 것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스넬그로브는 이미 묵티나트에서 토롱 라를 넘어 마낭으로 왔다. 돌포 지역에서 많은 5천 미터급 고개를 넘으며 산전수전 다 겪은 스텔그로브에게 여행의 마지막 고개인 라르키아 라를 넘는 일은 대수롭지 않았을 것이다.

때는 바야흐로 몬순이 절정을 이룰 때였다. 비를 흠뻑 맞으며 라르키아를 넘은 그들은 유목민 텐트를 발견하고 그 옆에 캠프를 친다. 비는 다음날 아침에도 오락가락했다. 아침에 그들은 조금 더 내려가 바북(인도측량국 조사에는 Larkya로 표기되어 있다고 한다)에 도착한다. 그곳에는 20여 채의 돌 오두막집과 몇 채의 천막이 쳐져 있었다.

바북은 7월부터 10월까지 티베트와 네팔의 교역이 이루어지는 계절시장이다. 우리가 잠시 머물 때 가장 피크를 이루었다. 티베트에서는  소금, 모직, 버터가 오고 네팔에서는 쌀과 곡물이 왔다. 또 세르파 무역상들도 몇 명 있는데 그들은 조(야크와 소의 교배종)를 팔기 위해서 (쿰부에서 낭파라를 넘어 티베트쪽으로 해서 넘어)왔다. 그들은 큰 항아리에 창(티베트 술)과 버터차를 가지고 와 빠상과 세르파말로 즐겁게 소식을 교환했다. (David L. Snellgrove, <Himalaya Pilgrimage>, p. 243)

그곳에서 조금 오르자 마나슬루 북면이 보이기 시작했다. 꼭대기에 구름이 신비한 모습으로 휘감겨 있다. 이곳이 마나슬루를 볼 수 있는 마지막 구간이다. 나중에 빔탕에서도 마나슬루 북서면이 조금 보이기는 하지만 꼭대기만 조금 보이는 데다 너무 이상한 모습이라 마나슬루라는 느낌이 들지 않는다.

Manaslu_trek13_pano1.jpg계속 오르막을 오르며 작은 계류를 건너 작은 고개마루에서 뒤를 돌아보니 바북이 아늑한 곳에 자리잡고 있다. 이제 계곡은 저만치 아래로 내려가 있다. 10시 35분, 멀리 다람살라 전경이 보이는 마지막 고개에 도착했다. 4300m 고지다. 다람살라의 고도는 4450m이니 앞으로 고도를 150m 더 올려야 한다. 돌집 하나가 개미처럼 보이는 거기까지 가는 길이 가물가물하다. 한참 더 가야할 것이다. 그곳에서 쉬면서 마나슬루의 마지막 모습을 감상했다. 이곳을 지나면 앞 산에 가려 더 이상 보이지 않는다.

우리와 동행하고 있는 밍마 세르파와 겔루 세르파는 반팔 차림이다. 무스탕의 로바나 쿰부의 세르파들은 모두 거친 히말라야를 터전으로 살고 있는 강인한 티베트 사람들이다. 밍마 세르파는 나중에 라르키아 라에서도 반팔차림이었다. 그 때는 정신이 없어 몰랐는데 찍은 사진을 보고 알았다. 밍마 세르파는 2006년 2차 무스탕 트레킹 팀의 주방장이었다,

캠핑 트레킹의 주방팀은 포터들보다 일을 더 많이 하면서도 보수는 더 적다. 그 이유는 포터들처럼 따로 식량을 가져와 밥을 지어 먹지 않고 트레커, 가이드, 세르파들과 같은 음식을 먹기 때문이다. 또 한가지 결정적인 이유는 키친보이를 하며 요리를 익히면 테이블 세팅을 담당하는 '부주방장'을 거쳐 주방장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주방장을 거쳐야 세르파로 승진이 가능하다. 세르파가 되려면 반드시 주방부터 들어가야 한다.

그래서 영어공부가 필수다. 키친보이 때는 영어를 몰라도 되지만 테이블 세팅을 담당하는 키친보이는 트레커들과 의사소통이 되어야 하므로 영어를 할 줄 모르면 시키지 않는다. 요리를 익히고 트레커들과 가까이 접촉하고 세르파들과 함께 움직이며 노하우를 익힌 다음에 비로소 관리자급인 세르파 대열에 오른다. 그것이 주방팀이 단지 요리만 하지 않고 캠프에 도착하면 세르파들을 도와 텐트를 설치하는 까닭이다. 레이놀즈의 책에는 이들에 대한 설명이 잘 되어 있다.

히말라야를 처음 방문하는 사람이라면 캠핑 트레킹을 부드럽게 진행하는 스태프들의 사회적 구조를 이해하는 것은 유용하다. 본국의 트레킹 회사를 대표하는 리더에게 전체적인 책임이 있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중요한 결정과 스태프들을 지휘를 하는 사람은 서다(Sirdar)이다.

서다는 현지 트레킹 여행사에서 고용하며 현지 여행사는 본국 여행사 또는 모험적인 여행사에서 고용한다. 서다는 주방요원들과 포터들의 '우두머리'를 뽑으며 트레킹 중 필요에 따라 인원을 고용하고 해고한다. 그는 선택의 여지가 있는 곳이라면 리더와 상의하여 캠프사이트를 고르고 모든 사람들이 행복하도록 트레킹의 리듬을 지휘할 것이다.

트레킹에서 서다 바로 아래는 주방장이다. 보통 이 자리는 장래 서다가 될 목표를 가진 '고참' 세르파가 맡는다. 그는 보조요원으로 몇 명의 '키친보이'들을 둔다. 그리고 이 주방요원들이 트레킹에서 일을 가장 많이 한다. 그들은 새벽 일찍 일어나고 모든 사람들이 긴 하루를 마친 후 코를 골고 있을 때까지 남은 일을 한다.

그 다음은 세르파들이다. 그는 에베레스트 산 아래 있는 솔루 쿰부에서 태어난 고산족인 세르파족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소문자 s로 표기하는 세르파들은 일반적으로 잡일을 한다. 그들은 가이드, 텐트설치, 캠프철거를 한다. 그들은 사람들을 즐겁게 해주고 지나치게 아부하지 않으면서도 그들의 고객들이 특별한 대우를 받고 있음을 느끼게 한다.

그들을 존중해주고 그들의 우정을 즐겨라. 왜냐하면 그들과의 인간적 교류는 전체 여행에서 가장 좋은 경험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포터들에게도 마찬가지다. 당신의 짐을 나르는 남자 또는 어떤 경우 여자 포터들을 단지 인간트럭으로 간주할 것이 아니라 그들의 노동이 당신의 휴가를 가능하도록 만드는 노동전문가로 생각해야 한다.

이 사실을 인식한다면, 그리고 비록 당신이 그의 고향이나 가족에 대한 질문을 할만큼 충분한 네팔어를 모른다하더라도 감사의 미소와 "나마스테" 한 마디는 유대감을 줄 것이다. 그리고 트레킹을 마치고 당신은 그들에게 감사의 말과 함께 팁을 줄 기회를 갖는다(팁은 모든 스태프들에게 주며 그룹의 리더가 그 일을 한다). (Kev Reynolds, 앞의 책, pp> 26-27)

고참 세르파의 필수품 중 하나가 피켈(Pickel)이다. 피켈은  눈, 얼음 위에서 사용하는 괭이, 도끼, 지팡이의 세가지 기능을 갖춘 장비다. 매일 화장실 구덩이를 팔 때 필요하며 높은 고개를 넘을 때 얼어 있는 구간이 있으면 세르파는 전체 트레킹 팀이 잘 지나갈 수 있도록 얼음을 파 계단을 만든다. 세르파는 한 팀에 두어 명씩 있다.

우리팀은 가이드 타시가 앞장서고 밍마 세르파는 제일 뒤에 오는 사람을 수행하고 있다. 보통은 사진을 찍는 내가 제일 뒤에 쳐진다. 제일 앞에 가더라도 사진을 찍으려고 잠시 멈추면 뒤에서 따라오던 사람들이 모두 통과한다. 제일 뒤에 오던 밍마는 걸음을 멈추고 내가 출발할 때까지 기다린다. 어떤 때는 내가 밍마 세르파를 데리고 다니는 느낌이 든다. 그래서 가끔은 앞 사람을 추월해 밍마를 넘겨주곤 한다.

P0004927.jpg11시 15분, 돌오두막이 한 채 있는 다람살라에 도착했다. 완만한 구릉이 내려와 펼쳐진 넓은 초지다. 오두막 조금 못미처 맑은 개울이 바닥에 그냥 흐르고 있다. 다람살라는 '순례자들의 휴식처'라는 뜻이다. 티베트 망명정부가 있는 인도의 다람살라도 그런 뜻이다. 라르키아 페디(Larkya Pedi), 레스트하우스(Resr House)라고도 한다. 이곳에 오기 전 쉴즈 부부가 찍은 다람살라 풍경 사진이 마음에 들었고 기대가 컸다.

실제로 전형적인 고산의 풍경이 있는 다람살라는 삼도에서 가는 도중의 풍광도 좋고 다람살라 풍광도 좋아 대만족이었다. 삼도에서 이곳까지 빠른 사람은 두 시간 30분, 웬만한 사람은 3시간 걸린다고 하는데 우리는 3시간 35분 걸렸다. 그 정도면 양호한 편이다. 문제는 동포들의 상태가 지쳐 있다는 점이다. 보명화 보살님이 힘든지 오는 도중 동생이 배낭을 받아들었다.

무진행 보살님은 이틀 전 저녁 삼도에서 먹은 야크고기에 또 걸려 어제부터 음식을 잘 먹지 못해 에너지가 고갈된 상태다. 야채와 야크고기를 섞어 볶은 '야크볶음'을 먹고 다시 비위가 상한 것이다. 2002년 쿰부 트레킹 초반에 타미에서 야크 고기가 든 모모를 먹고 걸려 트레킹 내내 식욕부진으로 고생한 적이 있었다. 이 보살님은 야크와 전생에 원수가 졌는가 보다. 이 글을 쓰면서 당시 녹음(2002.11.22)을 들어보니 새삼스럽다.

나는 머리가 약간 띵하긴 해도 힘든 상태는 아니다. 나머지 사람들 중 몇 명은 두통 등 고소증상이 있다. 남형 씨는 어제 호기있게 찬물로 머리를 감은 것이 좋지 않았다. 어제는 컨디션이 좋아 머리를 감았지만 고산에서는 아무리 머리가 간지럽다 하더라도 머리를 감지 않아야 한다. 그렇긴 해도 천천히 오르는 이런 스케줄에 사라들이 헤매는 것은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

고산원정대는 물론 트레킹 역시 대부분 5000m 이상을 오르는 일이라 고산병은 누구나 피할 수 없다. 무리한 운행을 하지 않고 천천히 오르는 것이 나의 트레킹 스타일이지만 그래도 고산병은 피할 수 없는 일임을 경험으로 알고 있다. 출국과 입국의 일정이 제한되어 있는 단체 패키지 팀의 경우 종종 무리한 일정인 경우가 많다. 그래서 준비를 소홀히 한 사람들은 패키지를 따라갔다가 혼이 나곤 한다. 모든 것을 여행사에서 알아서 잘 해주겠거니 하는 안일한 생각 때문이다.

히말라야 트레킹은 직장인들처럼 휴가기간이 제한되어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트레킹을 마치고 카트만두를 떠날 때까지 2-3일 여유를 두는 것이 좋다. 그리고 산에 들어가기 전 고산병에 대한 기본적인 상식을 알아두어야 한다. 그것은 장비 준비와 체력훈련 과 함께 반드시 숙지하고 있어야 할 중요한 일이다.

2004년 1월에 마나슬루 트레킹을 했던 한국의 한 팀은 사마가온을 출발, 삼도에서 점심 먹고 이곳 다람살라까지 하루만에 올라갔다. 3530m에서 4450m까지 920m를 하루에 올랐으니 무리한 일정이었다. 랑탕의 컁진(3900m)에서 키모슝리(4984m)까지는 1000m 이상 오르는 일이지만 문제가 안된다. 왜냐하면 꼭대기에 오른 후 바로 내려오기 때문이다. 또 그곳을 오르고 안오르는 것은 선택사항이므로 힘들면 도중에 그냥 내려온다 해도 아무도 뭐라고 할 사람이 없다.

그러나 다람살라는 내려오는 고개가 아니라 머무는 곳이다. 그리고 다음날은 5213m의 라르키아 라까지 763m를 더 올라가야 한다. 3500m 이상의 고산에서 이틀 동안 무려 1685m를 올리는 일이다. 이 팀은 라르키아 라를 넘을 때 눈보라를 만나 조난의 위험에 처했다. 악전고투 끝에 천우신조로 모두 무사히 넘어왔지만 자칫 대형사고를 당할 뻔했다.

물론 이들이 고생한 것은 예상치 못했던 악천후 탓이 가장 크지만 고산병 때문에 몸이 지친 것도 큰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도 다른 모든 팀처럼 사마가온에서 고소적응일을 가졌다. 그러나 다음날 삼도에서 멈추어야 하는 일을 간과했다. 그럴 바엔 차라리 사마가온에서 고소적응일을 갖지 말고 삼도까지 오는 것이 고소적응에 더 낫다.

전문여행사들의 일정은 모두 사마가온에서 삼도까지만 운행한다. 아니면 일정을 조금 변경해 전날 시얄라(3500m)에서 운행을 멈추고 다음 날은 사마가온을 통과하여 삼도까지 간다. 그리고 그곳에서 고소적응일을 가진다. 이것은 전문가들의 오랜 경험을 토대로 짠 일정이다. '무리한 운행을 하지 않는 것'은 고산트레킹의 필수다. 내 생각으로는 한국의 이 팀은 마나슬루 트레킹 팀 중 삼도를 그냥 통과한 유일한 팀이 아닐까 생각된다.

12시 10분에 점심이 나왔다. 밀가루 빵과 소세지 그리고 야채가 나왔다. 모두들 입맛이 없어 먹는둥 마는둥 한다. 차라리 라면이 낫겠다 싶어 라면을 다시 끓여달라고 하니 라면과 누릉지가 든 음식가방이 아직 도착하지 않았다고 한다. 포터들도 각자 속도가 달라 일찍 온 포터도 있고 늦게 오는 포터도 있다. 그래서 다른 사람들의 텐트는 모두 도착해 설치하고 있는데 내 텐트는 아직 도착하지 않고 있다. 짐도 몇 개는 아직 도착하지 않고 있다.

제일 심한 사람은 보명화 보살님이다. 어제까지 말짱하던 양반이 갑자기 헤메고 있다. 이번 트레킹을 위해 하드트레이닝을 했다는데 왜 그런지 모르겠단다. 작년 무스탕 트레킹 때 체력이 딸려 혼난 경험을 되풀이 하지 않으려고 이번에는 작정하고 단련을 했다. 출발 전 가끔 전화로 "무스탕에서 체력도 안되는 사람들 때문에 제가 고생 좀 했지요."라고 놀리면 "어디 이번에는 누가 더 잘 가나 한 번 볼겁니다."라며 자신 만만하게 대답하곤 했다. 그만큼 열심히 관악산 등반으로 몸을 만들었다고 하는데 보람이 없다.

잠시 후 음식가방이 도착해 주방에서 라면을 끓여왔다. 그러나 정작 먹고싶다던 사람은 국물 한모금 먹고는 더 이상 먹지 못하고 텐트로 들어가더니 곧 다시 나와 토하기 시작한다. 동생 남형 씨가 등을 두드려 준다. 그 장면을 보니 문득 <남매는 단 둘이다>라는 말이 떠올랐다. 4일 전 사마가온에서 동생이 고소로 고생할 때 누나가 걱정했고, 오늘은 누나가 고소로 고생하니 동생이 걱정하고 있다.

구토까지 하여 걱정이 되지만 아직 시간이 있으니 몇 시간 고도에 적응되면 괜찮아지리라는 기대를 했다. 일단 모두 다이아목스를 복용했다. 두통이 심한 사람은 두통약을 먹었다. 늦은 오후까지 두고보다가 그래도 좋지 않으면 아래로 내려가야 한다. 주방에 이야기 하여 여성동포들에게는 뜨거운 세숫물을 갖다주라고 했다. 이럴 땐 세수를 하고 손발을 씻고 물을 많이 마시며 누워 쉬는게 보약이다.

나도 땀을 많이 흘렸기 때문에 시원하게 씻고 싶었다. 칼스텐은 이곳에서 시원하게 흐르는 계류에 몸을 씻고 햇볕에 몸을 뎁히며 풍광을 즐겼다고 한다. 나도 그렇게 하려고 이 대목은 잊지 않고 기억에 잘 담아두었다. 그의 여행기는 간결하면서도 감성이 풍부하여 재미가 있다.

경작지를 지나 다람살라를 향해 천천히 오르니 마을은 점점 작아졌다. 나는 가끔 뒤로 돌아서서 마을에서 가졌던 즐거운 시간을 기억했다. 마을은 이제 아주 작아져 그 옆의 거대한 팡푸체와 비교가 되었다. 길은 숨어 있는 마나슬루 산괴로부터 내려온 모레인 위로 나 있다. 산괴 위로는 솟아 있는 바위벽은 너무 가팔라 눈조차 '오직' 능선과 정상에만 있다. 붉은 관목, 마니월 그리고 초르텐들이 풍경을 더욱 장엄하게 만들고 있다. 올라갈수록 더 많은 봉우리들이 나타났다. 가장 인상적인 봉우리는 처음 나타난 라르키야 피크로서 마나슬루의 두 봉우리를 압도한다.

아침 내내 풍경이 매혹적이다. 왼편에는 거대한 산들이 있고 오른편으로는 '작고' 메마른 언덕들이 있다. 캠프사이트에서 보는 풍광이 장엄하다. 다람살라까지 삼도에서 3시간 걸렸다. 짧은 운행은 고소적응과 오후의 '게으른 휴식'에 충분한 시간을 준다. 나는 계류에서 발을 �었다. 이미 얼어붙는 추위를 느끼고 있었으나 나는 계속해서 면도와 함께  '온몸�기'를 했다. 물가에 있는 얼음조각들이 나의 자부심을 증가시켰다. 햇볕은 뜨거�지만 산들바람은 그 뜨거움을 아주 즐겁게 만들어주었다.

햇볕 아래에서 몸을 다시 덥히자 멀리 아래에서 농무가 올라왔다. 기온은 빠르게 떨어졌다. 가장 편안한 곳은 뜨거운 물병이 발치에 있는 침낭이다. 내 몸은 잘 조절되어 있다. 밤에 춥지 않았다. 그리고 한시간 동안 글쓰기를 한 후 손가락을 만져보니 아주 차가워 놀랐다. 글 쓰는 동안 따뜻하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멍든 손은 이제 다 나았다. 저녁을 먹은 후 나는 바로 침낭 속으로 기어 들어갔다. 잠이 들기까지 보통 3분 걸리는데 오늘은 더 걸렸다. 아마 고도 때문이리라. 그날 밤 우리는 거의 유럽 최고봉 높이에서 잤다.(칼스텐 네벨, <2000 마나슬루 트레킹> day 15)

나도 칼스텐처럼 계류에서 세수도 하고 발도 씻고 가능하면 상반신이라도 냉수마찰을 하리라 생각했다. 햇볕에 뎁혀진 텐트 안은 따뜻했다. 그런데 런닝 차림으로 밖으로 나오자 사정없이 몰아치는 찬 바람에 도저히 씻을 엄두가 나지 않았다. 잘못해서 감기가 도지면 큰 일이다. 그래서 칼스텐은 젊은 친구여서 그런 모험이 가능했을 거라는 생각으로 위로를 하고 객기를 참았다. 대신 물수건으로 간단하게 몸을 닦았다.

카메라를 들고 밖으로 나왔다. 내일 갈 길을 따라 조금 올라갔다. 조금만 올랐는데 숨이 턱에 찬다. 내일은 해가 뜨기 전에 출발하므로 지금 이곳을 오르지 않으면 풍광을 감상할 기회가 없다. 다른 사람들은 절대 오를 생각이 없으니 "잘 다녀오세요." 한다. 높이 나는 새가 멀리 볼 수 있듯이 높은 언덕에 올라 전체 풍광을 조망하는 맛은 상쾌하다. 삼도 쪽의 팡푸치가 깨끗하게 보인다. 트레커들은 캠프 주위를 어슬렁거리고 스태프들은 땡볕 아래에서 오늘도 열심히 카드를 치고 있다.

생각같아서는 맞은 편 오두막 뒤쪽 능선으로 올라가고 싶다. 그곳에 오르면 남쪽으로 마나슬루가 보이고 서쪽으로는 라르키아 라가 보인다고 한다. 동쪽의 팡푸치는 여기서도 잘 보이니 말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빤히 보이는 그곳까지 두 시간이 걸린다고 하니 몸이 자신 없다고 더 이상 오르기를 거부한다. 돌아와 생각하면 "기왕에 간 거 거기까지 올라갔다 왔으면 좋았을 것인데..." 하는 아쉬움이 항상 남지만 실제로 그곳에서는 힘든 상태라 오르고 싶은 생각이 전혀 없었다. 그것이 현실과 상상의 차이다.

오늘 이곳에는 우리 팀만 있어 한가하다. 어제는 우리팀만 뺀 나머지 팀들이 모두 올라왔으니 무척 붐볐을 것이다. 우리 팀만 9동의 텐트를 치는데 30명의 트레커들이 왔다면 얼마나 복잡했을지는 안보고도 짐작이 가능하다. 아마 텐트 칠 자리도 잡기 힘들었을 것 같다. 이런 곳에서는 한가한 풍경이 제일 좋다. 결과론이지만 삼도에서 하루 더 머문 것이 아주 잘 된 일이 되었다.

늦은 오후가 되자 연무가 몰려와 천지사방이 어두워졌다. 기온은 급강하한다. "띨레리"의 소리를 듣고 모두 식당텐트에 모여 차를 마시며 내일의 일정을 살펴본다. 보명화 보살님은 아직 컨디션이 좋지 않은지 나타나지 않았다. 저녁 식사 때가 되니 은근히 걱정이 된다. 따로 누릉지를 끓이라고 하고 남형 씨에게 가 보라고 했다. 다행히 잠시 후 조금 회복된 모습으로 나타나 한숨을 돌렸다. 많이 나아졌다고 한다.

내일은 이번 트레킹의 하이라이트 구간이다. 이제는 왔던 길로 돌아가는 일이 더 힘들기 때문에 웬만하면 넘는 것이 좋다. 5213m의 고개를 넘는 일이지만 크게 걱정이 되지는 않았다. 여행기를 보면 한국팀들은 모두 죽을 고생을 하면서 넘었지만 서양팀들은 모두 어렵지 않게 넘고 있다. 2000년 라르키아 라를 넘은 칼스텐은 "평범한 운행일"이라고 대수롭지 않은 듯 말했다. 역시 2000년 11월 이곳을 지나간 쉴즈 부부 일행은 오전 5시에 출발하여 9시 고개에 도착하여 1시간 동안 놀다가 내려갔다고 한다. 2004년의 밥이나 2005년 중늙은이 남자 네 명이 한 팀이 되어 이곳을 지나간 안드레스의 글에도 특별히 어렵다는 말이 없다.

쉴즈부부팀이 4시간 걸렸다니 우리는 5시간이면 충분히 고개까지 갈 수 있을 것 같다. 우리도 그들처럼 4시에 일어나 아침 먹고 5시에 출발하려고 생각했다. 그런 일정을 타시에게 말하니 적어도 4시에는 출발하자고 한다. 그 이유는 포터들이 선글라스가 없어 설사면에 햇빛의 반사가 심해지기 전에 고개를 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일정을 조정해 내일 새벽 3시에 일어나 아침 먹고 4시에 출발하기로 했다. 모두 미리 아이젠을 잘 챙겨 배낭에 넣어두라고 말했다. 스패츠는 현재 눈이 굳은 상태라 굳이 착용할 필요가 없을 거라고 타시가 말해서 그대로 카고백에 두었다. 라르키아 라를 넘은 다른 사람들의 여행기를 읽어주며 별로 힘들지 않을테니 걱정하지 말라고 했다. 고소만 아니면 라라키아 라를 넘는 일은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다.

무진행 보살님은 제일 연장자이기는 하지만 5년 전 5420m의 촐라패스를 넘은 경험이 있으니 걱정이 덜 되었다. 다른 사람들은 아직 5000m를 넘어본 사람이 없다. 두 사람은 아예 히말라야 자체가 초행이다. 그러나 선행자들의 "평범하다"는 기록이 모든 근심을 잠재웠다. 더구나 몇 달 전 봄에는 비록 고생은 많이 했지만 한국의 74세의 할머니가 눈밭에 빠져가며 넘었다는 사실은 은연 중 자극이 되어 분발심을 일으켰다. 문제는 식욕부진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의 체력이다.

한 밤 중 화장실을 가기 위해 텐트 밖으로 나오니 안개는 다 사라지고 적막강산에 밝은 달빛이 가득하다. 그러고 보니 오늘이 음력 9월 보름이다. 4450m의 고지에서 보는 보름달은 너무나 황홀하다. 내 생애 이렇게 높은 곳에서 다시 또 보름달을 볼 기회가 있을까? 얼마나 밝은지 달이 아니라 해의 사촌동생이라고 해도 될 것 같다. 어제 밤 삼도의 밝은 달을 바라보며 보명화 보살님이 탄성을 지르며 말했다.

"아, 달이 너무 밝아. 문글라스(moon glass)가 필요 해!"

오늘 밤은 더욱 문글라스가 필요한 밤이다.
 

trek 13. 삼도 - 다람살라  (top으로)

trek13_map.jpg

manaslu_map_T.jpg

Sama-Samdo-Bimtang_map.jpg

around_dharamsala.jpg

Manaslu_1038.jpg

Manaslu_1041.jpg

다람살라를 향해 출발. 얼마 후 언덕에서 삼도를 돌아보다.

Manaslu_1046.jpg

Manaslu_1050.jpg

삼도에서 다람살라 가는 오늘 일정은 고산트레킹의 진면목을 보여주는 구간이다. 모레인과 설산과 융단처럼 펼쳐져 있는 초지가 어울려 멋진 풍경을 보여준다.

Manaslu_1052.jpg

Manaslu_1053.jpg

첫 번째 휴식. 4000m를 넘어서자 동포들이 힘들어 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오늘 일정은 길지 않으니 쉬엄쉬엄 가면 된다.

Manaslu_1056.jpg

Manaslu_1057.jpg

예쁜 모습의 마나슬루 노스와 빙하가 보이기 시작했다. 이런 풍광을 가까이에서 보며 걷는 네팔 히말라야 트레킹은 그리 많지 않다.

Manaslu_1058.jpg

Manaslu_1062.jpg

마나슬루 노스를 마주하며 운행 중인 트레커들. 산허리길은 중간중간 작은 계류가 여러 개 있다. 불모지에 가까운 곳인데 어디서 물이 흘러나오는지 모르겠다.

Manaslu_1065.jpg

Manaslu_1068.jpg

완만한 산비탈 허리길을 따라 계속 코너를 도는 운행이다. 출발한지 2시간 35분이 지난 10시 15분, 왼편 아래로 바북의 무너진 돌집들이 보였다. 바북은 라르키아 바자르라고도 하며 티베트와 네팔의 계절적 교역시장이었다.

Manaslu_1069.jpg

Manaslu_1071.jpg

이제는 마나슬루 북면도 보이기 시작한다. 길은 계속 오르막이다. 지친 보명화 보살님의 배낭은 동생 남형씨가 받아 앞에 매고 가는 중이다.

Manaslu_1073.jpg

Manaslu_1075.jpg

얼마 후 무진행 보살님의 배낭도 밍마 세르파가 대신 지고 갔다. 두 사람은 그래서 맨 몸이다. 그림은 좋지만 당사자들은 힘들 것이 틀림없다.

Manaslu_1076.jpg

Manaslu_1078.jpg

마지막 고개에서 뒤를 돌아보니 바북이 안온한 곳에 자리잡고 있다. 앞쪽으로는 오늘의 목적지 다람살라가 개미만하게 보인다. 그 너머가 라르키아 가는 길이다. 반팔로 누워 있는 친구는 세르파 보조인 겔루다.

Manaslu_1079.jpg

Manaslu_1083.jpg

줌으로 당겨 본 다람살라 돌오두막. 그곳 오른편 설산은 티베트와 국경을 이루는 산이다. 고개에서 본 마나슬루와 정상 구름의 모습이 환상적이다

Manaslu_1085.jpg

Manaslu_1086.jpg

우리는 출발하고 포터들은 남았다. 뒤쪽으로 보이는 팡푸치가 우람하다.

Manaslu_1087.jpg

Manaslu_1089.jpg

마지막 마나슬루 모습을 보며 운행을 계속하여 11시 15분, '순례자들의 휴식처'라는 뜻의 다람살라에 도착했다. 4450m의 고도라 바람이 찹다.

Manaslu_1090.jpg

Manaslu_1094.jpg

Manaslu_1092.jpg

Manaslu_1100.jpg

모두 도착하여 스태프들이 텐트를 치는 동안 점심을 기다리고 있다. 고소와 체력저하로 모두 피곤한 상태지만 주변 풍광은 좋다.

Manaslu_1104.jpg

Manaslu_1103.jpg

다람살라에서 보는 팡푸치는 6335m가 훨씬 넘어보인다. 점심 먹고 앞 쪽 언덕에 올라가 내려다 보았다. 스태프들은 카드를 하고 트레커들은 주변을 서성거리고 있다. 피곤한 상태라 아무도 더 이상 올라갈 생각을 하지 않았다.

오두막 뒤쪽 능선을 오르면 멋진 풍광을 볼 수 있지만 아무도 그곳에 오를 생각이 없다. 가만히 앉아 있어도 숨이 차는 고도다. 보기에는 가까워 보이지만 그곳까지는 두 시간이 걸린다고 한다.

순례자들의 휴식처 다람살라


고도적응과 고산병(AMS-급성 산악병)

3000m 이상 되는 곳을 트레킹 또는 등반하는데 있어서 고도가 몸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희박한 공기는 당신에게 여러 가지 영향을 준다. 만일 당신이 너무 빨리 올라가면 죽을 수도 있다. 어떤 것을 하지 않아야 하는지 다음을 꼭 읽어라!

보통 고산병이라고 하는 이것은 2500m 이상부터 모든 트레커들에게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당신의 몸은 공기 중의 산소가 적어지면 적응할 시간이 필요하다. 5500m에서는 공기의 압력이 해수면에 비해 거의 반밖에 되지 않아 산소(그리고 질소)도 반밖에 되지 않는다. 이 높이는 에베레스트 지역의 칼라파타의 정상과 안나푸르나 라운딩의 토롱라와 거의 같은 높이다.

 

트레커들에게 3000m 이하의 고도는 별 문제가 되지 않는다. 고산병은 높은 지역을 너무 빨리 오르기 때문에 생기며 모든 증상을 무시한다면 치명적일 수도 있다. 높은 고도에 이르렀을 때 고산병이 문제가 되는 것은 높이 때문이 아니라 속도 때문이다.

 

고산병은 막을 수 있다. 천천히 올라 가라. 당신의 몸에 적응할 시간을 충분히 주어라. 대다수의 트레커들에게 해당되는 '안전'한 속도가 있다. 2000m에서 3000m 사이에서 더 높이 오르기 전 2일 내지 3일을 보내라. 3000m 부터는 하루에 300m 정도 오른 지점에서 잠을 자라. 매 1000m 오를 때마다 하루를 쉬어라. 결국 증상을 아는 것은 당신에게 달려 있다. 그리고 오직 증상이 상대적으로 감소할 때만 올라 가라.

일반적인 증상

3000m 이상의 고도에서 느낌이 완전하기를 바라지 말라. 당신에게 예상되는 일반적인 고산병의 증상이 있다. 그러나 염려할 필요는 없다. 이 증상은 아무리 천천히 오른다 하더라도 모든 트레커들이 일부 또는 모두를 경험한다. (이 정보는 제이미 맥기네스가 쓴 Trailblazer사의 제 3판에서 가져온 것임)

수면시간 - 보통 때보다 더 많은 수면시간. 종종 10시간 또는 그 이상

식욕감퇴

생생하고 거친 꿈 - 2500m-3800m 정도에서

밤과 낮의 예상치 못한 순간적인 �은 호흡곤란. 가끔 당신을 깨우는 정기적인 호흡곤란 - 다이아목스 복용을 고려하라.

트레킹 중 자주 호흡을 안정/조절할 필요성을 느낌 - 특히 4000m 이상에서.

당신의 코가 하루종일 콧물공장으로 변함

소변량 증가 - 많은 트레커들이 밤중에 한번은 가야 한다(당신의 몸이 고도에 적응하고 있는 좋은 표시다 : 고쿄에서 카나다에서 온 Sean은 하루에 18번 소변을 본 기록이 있다).

가벼운 증상

당신의 증상이 아래 증상 모두가 아니라 단 한가지에 해당된다 하더라도 고산병에 걸린 것이다.

두통 - 트레커들에게 흔하다. 종종 두통이 저녁에 찾아와 항상 밤에는 더 심해진다. 잠 자기 전 머리와 어깨를 들어올리면 어떤 때는 부분적으로 완화된다. 상태가 심하면 진통제(아스피린, 타이레놀 등)를 먹을 수 있다. 절대 수면제를 먹지 말라. 또한 다이아목스를 먹어도 된다. 아래를 보라. 두통의 원인은 여러 가지(예를들면 탈수)이지만 점점 심해지면 고산병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   

매스꺼움 - 이것은 다른 증상없이 일어난다. 그러나 자주 두통을 동반한다. 만일 아침에 좀 나아지면 하루 쉬어라. 여전히 아프면 내려가라.

현기증(가벼운) - 트레킹 도중 현기증이 나면 햇볕을 피해 쉬고 물을 마셔라. 가장 가까운 티하우스에 머물러라.

식욕부진 또는 일반적인 나쁜 느낌   - 보통 높은 고도를 너무 빨리 오르면 나타난다.

고통스러운 기침 또는 마른 기침

다시 말해서 설사와 목이 아픈 것 외 모든 것이 고산병일 수 있다. 이것을 생각하라. 만일 당신이 탈수로 인해 두통이 생겼다면 계속 올라가도 위험하지 않다. 그러나 만일 고산병 때문이라면 결과는 매우 심각할 수 있다. 원인이 무엇 때문인지 당신은 알 수 없다. 그러므로 조심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길이다. 자신을 속이려 하지말고 당신의 몸이 더 많은 적응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받아들여라.

기본 규칙

가벼운 증상이라도 절대로 더 이상 오르지 말라.

만일 당신이 트레킹 도중 가벼운 증상이 점점 심해지는 것을 느낀다면 트레킹을 멈추고 머리를 그늘에 두고 물을 마셔라. 증상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으면 그 고도에서 머물러라. 만일 증상이 점점 더 심해지면 내려가라. 고도를 조금만 낮추어도(100-300m) 느낌과 수면에 큰 차이가 있다. 당신의 기분이 괜찮았던 가장 최근의 지점까지 내려가라.

만일 증상이 아주 빠르게 나빠지지 않는 한 밤에 심해지더라도 증상이 사라질 때까지 기다리고 아침에는 기분이 어떤지 살펴보라. 만일 아침 먹은 후까지 증상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하루 쉬든지 아니면 내려가라. 증상이 사라졌다면 하루를 쉬든지 아니면 무리가 되지 않는 일정을 고려하라.

쉬지 않고 계속 오르면 증상이 심해진다. 고산병은 증상이 가벼울 때 높이 오르면 반항하여 확실하게 악화될 것이다. 당신의 트레킹을 즐기면서 하라. 아픔을 느끼면서 하지 말라. 높은 고도에 도착했을 때 증상이 늦게 오기도 한다는 사실도 기억하라. 고지대에 도착한 첫날보다 둘째날에 가벼운 증상으로 고생하는 것은 흔한 일이다.

심한 증상

계속되는 심한 두통

계속되는 구역질

비틀거림 - 균형을 잃어 똑바로 걷지 못함. 술에 취한 것처럼 보임

의식불명 - 깨어있지 못하거나 상황을 잘 알지 못함

폐에서 액체소리가 남

끊임없이 계속되는 기침

호흡이 아주 어려움

빠른 호흡 또는 쉴 때 호흡정지의 느낌

피, 핑크빛 액체 또는 많은 양의 맑은 액체를 동반한 기침

얼굴과  입술에 명백하게 핏기가 없음

아주 빠른 심장박동 - 1분에 120 이상 

심한 혼수상태, 졸림

겨벼운 증상의 빠른 악화

비틀거림은 가벼운 증상이 심한 증상으로 변하는 과정임을 알 수 있는 중요한 표시이다. 이것은 직선을 발뒤꿈치를 든 채 걷게하는 것으로 쉽게 테스트 할 수 있다. 증상이 없는 사람과 비교해 보라. 24시간이 지난 후에야 혼수상태에 이르는 비틀거림이 따라올 수도 있다. 내려가지 않는 한 죽음이 뒤따를 것이다.

기본 규칙

심한 증상이 오면 즉시 그리고 빠르게 내려가라.

설사 한밤중이라 하더라도 가능한한 멀리 내려가라(에베레스트 지역 : 만일 당신이 페리체 위에 있다면 그곳에 있는 HRA-히말라야 구조협회-로 가라. 토롱페디 혹은 그 근방 : 마낭에 있는 HRA로 가라). 환자는 여러 사람들 또는 포터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그(그녀)의 상태는 좋아지기 전에 더 나빠질 것이다. 휴식을 취한 후 환자는 의사에게 가야 한다. 심한 증상의 사람은 스스로 생각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느낌이 좋다고 말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들은 좋지 않다.

의학적 상태

뇌수종(HACE) - 이것은 뇌주위로 액체가 모이는 것이다. 이것의 원인은 가벼운 증상의 첫 4개와 심한 증상들 때문이다.

폐수종(HAPE) - 이것은 폐주위로 액체가 모이는 것이다. 당신이 물고기가 아닌 한 이것은 심각하다. 원인은 나머지 가벼운 증상과 심한 증상들 때문이다.

주기적인 기침 - 높은 고도는 신체의 호흡 매카니즘에 영향을 미친다. 쉬거나 잠을 잘 때 당신의 몸은 갑자기 깊은 숨을 쉬어 회복할 지점에 이를 때까지 호흡을 점점 더 줄일 필요를 느낀다. 이 주기는 당신이 숨을 완전하게 쉬는 것을 놓치게 되면, 점진적인 주기로 바뀌기 위해 몇 분 동안 서서히 호흡이 길어져 단순하고 규칙적인 호흡으로 나타난다. 많은 사람들이 잠을 자는 동안 그것을 느끼지 못하지만 이것은 대부분의 트레커들이 남체에서 겪는 일이다. 5000m에서는 비록 그들 중 몇몇에게만 문제를 일으키기는 해도 모든 트레커들이 그것을 경험한다. 연구는 이것이 직접 고산병과 관계 없다는 것을 발견하지 못했다.

손발, 얼굴과 아랫배의 부종 - 반지를 빼라. 히말라야구조협회의 한 연구에 따르면 보통 심하지는 않지만 18%의 트레커들에게 부종이 일어난다고 한다. 여성들은 확실히 더 예민하다. 붓는 것이 심하지 않다면 염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계속 올라가도 좋다.

고산 면역성 감소 - 베이스캠프에서는 상처와 감염의 치유력이 아주 느리므로 심각한 감염이 있으면 남체 정도의 고도로 내려 가야 한다. 치유가 잘 되지 않는 이유는 아직 잘 모른다.

약품-다이아목스(Diamox)

이 약은 가벼운 이뇨제(소변량을 늘인다)로 호흡에 자극을 주는 피를 산화시킨다. 당신이 아주 급하게 오르거나, 피할 수 없거나(예:라싸로 비행기로 가거나 구조활동에 참여할 때) 혹은 이전에 높은 고도에서 고산병으로 문제가 된 적이 없는 한 고산병을 예방하기 위해 미리 먹을 필요는 없다. 그렇지만 현재 몇몇 의사들은 심각한 고산병을 겪는 경우를 감소시킨다는 논리로 3500m 이상 올라가는 트레커들은 먹어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위험부담을 줄인다는 주장이다. 이 문제는 아직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다이아목스는 설파제 약품으로 이런 류의 약품에 알레르기를 갖고 있는 사람은 먹지 말아야 한다. 신장(콩팥)에 문제가 있는 사람도 먹지 말아야 한다(그것은 또한 맥주와 청량음료의 맛도 떨어뜨린다). 부작용은 소변량이 많아지고 입술과 손가락 또는 발가락이 저리는 것이지만 이런 증상이 약물복용을 멈추라는 표시는 아니다.

나이가 많은 사람들은 이전에 가벼운 증상이었지만 괴로웠던 경험, 특히 주기적인 호흡곤란으로 잠을 설친 경험이 있다면 다이아목스를 준비하고 있다가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용법은 125mg에서 250mg(반알에서 한알)을 매 12시간마다 먹는다.

다이아목스는 실제로 문제의 뿌리를 해소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러므로 만일 약의 복용으로 느낌이 좋아졌다면 건강도 좋아진 것이다. 이 약은 단순히 문제를 숨기지 않는다. 그렇지만 이 말은 당신이 보통 이상의 속도로 빨리 올라갈 수 있다는 뜻이 아니며 고산병의 증상을 무시하라는 뜻을 의미하지 않는다. 다이아목스를 복용하는 중에도 여전히 고산병이 심해질 가능성이 있다.

가장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오르기 전 복용하는 것를 권장하고 있음을 주의하라. 이것은 필요한 일은 아니지만 도움을 준다.

고산병의 실제

고도적응의 속도

고도적응에 대한 개인차는 모두 다르지만 아주 급하게 올라가 그곳에 머물면 항상 문제가 생긴다. 세르파족이라 하더라도 카트만두에서 사는 세르파사람은 쿰부에서 종종 고산병에 걸린다. 연구에 의하면 중간 정도의 고도(1000-2000m)에 사는 사람은 그런 고도에 적응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들은 3000m 정도의 고도(예: 남체)에 오를 때 고산병에 예민하지 않다.

그렇지만 한번 높이 오르면 그런 이점은 감소하고 그들은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똑같은 고도적응 프로그램을 따라야 한다. 이것은 카트만두에서 일주일 혹은 2주일을 보내는 사람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들은 그 고도에 점점 적응을 하게 된다.

트레커들은 해수면 고도에서 카트만두로 날아와 바로 남체까지 걸어 올라가기 때문에 아무런 이점이 없고 고산병에 고통받기가 더 쉽다. 불행하게도 이들은 보통 높이 올라가기에 급하다. 이것이 바로 단체 트레커들이 지리에서부터 걸어 올라 오거나 카트만두에서 시간을 보낸 개인 트레커들 보다 고산병에 더 민감한 이유이다.

고도적응의 과정

시간이 지나면 당신의 몸은 산소가 부족하다는 사실을 재빨리 깨닫고 먼저 호흡을 빠르게 하는 반응을 보인다. 이것은 더 많은 산소(O2)를 들이키지만 더 많은 이산화탄소(CO2) 역시 배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의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불균형은 혈중 PH농도를 바뀌게 한다.

당신의 몸은 PH 농도(주로 혈액 속에 용해되어 있는 이산화탄소)에 따라 얼마나 깊은 호흡을 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해수면 고도에서 아주 많은 힘을 썼다는 것은 당신의 근육이 많은 이산화탄소를 생산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호흡은 어렵고 빨라진다. 휴식을 취하면 에너지 소비가 적기 때문에 이산화탄소의 생산도 적어져 당신의 호흡도 가늘어진다.

고도가 높은 지대에서 이런 균형이 문제가 되는 것은, 당신의 몸이 종종 실제로 필요로 하는 것보다 호흡이 더 적게 필요하다고 믿는 것이다. 며칠이 지나면 당신의 몸은 소변에 들어 있는 중탄산염(물 속에 있는 이산화탄소)의 보정하는 성질에 의해 이러한 불균형을 바로잡으려고 노력한다. 그래서 많은 양의 물을 마시는 것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중탄산염은 용해가 잘 되지않기 때문이다.

다이아목스는 콩팥이 이러한 일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도록 돕는다. 그 결과 사람들에게 고도적응의 능력을 강화시킨다. 게다가 하루나 이틀이 지난 후 몸은 헤모글로빈 응축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얼마간의 용액을 혈액 밖으로 이동시킨다.  4,5일 후 보통 때보다 더 많은 적혈구가 새로 형성된다.

개별적인 고도적응의 속도는 본질적으로 당신의 몸이 변경된 혈중 PH 농도를 보정하는 작업을 얼마나 빠르게 하는가에 달려 있다. 이미 효과에 잘 적응이 되어 종종 주목을 끌지 못하는 사람들을 제외하고, 천천히 출발하는 사람들에게 다이아목스는 유쾌한 출발을 하게 한다.

만일 당신이 여러 주 동안 고산에서 지낸다면 많은 변화가 일어난다. 근육의 미토콘드리아(근육에서 에너지를 변하게 함)가 증가하고 조밀한 모세관 조직도 발달한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 당신의 최대 작업률도 천천히 증가하게 된다. 원정대들은 종종 흥미로운 결과를 도출한 의학프로그램을 운영해 왔다.

베이스캠프에서 주기적인 호흡곤란(대다수)을 경험한 등반가들은 결코 그것을 떨쳐 버리지 못하며 그들의 보통 체중을 유지하는데 아주 큰 어려움을 겪는다. 근육은 강해지고 지구력은 증가하지만 근육 자체가 증가한 것은 아니다. 고산지대에 상주하는 세르파족들은 결코 주기적인 호흡곤란을 겪지 않으며 실제로 충분한 음식을 섭취하여 체중을 유지할 수 있다.

고도적응은 얼마나 지속될까?

그것은 다양하다. 그러나 만일 당신이 고산지대에서 한달 혹은 그 이상 머물렀어도 작업능률의 개선이 여러 주 동안 계속된다면 당신은 여전히 고도적응이 필요하다. 만일 며칠 내로 해수면 고도로 돌아올 예정이라면 여전히 보통 속도 이상의 빠른 속도로 올라가면 안된다. 그렇지 않으면 당신은 폐수종에 걸릴 위험이 있다.

만일 당신이 5000m 고도에 도달한 후 며칠 내 3500m로 내려왔다면, 다시 5000m를 빠르게 다녀오는 것은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예를들어 로부제를 거쳐 칼라 파타를 오른 후 남체로 돌아와 이틀을 쉰다면 아무 문제없이 고쿄를 빠르게 올라갈 수 있다.

해수면 고도와 비교하여 고도에 따른 산소량과 적혈구의 산소침윤 상태

고도

산소 %

산소침윤( %)

해수면

100%

 

1000m

88%

99%

2500m

73%

 

3000m

68%

 

3500m

64%

93%

4000m

60%

 

4500m

57%

88%

5000m

53%

 

5500m

50%

80%

6000m

47%

 

6500m

44%

75%

7000m

41%

 

8000m

36%

 

8848m

33%

 


고산지대에서의 잠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환경에서 잠을 자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특히 매일 바뀌는 환경에서는 더 그렇다. 고도는 어려움을 가중시킨다. 산소량의 감소는 상당수의 사람들이 거친 꿈을 꾼다는 것을 뜻한다. 이것은 주로 3000m 정도의 높이에서 일어난다. 이와 함께 몇몇 사람은 두통, 욕지기, 화장실 애용, 코골음, 그리고 호흡곤란을 동반한다.

큰 기숙사형 방에서는 속담에 나오는 통나무(혹은 아주 피곤한 트레커들)처럼 자는 사람은  그날 밤 일어나는 모든 일을 무시하게 된다. 작은 방은 확실히 개선된 것이며 텐트는 방음이 안되는 것이라 하더라도 상대적으로 평화롭게 처리 될 것이다.

식욕

다소간의 사람들이 식욕을 잃고 먹는 것을 즐거워하지 않는다. 비록 좋은 징후이기는 해도 어떤 때는 식욕이 과다하여 걱정을 끼친다. 당신의 에너지 소비량은 쉬는 동안이라고 해도 보통 때보다 현저하게 증가한다. 왜냐하면 신체는 끊임없는 추위에 맞서  열을 내기 때문이다. 특히 잠을 잘 때 더 그렇다. 원기왕성한 트레커는 아무리 많이 먹는다 해도 종종 엄청나게 소비된 에너지를 원래대로 보충할 수 없을 것이다.

하루의 일정과 해야할 일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사항은 낮에는 높이 올라가고 밤에는 낮은 곳으로 내려와 자라는 것이다. 수면고도는 가장 중요하다. 어쨋든 트레커들이 고산병을 경험하지 않는 것은 좋은 일이며 아마 고소적응에 도움을 줄 것이다. 에베레스트 지역의 예를들면 딩보체나 페리체에서 추쿵을 올라가거나 아니면 남체에서 타미를 방문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만일 당신이 현재 가벼운 혹은 아주 가벼운 고산병 증상이 있다면 이것이 최선의 방법이 아니다. 그보다도 당신의 몸이 이미 심한 고산병을 겪고 있다면 더 높은 고도를 올라가는 추가적인 일이 필요없으며 차라리 현재의 고도에 머무르는 것이 좋다. 하루종일  빈둥거리는 것보다는 가벼운 운동을 하는 것이 낫다. 그러나 쉬는 날에 하라. 만일 당신이 가벼운 고산병으로 고생하고 있다면 몇 시간 내려가는 것이 더 이롭다. 예를 들어 보자.

두 친구와 그룹을 만들어 아일랜드 피크/임자체를 등반할 예정인 피터는 먼저 고소적응을 위해 칼라파타에 갈 계획이었다. 그러나 페리체에서 가벼운 고산병을 느껴 현명하게 혼자 그곳에서 며칠 머물기로 했다. 그의 친구들이 돌아왔을 때 그는 나아지기는 했어도 여전히 100% 회복이 되지 않았음을 느꼈다. 그들 모두는 추쿵으로 갔고 그곳에서 피터는 고산병이 심해져 절망에 빠졌다.

베이스캠프까지는 하루면 가능한 코스였으므로 그는 다이아목스 복용과는 별도로 모든 제안을 받아들였다. 그는 딩보체로 가서 점심을 먹으라는 제안을 받아들였다. 딩보체에 도착했을 때 즉시 상태가 좋아져 점심을 먹고 다리 아래까지 내려가 오후늦게까지 보내는 좋은 방법을 썼다. 피터는 그날 아주 늦게 추쿵으로 돌아왔지만 루클라 이후 가장 편한 잠을 잤다. 그리고 다음날 밤 베이스캠프에서도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비행기로 친구 한사람과 함께 루클라에 온 다음날 남체에 도착한 힐버트는 바로 두통과 현기증 그리고 식욕감퇴가 심해졌다. 다음날에도 증세가 나아지지 않았고 3일째날 아침까지 잠을 못자 아주 걱정스런 상태가 되었다. 그래서 그는 그날 스위스 다리 바로 아래에 있는 두드코시 강의 아래까지 내려가 시간을 보냈다. 그 후 그와 그의 친구는 고쿄까지 천천히 트레킹을 했다. 힐버트는 여전히 수면장애가 계속되어 고쿄에서 두 번째 밤까지 다이아목스를 먹었다. 그리고 그 후에는 상태가 양호해져 더 이상 복용하지 않았다. ( 출처: <트렉인포(trekinfo.com)>, 번역 buddhaeye)

trek 12. 삼도(티베트 국경으로 소풍)

트레킹

출발지

캠핑사이트

고도

소요시간

trek 1

카트만두 - (전세 차량) -  아루갓 바자르

520m

10:20

trek 2

아루갓 바자르

소티 콜라

620m

5:45

trek 3

소티 콜라

마차 콜라

930m

8:10

trek 4

마차 콜라

도반

990m

5

trek 5

도반           

필림

1,550m

7:30

trek 6

필림           

1,895m

4:30

trek 7

뎅               

2,140m

6

trek 8

리히

2,905m

5:45

trek 9

리히

사마가온

3,530m

7

trek 10

사마가온 (고소적응일-빙하호수 방문)

3,680m

3

trek 11

사마가온

삼도

3,850m

3

trek 12

삼도 - 티베트 국경 방문

4,240m

7

trek 13

삼도

다람살라

4,450m

3:35

trek 14

다람살라 - 라르키아 라(5213m) - 빔탕

3,720m

11:20

trek 15

빔탕

띨제

2,335m

8:20

trek 16

띨제

자갓

1,314m

9

trek 17

자갓

나디

930m

7

trek 18

나디 - 불불레 - (전세 차량) - 카트만두

1,400m

11

 


 

티베트 국경으로 소풍가다

2007. 10. 24(수)


 

캠프장이 초지에 있는 탓에 어젯밤 야크와 말들의 움직이는 소리가 가까이에서 들렸다. 녀석들끼리 알력이 있는지 "푸르르~" 콧김을 불며 투닥거리는 소리가 자주 난다. 설마 텐트로 밀고 들어오지는 않을테지만 뛰어다닐 때마다 땅이 울리니 깊은 잠을 자지 못하겠다. 밤 12시에 녀석들의 소란에 잠이 깨어 텐트 안 온도를 보니 영상 1도다. 곧 다시 잠이 들었다.

CIMG0905.jpg오늘은 티베트 국경쪽으로 하이킹을 다녀오는 날이다. 보통은 사마가온에서 고소적응일을 가지면 삼도는 다음날 바로 다람살라로 떠난다. 아니면 사마가온 대신 삼도에서 고소적응일을 가진다. 처음부터 사마가온은 물론 삼도에서도 하루 더 머무는 일정을 짜는 팀도 적지 않다. 그것은 삼도에서는 티베트 국경으로 가는 하이킹이 풍광도 좋고 고소적응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일석이조의 잇점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원래 삼도에서 바로 다람살라로 가는 일정이었지만 오는 도중 일정이 변경되면서 하루 더 여유가 생겼다. 삼도에서 바로 다람살라로 가는 일정을 택하면 여행이 하루가 단축된다. 만일 그 하루를 내려가는 일정에 보탠다면 하산길 운행은 한결 여유가 있다. 그러나 내려가는 길은 안나푸르나 라운딩길과 겹치는 길이라 복잡하다. 또 히말라야 설산을 벗어난 중산간 지방은 특별한 매력이 없다. 전체 일정을 하루 단축할 경우를 택하지 않은 이유는 이미 앞 장(trek.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어제 도착했을 때 삼도에 말이 많이 보이길래 저녁 식사 때 타시에게 말을 한 번 알아보라고 했다. 기왕에 가는 소풍길이니 말을 타고 가는 조랑말 여행(pony trekking)도 나쁘지 않다. 말들도 무스탕에서 보던 말과는 비교되지 않을 정도로 건장하다. 말 이야기에 제일 얼굴이 밝아지는 사람은 보명화 보살이었다. 무스탕에서 말타는 데  재미를 붙인데다 지금 몸이 약간 지친 상태라 기대가 큰 모습이다. 말을 타보지 않은 사람들은 '과연 내가 말을 잘 탈 수 있을까?'하는 표정이다.

오늘 아침 타시가 보고하는데 말 한 필당 하루 4000루삐를 달라고 해서 조랑말 여행은 무산되고 말았다. 4000루삐면 우리 돈 6만원이다. 무스탕 지역이 1100루삐이니 비싸도 많이 비싸다. 이 지방 마을발전위원회(VDC)에서 정한 정찰가격이므로 흥정의 여지가 없다. 그것을 어기면 벌칙이 내려지기 때문에 주민들도 어기지 못한다.

그 가격은 여기서 문제가 생긴 트레커들의 후송을 위해 말을 빌릴 때 가격이다. 2002년 쿰부의 텡보체(3860m) 아래 계곡 마을인  푼기텡가(3250m)의 롯지 앞에는 "텡보체까지 말을 타고 가는데 편도 50달러"라는 글이 쓰여 있는 것을 보았다. 1시간이면 갈 수 있는 그 코스의 가격 비한다면 하루종일 66불은 비싼편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비상시도 아닌 지금 그 정도 돈을 들여서까지 말을 타고 싶은 생각은 없다. 옵션이라 자기들 호주머니에서 지불해야 하는동포들도 실망스럽지만 동의했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말을 타지 않았기 때문에 라운딩 코스를 돌 수 있어서 멋진 설산을 감상할 수 있었다. 말을 탔더라면 갔던 길로 돌아오는 단조로운 일정이되었을 것이다.

짐을 싸지 않아도 되는 날은 여유가 있다. 아침밥은 라면에 밥을 말아 먹었다. 8시경 출발. 주방에서 점심으로는 도시락을 준비해 키친보이 푸르바가 보온병과 함께 들고 따라나섰다. 다람살라로 가는 다른 팀들은 캠프를 철수하고 있다.아직은 동쪽에 우뚝 솟아 있는 팡푸치에 햇살이 가려 춥다. 그늘을 걷다가 손이 제법 시려 얇은 장갑을 끼고 나온 것을 후회했다. 오늘은 고소장갑을 끼고 출발하는 것이 좋았다. manaslu_google_map_d12.jpg

삼도에서 티베트로 가는 고개는 네 개 있다. 동북쪽 팡푸치 옆 계곡으로 가는 길은 마을 동쪽 계곡을 따라 가고 나머지 세 길은 북쪽 계곡을 따라 올라간다. 우리는 라운딩 코스가 있는 북쪽 계곡을 택했는데 마나슬루를 볼 수 있는 동북쪽 계곡 왕복도 괜찮을 것 같다. 두 코스 중 하나만 갈 수 있으니 선택은 알아서 할 일이다.

야크들이 풀을 뜯고 있는 산비탈 길을 지나 부리 간다키 강바닥으로 내려가니 넓은 경작지가 있다. 어제 뒷동산에서 보았던 풍경의 직접 대면이다. 마니월을 지나고 강을 건너 조금 올랐다. 곧 오른쪽으로 길이 하나 갈라진다. 티베트로 가는 길이다. 다람살라는 직진길이다. 앞에 가던 다른 팀의 포터들과 트레커들은 직진을 한다. 우리는 오른쪽으로 방향을 틀어 언덕을 올랐다. 언덕에 올라 가쁜 숨을 고르며 돌아보니 멀리 삼도 마을이 햇살 아래 아침 연기를 뿜고 있다.

계속 북진하여 9시 경 돌무지가 있는 산비탈 초지에 도착해 잠시 쉬었다. 뒤돌아보니 계곡이 아득하고 히말출리와 보우다까지 잘 보인다. 햇볕이 따뜻한 완만한 오르막길이 계속 이어진다. 이미 4000m를 넘은 터라 사방이 고산 불모지의 황량한 풍경이다. 인적이라고는 오직 수 백년 동안 사람들이 다니고 있는 길과 중간 중간 초지에 허물어져 있는 돌집 뿐이다.

멀리 뒤쪽으로 전개되어 있는 설산과 아래쪽 계곡의 물 소리와 함께 어우러진 이런 풍경은 태고의 원초적인 아름다움이 있다. 롯지 트레킹에서는 쉽게 만날 수 없는 풍경이다. 쿰부 트레킹에서는 촐라패스 넘는 길과 추쿵에서 임자체 베이스캠프 가는 길, 랑탕에서는 컁진에서 랑시샤 카르카 가는 길, 그리고 안나푸르나 라운딩에서는 틸리초 호수 가는 길에서나 이런 맛을 볼 수 있다.

12_Himalaya_Marmot.jpg30분 후 허물어진 돌집이 몇 개 있는 초지에 도착했다. 티베트와 국경을 이루고 있는 설산의 연봉이 뒤쪽으로 보이고 큰 바위 옆에는 티베트로 갈 예정인 목재들이 다발로 묶여 세워져 있다. 타시가 왼편 초지를 가리킨다. 멀리 산비탈 초지에 굼실거리며 움직이는 동물이 두 마리 보인다. Manaslu_0932-2.jpgNGC(내셔널 지오그래픽 채널) TV에서 보았던 히말라야 마못(Himalayan Marmot)이다. 히말라야 마못은 네팔과 인도 그리고 티베트 고산지대에 살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높은 곳에 서식하는 동물 중 하나로 4000~5500m 사이에 살고 있는 쥐과에 속하는 설치류다.

갑자기 방울 소리가 뒤에서 들려와 돌아보니 두 사나이가 말을 타고 오고 있다. 티베트로 가는 중이다. 인사를 나누며 부러운 시선을 보낸다. 우리도 저렇게 타고 갈 수 있는데....우리를 보자 신이 난 듯한 사나이는 말을 재촉해 빠르게 달려 나간다. 우리는그 뒤를 터벅터벅 따라갔다.

10시 30분, 나무로 만든 다리를 건너고 그곳에서 20분 더 오르다 안온한 분위기의 초지가 있는 모레인 지대  멈추었다. 점심을 먹기위해서다. 오늘 티베트 국경까지 가지는 않고 점심 먹고 돌아오는 일정이다. 국경까지 걸어서 가는 것은 하루 종일 걸리기 때문에 무리다. 소풍은 가벼운 것이 좋다. 꿀을 곁들인 티베트빵과 삶은 달걀과 야크치즈가 점심으로 나왔다. 차는 홍차를 가지고 왔다.

점심을 마치고 황량한 풍광을 즐기다가 11시 30분 일어났다. 돌아가는 길은 부리 간다키 강을 건너 건너편 삼도 마을 뒤쪽 산허리길로 가기로 했다. 왔던 길로 되돌아 가는 것은 싱겁다. 강바닥으로 내려가니 따로 길은 없다. 일단 강을 건너야 하는데 좁은 강폭이지만 신발을 벗지 않으면 안되었다. 빙하수 상류의 물이 얼마나 찰지 생각만해도 오싹하다. 무스탕에서 두 번 건넌 경험이 있다. 그 때는 비교적 하류쪽인데도 발이 어는 듯햇다. 이곳은 최상류, 빙하에서 바로 내려오는 물이다.

'과연 이 차가운 물을 신발 벗고 건널만한 가치가 있을까, 차라리 되돌아 갈까?' 갈등하고 있는데 이리저리 건널 곳을 찾던 타시가 한 곳에서 신발을 벗고 한 번 건너보더니 돌아와 우리에게 업히라고 한다. 자기가 업어 건네 주겠단다. 혼자 스틱 짚고 건너기도 쉽지 않은 물길을 업히라고 하니 의구심이 들었지만 타시는 자신 있게 말한다. 그래서 모두 타시의 도움을 받아 물을 건넜다.

타시는 그 찬물을 여덟 번 왕복했다. 처음 테스트로 한 번, 우리 여섯, 그리고 마지막으로 무진행 보살님의 배낭과 스틱을 가지고 나왔다. 쉽지 않은 일이다. 타시보다는 우리가 업혀본지 하도 오래되어 익숙하지 않은 탓에 자세가 엉성한 것이 타시에게는 더 힘들었을 것이다. 타시는 왼손은 우리를 잡고 오른손은 지팡이로 균형을 잡고 건넜다. 물살은 세고 찬데 바닥은 고르지 않으니 균형잡기가 쉽지 않을 것이 뻔하다. 덩치와 키가 작은 편인 사람은 그나마 나은 편인데 180cm의 키에 80kg의 체중을 지닌 남형 씨를 업고 건널 때는 아주 힘들었을 것이다.

키가 큰 편인 혜명화 보살은 업힌 채 균형을 잘 잡지 못해 신발이 거의 물에 닿아 빠질 것 같아 보는 이의 마음을 조마조마하게 만들었다. 행여 물에 빠진다면 낭패다. 옷이야 갈아입으면 되지만 등산화가 젖으면 문제가 커진다. 라르키아 라를 넘을 때 젖은 등산화는 치명적이다. 다행히 비틀거리면서도 무사히 물을 건넜다. 과연 타시는 무스탕에서 산전수전을 겪은 로바(Loba,  무스탕 사람)다웠다. 수고한 타시에게 특별 보너스로 10불을 주었다.

강은 건넜지만 능선으로 오르는 길도 만만치 않다. 위쪽으로 보이는 산허리길이 까마득하게 높아 보인다. 거기까지 길이 없으니 무성한 관목을 헤치고 가야 한다. 중간에 잠시 평탄한 초지가 나오더니 다시 오르막이다. 강은 점점 멀어지고 티베트쪽 설산이 솟아났다. 설산이 참 예쁘다. 그 앞에 있는 모레인 지대는 마치 큰 성처럼 보인다. 1시가 되어 산 중턱 길에 들어섰다. 넓은 야크방목지이고 티베트 국경 가는 길 중 하나라 길이 잘 나 있다. 아무리 탁 터진 민둥산이라도 길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은 운행할 때 천지차이다.

햇볕 아래  넓은 초지에서 편안하게 쉬었다. 그 때 타시가 산중턱을 가리킨다. 히말라야 타르(Himalayan Tahr, 산양) 무리다. 세어보니 모두 일곱 마리다. 지금까지 히말라야 트레킹을 하면서 산양을 가까이에서 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녀석들은 우리가 고함을 지르며 아는 체 했으나 모르쇠로 일관하며 풀을 뜯고 있다. 거리가 멀어 전혀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모양이다.

히말라야에는 세 가지 종류의 산양/사슴류가 서식하고 있다. 청양(靑羊, Blue Sheep)은 바랄(Bharal) 이라고도 부르며 납작한 털이 푸르고 가슴이 검다. 주로 3500~4000m 고산 절벽 근처에서 5~20마리의 무리가 산다.

히말라야 타르(Himalayan Tahr)는 양의 일종인 산양으로 5000m 고산의 가파른 절벽에 산다. 숫컷은 거칠고 어두운 색의 긴 털을 가지고 있으며 무게는 100kg까지 나간다. 20-30마리가 무리지어 산다.

사향노루(Musk Deer)는 사슴과에 속하지만 뿔은 없다. 숫컷은 위턱에 송곳니가 아래로 내려와 있다. 다른 사슴들과는달리 사향노루는 배에 독특한 혹주머니가 발달되어 있는데 그곳에 사향이 만들어진다. 히말라야에서는 제일 낮은 곳에 서식하고 있는데 값비싼 사향을 구하기 위한 인간들의 사냥으로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이다. 산양이 있으니 여기도 산양의 천적인 눈표범(snow Leopard)도 있을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히말라야 고산의 맹주는 눈표범이다. 고양이과에 속하는 눈표범은 험난한 산악 지대에서 조용히 살아가기 때문에 현지인들도 좀처럼 보기가 힘든 환상의 동물로 여겨지고 있다. 그래서 생태 부분도 잘 알려지지 않은 것이 많다. 1970년 미국의 동물학자 조지 섈러에 의하여 야생 상태의 사진이 처음으로 촬영되어 주목을 받았다. 눈표범은 아주 희귀한 동물이라 직접 보는 것만 해도 영광(?)으로 여길 정도다.

Himalaya_Snow_Leopard.jpg눈표범의 꼬리는 가파른 바위를 오르내릴 때 균형을 잡아주며 아주 추운 날에는 입과 코를 감싸 추위로부터 보호한다. 이것이 다른 표범과 구별되는 점이다. 눈표범의 털복숭이 발은 눈신발 역할을 한다. 여름에는 수목한계선 초지에서 살며 산악 바위지역에서는 6000m까지 올라가며 겨울에는 2000m 숲지대까지 내려온다(2006년 조사에 의하면 랑탕 계곡에서도 발자국 등 눈표범의 흔적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헤밍웨이의 소설 <킬리만자로의 눈>은 서두는 이렇게 시작한다.

"킬리만자로는 그 산봉우리가 늘 눈에 덮여 있는데, 표고 1만 9천 7백 10피트로 아프리카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서쪽 꼭대기는 마사이어로 '느가이예 느가이' 즉 '신의 집'이라 불린다. 이 꼭대기 가까이에 말라빠지고 얼어붙은 표범의 시체가 하나 있다. 이렇게 높은 곳에서 표범이 무엇을 찾고 있었는지는 아무도 설명할 길이 없다."

작가는 왜 표범이 눈덮인 산 정성까지 올라와 얼어 죽었을까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만일 그 표범이 눈표범이라면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곳이 그들의 서식지가 그곳이기 때문이다. 굶으면 단연히 죽을 수밖에 없다는 사실은 불변의 진리다. 물론 작가는 생태학적인 면이 아닌 다른 의미에서 표범의 죽음을 조명하고 있다. 이 대목에서 영감을 얻은 한 작가(양인자)가 가사를 썼고 음악가인 그 남편(김희갑)이 곡을 붙여 만든 노래 <킬리만자로의 표범>을 가수 조용필이 불러 많은 인기를 얻었다.

대부분의 날을 혼자 독립생활을 하는 눈표범은 현재 전세계에 약 600마리 정도만 서식하고 있는 희귀동물로 모피가 매우 비싸게 팔리는 까닭에 밀렵이 성행했다. 또 아시아에서는 눈표범의 뼈가 호랑이 뼈와 쌍벽을 이루는 귀한 약재로 취급되어 왔기 때문에 뼈를 노리는 밀렵꾼에 의하여 사냥되기도 하고, 티베트 유목민들에게는 가축을 해치는 동물이라 하여 제거되기도 한다.  그들의 먹잇감인 야생 초식 동물이 감소하는 것도 개체 수 감소의 한 원인으로 생각된다.

세계자연보호연합(IUCN)의 적색자료목록(Red Date Book)에서는 ‘EN’(절멸 우려종)으로, 워싱턴 협약(CITES: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물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에서는 부속서의 I(멸종 위험이 높은 종)로 지정되어 국제거래가 금지되어 있다.

Himalaya_Snow_Leopard_Chharang.jpg얼마 전 NGC에서 방영한 BBC제작 <히말라야의 동물들>에 나오는 눈표범을 보니 생김새와 움직임이 아주 귀엽다. 무스탕의 짜랑과 로만탕의 왕궁에 눈표범 박제가 있는 것으로 보아 그쪽 황량한 티베트 고원에도 눈표범이 서식하고 있는 모양이다. 페셀의 책에 보면 삼둘링 곰빠를 방문하고 로만탕으로 돌아왔을 때 눈표범을 등에 진 한 농부를 보았다고 쓰고 있다. 40년 전만 해도 무스탕에서 자주 만나는 동물인 것 같다.

우리가 바람으로부터 자유로워 진 것은 오직 마을 출입문에 들어섰을 때였다. 주광장에서 우리는 한 농부가 큰 눈표범 가죽을 등에 지고 가는 것을 보았다. 가죽은 검은 점이 있는 하얀색이고 길이는 9피트였다. 그 사람은 구식 보병총으로 조금 전 표범을 쏘았다. 그리고 가죽 일부분을 벗기고 속에 짚을 채웠다. 그는 지금 뉴곰빠로 가는 중이었다. 스님들은 그것을 악마의 방어책으로 곰빠에 매달아 둘 것이 틀림없다. (Pessisel, <Mustang-A Lost Tibetan Kingdom>, p. 191)

눈표범을 야생상태에서 보는 것은 아주 어려운 일이다. 2004년 BBC가 제작한 다큐멘터리 <planet earth diary>를 보면 눈표범을 영상에 담기 위해 2004년 라닥 히말라야와 파키스탄 히말라야를 돌아다니며 얼마나 고생을 했는지 알 수 있다. 이들은 결국 세계 최초로 눈표범 촬영에 성공한다. 우리는 이틀 후 라르키아 라를 넘을 때 눈밭에 선명하게 찍혀 있는 눈표범 발자국을 보았다. 그것만 해도 만나기 어려운 행운이라고 할 수 있다.

Manaslu_0983.jpg따뜻한 햇살 아래 넓은 초지에서 설산을 감상하며 쉬었다. 앉아 있는 사람도 있고 빗듬하게 누운 사람도 있다. 각자 자기 스타일대로 편한 자세를 취한다. 아무리 봐도 뒤쪽 티베트 설산은 독특한 아름다움이 있다. 그리고 다시 길을 나서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또 한 무리의 산양들이 보였다. 오늘 TV에서만 보았던 히말라야 고산 동물들을 자주 보니 기쁘다. 원숭이는 랑탕에서 많이 보았지만 산양은 5년 전 ABC 트레킹 때 마차푸차레 베이스캠프 가는 도중 아주 멀리서 본 것이 처음이었다. 이렇게 가까이에서 하루에 두 무리를 보기도 쉽지 않다.

넓은 초지는 곧 산허리길로 바뀌었다. 산허리길이란 중간 중간 골이 있기 때문에 빙빙 돌아야 한다. 오후 3시에 오른편으로 다람살라로 향한 계곡이 보이는 곳에 도착했다. 멀리 앞쪽으로 높은 제방 같은 언덕 위의 캠프장이 보인다. 거기까지도 한참 더 가야할 것 같다. 실제로는 20분밖에 안걸렸지만 점심 후부터 거의 4시간 가까이 운행중이라 마지막 20분이 아주 길게 느껴졌다.

마을 위 언덕에 도착하여 내려다 보니 어제 이맘 때 울굿불굿하던 텐트들은 모두 사라지고 캠프장이 텅 비어 있다. 우리팀 텐트 뒤쪽으로 오늘 새로 온 팀의 노란 텐트 두 동이  보인다. 두 사람이 온 모양이다(나중에 부부를 포함하여 세 사람이 왔다는 것을 알았다). 그래도 식당텐트와 화장실텐트 등 있을건 다 있다. 자세히 보니 마을 입구 롯지 옆에도 텐트가 살짝 보인다. 무척 한산한 분위기다.

주방에서 내 온 뜨거운 차를 마시며 잠시 쉬다가 나머지 오후는 마을 방문으로 보냈다. 어제는 못느꼈는데 오늘 보니 집집마다 하얀 룽다가 펄럭이고 있다. 오늘은 주민들이 많이 보인다. 아이들은 어른들 곁에서 놀고 있거나 혼자 밭에서 놀고 있다. 골목길 응달은 아직 덜 녹은 눈이 남아 있어 진창이다. 마을은 아무리 봐도 인도나 네팔의 빈민촌을 연상시킨다. 집집마다 쌀아 둔 건초더미가 더욱 그런 느낌을 부추키고 있다. 무스탕 마을과 비교가 되어 내 눈이 너무 높아진 모양이다.

작년까지 여섯 번 트레킹을 하면서 이렇게 현지인들이 사는 곳을 몇 번이나 방문한 적이 있을까 생각해 보니 기억이 나지 않는다. 있다면 오직 작년 무스탕 트레킬 때 뿐이었다. 안나푸르나 지역, 랑탕 지역 그리고 쿰부 지역에서는 항상 롯지 촌에서 머물렀다. 어쩌다 현지인들이 사는 집을 지나치긴 했지만 주변 분위기는 롯지와 티하우스가 장악하고 있다.

롯지촌은 새로 생긴 마을이다. 피상(Pisang)도 트레커들이 머무르는 로우(Lower)피상은 롯지촌이고 그 위쪽 산비탈에 있는 어퍼(Upper)피상이 현지 주민들이 사는 올드빌리지다. 마낭(Manang)은 그나마 현지인들의 집과 롯지촌이 같이 있어 티베트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이곳에 비하면 마낭은 그야말로 대도시격이다. 그만큼 이곳이 오지임을 실감한다.

척박한 환경이지만 그래도 이곳에서 얼굴을 찡그린 사람을 보기 힘든 것은 참으로 불가사의한 일이다. 인간인 이상 희로애락의 감정이 없을 수 없다. 탐냄과 성냄과 어리석음을 불교에서는 탐진치 삼독(三毒)이라고 한다. 중생의 선한 마음을 해치는 가장 근본적인 3가지 번뇌를 독에 비유한 것이다.

탐냄은 좋아하는 대상에 대한 집착이고 성냄은 좋아하지 않는 대상에 대한 반감·혐오·불쾌 등의 감정이다. 어리석음은 불교에서 말하는 바른 도리에 대한 무지를 말하며 무명(無明)과 같다. 그것은 자기에 대한 강한 집착에 의해 바른 도리를 보지 못하고 잘못된 판단이나 분별을 일으켜 온갖 번뇌의 근원이 된다.

인간의 삶이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이런 삼독심의 발로가 대부분을 지배하고 있다. 그리고 모든 것의 기준을 '돈'으로 삼는 현대문명사회에서는 더욱 삼독심이 치성하고 있다. 이곳 사람들이 편안한 얼굴을 하고 있는 것은 역으로 생각하면 그만큼 현재문명의 때가 덜 묻은  탓이 아닐까 생각한다.

골목길을 돌아나오는데 한 집에서 두 여인네가 늙은 노인을 담요에 싸서 방으로 들어간다. 잠깐 보았지만 노인은 임종이 다가온 듯 의식이 거의 없다. 생로병사는 예외가 없는 일이니 새삼스러울 것이 없지만 행여 고칠 수 있는 병도 의료시설이 없어 죽음을 속수무책으로 맞이하는 것은 아닐까 저어했다.

맞은 편 담장에서 그 광경을 보던 할아버지가 나를 보더니 목을 콜록거리며 뭔가를 달라고 한다. 느낌으로는 감기약을 달라는 것 같다. 약품가방을 가지고 왔지만 확실하지 않은데 함부러 줄 수는 없는 일이다. 타시와 같이 왔으면 통역이 되어 필요한 약을 주었을 것이다. 그래서 그냥 초코바만 하나 주었다.

지금 생각하니 종합감기약 정도는 부작용이 별로 없을 것이기 때문에 감기약을 주는 것이 좋았을 것 같다. 날이 저물기 시작하는 시간이 되어 식당텐트로 가 저녁이 나올 때까지 이야기를 나누었다. 타시가 들어왔다. 어제 주문한 대로 마을 촌장을 모시고 왔느냐 물으니 자기가 알아 온 마을 사정을 이야기 한다.

삼도는 아래의 사마가온과 함께 하나의 VDC(마을발전위원회)에 속하는데 사마가온에는 4개의 워드(Ward), 삼도에는 3개의 워드로 또 나누어져 있다. 워드란 구역을 뜻하는 말로 우리의 통이나 반의 개념과 비슷할 것이다. 보통은 한 마을이 한 워드가 되는데(무스탕은 7개 VDC에 33개 마을이 있다) 불과 30여 채의 집이 있는 삼도에 3개 워드가 있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각 워드의 대표 3인에게 나누어 줄테니 그 사람들을 불러달라고 하니 타시가 다시 고개를 젖는다. 한 사람에게 주면 혼자 다 가지기 때문에 개인별로 달라는 것이 대중의 뜻이라고 한다. 순박한 사람들이라 사이좋게 나누어 가지리라 생각했는데 그건 또 아닌 모양이다. 시간이 조금 걸리는 일이지만 마을사람들이 원하는 방식이니 따를 수밖에 없다.

이미 밖에는 이야기를 듣고 사람들이 와 있다. 마을 잔치라도 하는 듯 아이 어른 할 것없이 다 모였다. 우선 타시를 통하여 항생제 사용법을 마을 사람들에게 설명한 후 뒤쪽 둔덕에 서 있는 남형 씨에게 어른이 몇 명이나 되어 보이는가 물어보았다. 30명 쯤 된다고 한다. 450정이니 15정씩 나누어 주려는데 다시 남형씨가 다시 정정한다. "아니, 더 오는데요. 50명은 되겠습니다." 그래서 9정씩 주기로 했다.

이런 상황에서는 가족 수가 많은 집이 유리하다. 한 사람씩 나누어주기 시작했다. 약을 받는 사람마다 만병통치약을 받는 표정이다. 심지어는 그 자리에서 캡슐을 열고 쓴 분말을 입에 털어 넣는 사람도 있다. 곰빠의 스님도 대열에 동참했다. 이곳에서 이렇게 약을 단체로 배급받은 일은 드물다고 한다.

타시가 정확을 기하려고 종이에 동그라미를 치고 찢어 마을 사람에게 준다. 그러면 사람들은 그 종이를 나에게 내밀고 약을 탔다. 약을 주며서도 이상하다는 생각을 했다. 손 바닥에 체크를 하면 모를까 종이를 주면 나중에 버리고 다시 탈 수 있으니까 말이다. 나는 누가 누구인지 도무지 구분할 수가 없다. 그래도 순박한 사람들이라 이중으로 약을 타려는 사람은 없는 것 같다.

오늘 도착한 세 명의 독일 팀도 가까이 와서 구경한다. 거기서 이런 행사를 벌였다면 우리도 구경하러 갔을 것이다. 불구경과 사람구경이 제일 재미있는 법이다. 한 사나이가 와서 남형 씨에게 물어본다. 뭘 주느냐. 페니실린 같은 항생제다. 의사가 왔나. 아니다. 대충 옆에서 들은 내용이다.

곧 한 통이 바닥났다. 남은 통에 있는 것을 더 가져와 덜어 타시에게 나누어주라고 했다. 조금 전 마을 골목길에서 만났던 사나이가 나에게 한 아낙에게 업혀 있는 아이를 보여준다. 영어를 할 줄 아는 친구다. 아이를 보니 오른쪽 볼이 퉁퉁 부어있다. 잇몸이나 입 안에 염증이 생긴 것인지 아니면 다른 원인이 있는지 의사가 아닌 내가 알 리 없다.

제법 아플 것 같은데 이력이 났는지 꼬맹이는 울지도 않고 멀뚱멀뚱 나를 쳐다본다. "왜 이런지 나는 알 수 없다. 그리고 약도 없다. 가능하면 빨리 병원에 가 보는 것이 좋겠다."라고 조언했다. 그리고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 말임을 금방 알아차렸다. 병원에 가는 것을 몰라서 가지 않는 것이 아니다. 이 아이를 치료할 병원은 여기서 최소한 5일 걸리는 아루갓바자르에도 있을 것 같지 않고 카트만두까지 가야 하는데 그럴 형편이 되지 않아 못가는 것 아니겠는가!

이럴 때는 내가 의사였으면 하는 생각이 든다. 적어도 환자의 증상은 알고 약을 줄 수는 있을 테니까. 아무래도 마음에 걸려 약상자를 뒤져보았다. 작은 통에 들어 있는 어린이용 소염진통제가 있다. 이거라도 혹 도움이 될지 모르니 하루에 두 알씩 먹이라고 통 채로 다 주었다. 보름치 쯤 된다. 계속 먹이지는 말고 한 사흘만 먹여보라고 해야 했는데 깜박 잊었다. 설마 보름 내내 다 먹이지는 않겠지. 알 수 없는 일이다. 이곳 아이들은 대체로 야생마처럼 체력이 강하니 잘 견디어 냈으리라 생각한다. 
 

trek 12. 삼도(티베트 국경으로 소풍)  (top으로)

 Manaslu_trekmap_12.jpg

manaslu_map_T.jpg

Manaslu_map_1014_google.jpg

Manaslu_0907.jpg

Manaslu_0908.jpg

티베크 국경으로 가는 언덕에서 삼도를 돌아보다. 아침 짓는 연기가 피어나고 있다. 다람살라 쪽으로는 다른 팀의 포터들과 트레커들이 줄지어 가고 있다.

Manaslu_0915.jpg

Manaslu_0924.jpg

9시경 룽다가 펄럭이는 돌무지에 도착했다. 뒤를 돌아보니 설산을 배경으로 두 사람이 열심히 올라오고 있다.

Manaslu_0928.jpg

Manaslu_0936.jpg

트베트로 갈 목재 다발. 이곳에서 휴식시간을 가졌다. 얼마 후 운행 도중 티베트로 말을 타고 가는 두 사나이가 우리르르 지나쳤다.

Manaslu_0940.jpg

Manaslu_0941.jpg

계곡 바닥으로 내려 간 후 그곳에서 나무다리를 건넜다.

Manaslu_0944.jpg

Manaslu_0949.jpg

햇볕이 따뜻한 양지녁에서 간단한 점심을 먹고 강을 건너 건너편으로 넘어오다. 타시가 우리 모두를 업어 건너주었다. 그는 빙하에서 바로 내려오는 찬 얼음물을 8번 왕복하는 수고를 아끼지 않았다.

Manaslu_0954.jpg

Manaslu_0965.jpg

무성한 관목 사이로 오르다. 높은 고도에 따로 길이 있는 것이 아니어서 조금 힘이 들었다. 뒤쪽(북쪽)의 티베트 국경을 이루는 설산을 배경으로 오른다. 거대한 요새처럼 보이는 모레인 아래에서 점심을 먹고 1시간 동안 오르막을 오르는 중이다.

Manaslu_0964.jpg

Manaslu_0981.jpg

독특한 아름다움이 있는  티베트와 국경을 이루고 있는 설산 연봉.

Manaslu_0976.jpg

Manaslu_0968.jpg

 넓은 초지에 이르러 휴식.  그곳에서 한 무리의 히말라야 산양을 보았다.

Manaslu_0980.jpg

Manaslu_0986.jpg

휴식을 마치고 넓은 야크카르카를 계속 내려오는데 얼마 후 다시 산양 무리가 보였다. 오늘 하루에 히말라야 마못과 산양을  두 무리나 보았으니 소풍 나온 보람이 있다.

Manaslu_0992.jpg

Manaslu_1000.jpg

서쪽 다람살라 가는 계곡이 보이는 곳에 도착하다. 고산으로 향한 길이 만만치 않아 보인다. 열심히 마지막 구간을 따라 오고 있는 동포들.

Manaslu_0996.jpg

Manaslu_1001.jpg

앞쪽으로 우리의 안식처 삼도 캠프장이 보인다. 마을 바로 위 언덕에서 내려다 본 캠프장. 오늘 새로 온 팀의 노란 텐트가 왼편과 오른편으로 보인다.

Manaslu_1003.jpg

Manaslu_1015.jpg

삼도 마을 풍경 1

Manaslu_1025.jpg

Manaslu_1016.jpg

삼도 마을 풍경 2

Manaslu_1023.jpg

Manaslu_1022.jpg

삼도 마을 풍경 3. 오른쪽 사진에 뒷모습을 보이고 있는 영감님이 그 앞을 지나가는 내게 약(내 짐작으로)을 달라고 했지만 어떤 약이 필요한지 몰라 주지 못했다.

Manaslu_1010.jpg

Manaslu_1013.jpg

바깥쪽에서 본 삼도 마을

Manaslu_1024.jpg

마을에서 만난 이 사나이가 나중에 한 아낙이 업고 있는 볼이 퉁퉁 부어 있는 아이를 보여주며 약을 좀 달라고 했다. 아들로 보이는 이 아이는 건강해 보였다.

Manaslu_1031.jpg

Manaslu_1029.jpg

CIMG0924.jpg

마을사람들에게 항생제를 나누어 주다. 나누는 기쁨이 있었다.

Manaslu_1026.jpg

Manaslu_1028.jpg

우리의 캠프와 삼도 마을을 수호하는 듯 동쪽에 우뚝 솟아 있는 팡푸치의 일몰

trek 11. 사마가온 - 삼도

트레킹

출발지

캠핑사이트

고도

소요시간

trek 1

카트만두 - (전세 차량) -  아루갓 바자르

520m

10:20

trek 2

아루갓 바자르

소티 콜라

620m

5:45

trek 3

소티 콜라

마차 콜라

930m

8:10

trek 4

마차 콜라

도반

990m

5

trek 5

도반           

필림

1,550m

7:30

trek 6

필림           

1,895m

4:30

trek 7

뎅               

2,140m

6

trek 8

리히

2,905m

5:45

trek 9

리히

사마가온

3,530m

7

trek 10

사마가온 (고소적응일-빙하호수 방문)

3,680m

3

trek 11

사마가온

삼도

3,850m

3

trek 12

삼도 - 티베트 국경 방문

4,240m

7

trek 13

삼도

다람살라

4,450m

3:35

trek 14

다람살라 - 라르키아 라(5213m) - 빔탕

3,720m

11:20

trek 15

빔탕

띨제

2,335m

8:20

trek 16

띨제

자갓

1,314m

9

trek 17

자갓

나디

930m

7

trek 18

나디 - 불불레 - (전세 차량) - 카트만두

1,400m

11

 


 

옛날의 금잔디 -  삼도 가는 길

2007. 10. 23(화)


 

오늘은 모두 상태가 좋다. 하루 쉬었더니 컨디션이 좋아진 모양이다. 오늘 일정도 3시간 짜리라 부담이 없다. 8km 거리에 평지길이 대부분이고 고도는 170m만 오르니 룰루랄라 일정이다. 나는 아직 콧물이 나오고 코를 풀면 피가 섞여 나오기는 해도 전체적인 느낌은 나쁘지 않다.

어제 저녁 식사 후 다시 단체로 다이아목스를 먹었다. 아침에 일어나니 손끝이 저릿저릿하는 증상은 다이아목스가 몸에서 잘 분해되고 있다는 증거다. 이런 단체 트레킹에서는 한 사람이라도 문제가 생기면 팀 전체에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각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열심히 체력도 단련해 두어야 민폐를 끼치지 않는다.

혼자 아니면 두 사람이 움직였던 첫 네 번의 트레킹까지는 다이아목스를 먹지 않았다. 돌아갈 날을 여유 있게 잡았기에 여차하면 운행을 중지하고 증상이 개선될 때까지 푹 쉬었다 갈 수 있었다. 다이아목스를 준비한 것은 2005년 가을 5명이 한 팀이 되어 떠났던 ABC트레킹 때부터였다. 이 때는 출입국 시간에 제약이 있어 여유가 많지 않았으므로 처음부터 증상의 조짐이 보이면 약을 먹었다.

ABC는 고산병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덜하긴 해도 마지막 이틀은 3000m 이상에서 1000m를 올리기 때문에 위험부담이 있다. ABC에서 1박하며 멋진 안나푸르나의 일출을 잘 보고 왔지만 우려했던 대로 세 명이 고산병 증세를 보여 다이아목스의 도움을 받았다. 다이아목스는 카트만두나 포카라 약국에서 쉽게 살 수 있다.

다시 멋진 일출을 구경하고 배낭을 매는데 근처에 사는 한 꼬마가 일찍부터 구경을 왔다. 몽골리안 계통의 모습으로 옷만 빼면 영락없는내 어린 시절 모습이다. 추운 날씨인데 맨발에 슬리퍼를 신고 있다. 내가 "타시뗄레" 하자 공손히 합장하며 "타시뗄레' 한다. 마침 카메라 가방에 넣어 둔 어린이 양말이 있어 선물로 한 컬레 주었다.

7시 20분 출발. 마을을 벗어나자 마나슬루가 전신을 보여주며 반긴다. 어제보다 이른 시간이라 구름이 거의 없는 깨끗한 모습이다. 오늘은 바람이 서에서 동으로 불어 '연기'의 방향이 어제와 반대방향이다. 마나슬루 빙하에서 흐르는 계류를 건너 다시 관목숲 지대로 들어갔다. 마나슬루는 계속 우리를 따라왔다.

너무 멋진 마나슬루의 모습에 취해 길을 가면서 눈을 떼지 못하고 계속 사진을 찍으며 걸었다. 8시 경, 어제 빙하에서 내려오며 보았던 서양팀 캠프 옆을 지났다. 이들도 막 곧 출발할 모양이다. 제복을 입은 포터들이 부지런히 짐을 싸고 있다. 이곳에서 보는 일출은 그야말로 장관일 것이다.

314-manaslu_sunrise_3.jpg어제 잘 보았기에 오늘 아침은 대충 보고 말았는데 이곳을 지나가면서 생각하니 후회가 막심이다. 어제는 산 정상부근만 보였다. 이곳은 빙하와 주변의 산까지 한 눈에 다 보이는 파노라마다. 황금빛이 전신에 퍼지는 장관을 상상하니 전율이 일어났다. 돌아와 2000년 가을 이곳을 방문했던 칼스텐 네벨의 사진을 다시 보니 내 짐작이 맞았다. 이 사진을 출발 전에도 보기는 했지만 장소가 이곳인줄은 당연히 알지 못했다. 산만 보았지 전체 풍경까지 눈여겨 볼 생각은 못했던 것이다. 다음에 오실 분들은 부디 이곳을 놓치지 마시길...

P0004897.jpg10여 분 후 마나슬루 지역에서 제일 긴 마니월이 있는 넓은 초지인 케르모 카르카(Kermo Kharka)를 통과했다. 대충 보아도 200m는 될 것 같다. 그리고 곧 돌맹이가 많은 강바닥으로 내려갔다. 내려갔다고 해도 고도차는 거의 없다. 아직 햇볕이 비치지 않는 그늘이라 조금 쌀쌀했다.

내려오는 한 무리의 소떼들을 지나 해가 비치는 초지에 도착했다. 마나슬루는 이제 앞 산에 가려 꼭대기만 조금 보인다. 대신 남쪽 사마가온 쪽으로 거대한 히말출리가 나타났다. 북쪽으로는 브이자 계곡 사이로 티베트와 국경을 이루고 있는 설산이 보인다. 계곡 아래쪽 강 건너로 한 무리의 야크 떼가 내려오고 있다.

그쪽 위 역시 티베트와 국경을 이루는 6천미터 급 산들의 연봉이다. 설산 아래에 줄을 지어 내려오는 야크 떼의 모습은 영화 <히말라야>의 한 장면이 연상되는 풍경이다. 그곳부터는 길은 넓은 초지와 완만한 산비탈 경작지를 반복한다. 햇볕은 이제 계곡 바닥까지 비추어 따뜻했다.

사마가온에서 삼도 가는 이 구간은 마나슬루 트레킹 중 아주 인상적인 구간 중 하나였다. 왼편의 마나슬루를 비롯하여 뒤돌아보면 웅장한 모습을 보이는 히말출리의 주변 풍경은 장엄하다. 거기에 더욱 나의 가슴속 깊이 울림을 준 것은 따뜻한 햇살 아래 넓은 초지와 산비탈 경작지 옆길, 그리고 간혹 나타나는 가는 개울물이었다. 그 길은 그 옛날 내 어린시절 봄날의 산골 모습이다. 도시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사람은 도저히 알 수 없는 그런 향수를 느끼게 하는 길이다.

히말라야 트레킹은 보고 듣고 먹고 즐기며 다른 나라 사람들과의 친교를 하는 여행일 뿐만 아니라 존재의 본질에 대한 성찰, 자신의 깊은 내면을 일별 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그리고 40대 이상의 사람에게는 네팔 사람들의 사는 모습에서 오래 전 우리의 유년시절, 곤궁했던 상황은 제거하고 아련한 추억은 한결 여유롭게 되새길 수 있는 그런 시간여행의 즐거움이 있다.

길을 걷다가 나도 모르게 <매기의 추억> 이라는 노래가 입에서 흘러나왔다. 나는 예전 소싯적에 이 노래를 부를 때마다 '매기'를 민물고기인 '메기'로 생각하여 '왜 물고기와 같이 앉아서 놀지?'라는 의문을 품곤 했다. 매기가 사람 이름인 줄은 한참 후에 알았다.

존슨(G. W. Johnson, 1839~1917)이라는 한 청년은 20세 때인 1859년 캐나다 온타리오 주 해밀턴(Hamilton)에 처음 교사발령을 받아 부임했다. 그리고 곧 17세의 제자 마가렛 클라크(Margaret Clark)와 사랑에 빠진다. 두 사람은 자주 마가렛의 집 근처 개울가에서 데이트를 즐겼다. 매기(Maggie)는 존슨이 부른 애칭이다. 5년 후인 1864년에 존슨은 서정시집 <Maple Leaves>를 냈는데 거기에 수록된 시 중 하나가 ' When You and I Were Young, Maggie'이다. 그들은 그해 10월 결혼한다. 그러나 매기는 질병으로 다음해인 1865년 5월, 24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나고 만다.

영국 출생으로 미국으로 이주한 음악가인 버터필드(J.C. Butterfield)는 1866년 이 시에 곡을 붙였다(두 사람이 친구사이라는 말도 있으나 확실한 근거는 없다). 이 곡이 오늘날 전세계인이 널리 부르는 애창곡 중 하나인 <매기의 추억>이다. 현재 우리가 '옛날에 금잔디 동산에 매기 같이...'로 시작하는 이 노래는 대부분의 번안곡이 그렇듯 원래의 가사를 많이 줄여 단순하게 만든 것이다.

큰 계곡 두 개가 합수되는 지점의 언덕에서 두 번째 휴식시간을 가졌다. 멀리 삼도 마을을 알리는 초르텐 하나가 조그맣게 보인다. 삼도에 다 왔다는 말에 모두 기뻐한다. 하지만 그곳까지 가려면 계곡으로 내려갔다가 다시 가파른 언덕을 올라야 한다. 계곡으로 내려가 다리를 건너 오르막을 오르니 카니가 나왔다. 멀리서 볼 때는 언덕에 오르면 바로 초르텐이 있을 것 같았는데 막상 언덕에 올라선 후에도 마니월을 지나 초르텐까지 한참 걸었다. 그래보았자 15분 정도지만 가파른 언덕을 오른 후라 제법 먼 느낌이 들었다.

10시 40분 히말출리를 마주 바라보며 서 있는 삼도의 큰 초르텐에 도착했다. 다른 팀 포터들이 그 옆에서 해바라기를 하고 있다. 초르텐 내부에는 나무판자에 아름다운 불화가 그려져 있는데 칠이 많이 벗겨져 있다. 나무가 귀한 무스탕에서는 천장을 제외한 나머지 사방벽은 흙으로 고르고 불화를 그렸다. 이곳은 나무가 흔해 나무판으로 벽을 막고 그 위에 그렸다. 비바람의 풍화작용으로 현재 두 지역 모두 낡아 있다는 점은 같다.

Manaslu_05-10_HPS2_P0750.jpg초르텐을 통과하니 산자락 아래 모여 있는 삼도 마을이 나타났다. 마을 입구에는 쿰부지역 롯지와 비슷한 형태의 2층짜리 롯지가 두 채 있다. 2년 전 안드레스가 이곳에 왔을 때만 해도 단층짜리 소박한 롯지밖에 없었다. 지금은 이층까지 올렸지만 아직도 공사중이라 새 목재들이 롯지 주변에 많이 쌓여 있다.

Manaslu_0847.jpg불과 2년 사이에 풍경이 많이 변했다. 마나슬루도 점점 트레커들이 많아지고 있다는 증거다. 체력이 좋아 15kg 정도의 배낭을 매고 가벼운 텐트를 지참하기는 하되 웬만하면 기본적인 롯지에서 숙식을 해결하겠다는 각오만 있다면 반드시 여행사를 통하지 않아도 마나슬루 트레킹을 할 수 있다. 2005년 안드레스 팀이 그 경우다.

그들은 네 명의 트레커에 여섯 명의 스태프들만 대동하고 마나슬루 트레킹을 했다. 음식은 현지식 아니면 트레커들이 돌아가며 만들었다고 한다. 사진을 보니 �은 사람들이 아닌 중늙은이들이다. 모험적인 서양 사람들의 전형적인 스타일이다. 나는 체력도 안되지만 설사 된다 하더라도 네팔의 경제에 일조를 한다는 마음으로 그런 스타일은 피하고 있다. 그래서 혼자 하는 롯지 트레킹의 경우라도 반드시 가이드와 포터를 고용한다.

롯지 근처 캠프사이트에는 어제 온 다른 팀의 텐트가 몇 동 있다. 이들은 여기서 고소적응일을 가진 모양이다. 마을 앞은 넓은 경작지가 있어 추수가 끝난 이맘 때 쯤에는 모두 캠프장으로 이용할 수 있다. 우리는 마을과 제일 가까운 산기슭 바로 아래 제일 넓은 마당에 캠프를 쳤다. 마당에 펼쳐놓은 깔개에 앉아 점심을 기다렸다. 햇볕은 쨍쨍하지만 바람이 세게 불어 추위를 느꼈다.

사마에서 올라오는 트레킹 팀들이 계속 하나 둘 도착하더니 금새 넓은 캠프사이트가 울긋불긋한 텐트의 베이스캠프촌 모습이 되었다. 우리를 보더니 마을 아이들이 구경삼아 하나 둘 모여들기 시작했다. 우리 캠프가 마을 바로 앞에 있어서 아이들이 놀러오기 제일 좋다.

이번 트레킹을 준비하면서 좋은 참고가 된 안드레스의 여행기에서 아이들게 풍선을 선물로 주었다는 대목을 읽고 괜찮은 아이디어라 생각하고 나도 50여 개 준비했다. 내가 풍선이 든 봉지를 꺼내자 아이들이 모두 내게 몰려왔다. 그래도 먼저 달라는 아우성은 없다. 모여 있는 동포들을 보고 여기 저기서 아이들이 달려왔다. 안드레스는 여기 아이들이 풍선을 푸(phu)라고 한다는데 밸룬이라는 말을 쓰는 아이들이 많았다. 이제는 영어를 배운 모양이다.

풍선을 받은 녀석들도 손짓을 하며 멀리 있는 다른 아이들을 부른다. "야, 여기서 풍선 주니 빨랑 와!" 티베트어는 모르지만 척 하면 삼척이다. 너댓명 아이들이 순식간에 10명으로 불었다. 그리고 계속 달려온다. 간난쟁이를 업고 온 녀석들은 영문도 모르고 흔들리며 업혀 온 동생에게도 주라고 몸을 틀어 보인다. 당연히 주어야 한다. 풍선을 받은 녀석들은 즉시 불어제끼며 희희낙락한다.

Manaslu_0860.jpg일단 배급을 마치고 아이들을 돌려 보냈는데 백산스님이 꼬맹이를 하나를 데리고 왔다. 캠프 주방 옆 수돗가에 갔다가 이 녀석이 "헬로~" 하고 말하는 것이 귀여워 풍선 하나 주려고 손 잡고 왔다. 뭔 일인지도 모르고 엉겁결에 따라 온 꼬맹이는 우리를 보자 무서운지 달아나려고 "이잉~" 하고 우는 소리를 내며 손을 빼다가 내가 풍선을 주자 그제야 좋아한다.

아이에게 풍선을 건네주다가 아이 손을 보고 깜짝 놀랐다. 왼손 검지와 중지 사이에 고름이 잡혀 있다. 놀다가 상처가 났고 그쪽으로 침투한 세균을 맞아 지금 백혈구의 치열한 소탕작전이 전개되는 중이다. 고름은 양측 전사자들의 시신이다. 처음 상처가 났을 때 요드팅크만 발라주었어도 이런 상태까지 오지 않았을텐데 약품이 귀한 이곳에서는 그저 수수방관 한다.

무스탕에 관해 쓴 페셀의 책에는 이들에게도 페니실린 대용으로 쓰는 약품이 있다고 한다. 무스탕 사람들은 정초에 문설주에 벽사용으로 야크 버터를 덩어리로 붙여 놓는데 그들은 이 묵은 버터를 상처 치료에 쓴다고 한다. 버터가 오래 되면 그 속에 푸른곰팡이인 페니실리움 노타툼(Penicillium notatum)이 생긴다. 페니실린은 모르지만 살면서 얻은 경험일 것이다. 티베트 사람들이 여행을 떠날 때 어른들이 떠나는 사람의 머리에 버터를 찍어주며 장도를 축원하는 풍습도 이것과 관련이 있을런지 모르겠다.

Manaslu_0581_1.jpg아이의 손에 버터가 묻어 있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이곳은 그런 치료법이 없는 것 같다. 오면서 아이들 머리에 버터를 발라 놓은 것을 보기는 했다. 뜨거운 햇빛으로부터 나오는 강렬한 자외선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는 것 같다. 이틀 전 운행 중 쉬는 시간에 어린 두 형제가 집 밖에서 노는 모습이 사랑스러워 동생 머리를 쓰다듬어 주려다가 끈적거려 기겁을 했다. 아이들 머리에 야크 버터를 발라두었던 것이다.

그동안 가지고 다녔던 약을 이곳 마을 사람들에게 주기로 했다. 오는 도중 머무른 곳에서는 마땅히 줄 만한 마을이 없었다. 사마가온은 제일 큰 마을이라 양이 부족하다. 보건소가 있으면 보건소장에게 주면 될텐데 그런 곳이 있을 것 같지도 않았다. 삼도는 제일 위쪽 마을이라 약품을 구하기 가장 어려울 것이다. 그래서 저녁식사 시간 때 타시에게 내일 마을 촌장을 불러달라고 했다.

촌장에게 항생제 한 통(500캡슐)을 주고 마을에서 필요한 사람이 생기면 3일분(9캡슐) 씩 나누어 주라고 할 생각이다. 이번에 항생제 세 통과 관절염약을 가지고 왔다. 항생제 중 한 통은 무스탕 남걀 마을 사람들을 위해 쓰라고 삼툭에게 주었다. 한 통은 삼도 마을 사람들에게 주었다. 나머지 한 통은 운행 중 필요한 스태프들과 현지인들에게 주고 남은 것은 타시에게 주었다.

카트만두 삼툭의 집이 남걀 사람들의 베이스 캠프라면 포카라 타시의 집은 남돌 사람들의 베이스 캠프다. 원래 무스탕에 가지고 갈 예정인 약이었으니 두 마을을 대표하는 두 사람에게 주었다. 관절염 약은 무거운 짐을 지는 스태프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항생제는 아직도 많이 남아 있어 다음 트레킹 때도 가지고 갈 수 있다는 생각을 하면 기분이 좋다. 주방요원 빠상은 며칠 간의 항생제 복용으로 이제 발이 다 나아 불편없이 잘 걸어 다니고 있다.

Samdo_3Valley.jpg삼도는 마나슬루 지역에서 제일 북쪽에 있는 마을이자 가장 늦게 생긴 마을이다. 세 개의 큰 계곡이 합쳐지는 지점에 우연히 생긴 넓고 평평한 언덕에 자리잡고 있다. 칼스텐에 의하면 삼도라는 지명은 티베트로 셋이라는 뜻의 'sum'에서 나왔다고 해서 타시에게 확인해보니 맞다고 한다.

Tibetan123.gif레이놀즈의 책을 보면 삼도는 중국이 티베트를 침공한 1959년 이후 티베트 국경 가까운 곳에 있는 무역 마을인 리우(Riu)에서 넘어 온 사람들이 세운 마을이라고 한다. 1956년 스넬그로브가 방문했을 때는 마을이 없었고 위쪽 라르키아 라로 가는 계곡 입구에 바북(Babuk=Larkya Bazar)이라는 계절 시장만 있었다. 마을은 북쪽 산기슭 아래 마당이 있는 집 30여 채가 연달아 붙어 있는 형태다.

CIMG0897.jpg점심을 먹고 마을 전체 풍경을 감상하기 위해 북쪽 가파른 언덕을 올라 타르초가 시작되는 지점에 도착했다. 바람이 정신을 못차릴 정도로 거세게 분다. 바람이 센 지역이라 집 지붕은 모두 판석으로 덮었다. 캠프사이트에 각자 한 자리씩 차지한 그룹의 텐트가 보인다. 트레커용 텐트만 30여 동이다. 보통 트레커의 3배수가 스태프로 따라오니 30명의 트레커라면 90명의 스태프들이 있고 합하면 120명이 된다. 트레커들은 대부분 이 산 저 산에 흩어져 있고 스태프들은 해바라기를 하거나 카드판을 벌이고 있다.  

계곡이 열려 있는 남쪽으로 히말출리의 장대한 모습이 보인다. 왼편으로는 삼도를 대표하는 산인 팡푸치(Pang Puchi, 6338m)가 우뚝 솟아 있고 그 옆 계곡을 따라 티베트로 가는 길이 보인다. 오른편으로는 라르키라 라로 가는 길이 산허리를 따라 크게 원호를 그리며 사라지고 있다. 앞으로 우리가 가야 할 길이다. 무진행 보살님은 여기서 내려가고 나는 위쪽으로 계속 이어진 타르초를 따라 더 올라갔다. 타르초가 시작되는 곳의 고도가 4000m이고 이곳 언덕 꼭대기 높이가 4600m라고 하니 가파르긴 하나 두 시간 정도만 오르면 이를 수 있는 고도다. 고소적응에도 좋고 그곳에서 보는 풍광은 더욱 좋을 것이다.

Manaslu_0883.jpg그러나 4천 고지에서의 가파른 오르막 운행은 힘들다. 그리고 앞으로 며칠 간 오를 고도가 만만치 않으므로 힘을 비축할 필요가 있어 무리하지 않고 4200m 지점까지만 오르기로 했다. 그곳에서 잠시 쉬면서 풍광을 감상하다가 등산화를 보니 아직 별 탈없이 잘 견디고 있다. 닳아진 끈은 그동안 두 번 고쳐맸다.

언덕을 내려와서는 마을로 들어가 어슬렁거렸다. 골목 그늘진 곳은 아직도 눈이 녹지 않고 있다. 지붕 위에는 건초더미가 어수선하다. 보리를 터는 아낙도 있고 아들과 함께 하릴없이 해바라기를 하는 사내도 있다. 마당에는 야크와 말이 서성거리고 있다. 곰빠는 마을 가운데 하얀 칠을 한 건물이다. 모두 무스탕의 간결하고 위엄 있는 분위기와 대조가 된다. 한 무리의 트레커들이 동북쪽 계곡 탐사를 마치고 내려오고 있다.

삼도에 대해서는 2004년 <프로젝트 히말라야>의 마나슬루 트레킹 팀의 일원이었던 밥(Bob)의 여행기에 비교적 자세히 나와 있다. "멋진 풍광에 너무나 큰 감동을 받았다...."라는 단순한 감상문보다 이런 구체적인 사실에 근거한 인문사회학적 접근은 그곳에 대한 이해를 더 깊게 한다. 마나슬루로 떠나기 전 나는 그의 글을 번역하고 자세히 읽어 도움을 얻었다.

우리는 삼도로 올라갔다. 짧은 운행이다. 발 아래 전인미답의 눈이 밟히는 뽀드득 소리가 감미롭다. 삼도에 도착하자 우리는 마을 가에 있는 길 옆 주막에서 이미 로빈과 주디가 쉬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조엘 역시 롯지 주인을 알고 있다. 우리는 잠시 주방에서 차를 마시고 이야기를 나누었다.

우리는 롯지 바로 옆에 텐트를 쳤다. 뒤돌아보니 사마가온과 단순하고 장엄한 풍경이 보인다. 조엘은 그의 친구 클린트 로저스(Clint Rogers)가 삼도에서 여러 달 째 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칼 버클리(Cal Berkeley)의 재정지원을 받아 삼도의 경제와 풍속을 연구하고 있다(그의 경험에 관해서는 아래를 보라). 나는 카트만두에서 클린트를 한 번 아주 잠깐 만난 적이 있다.

나는 그 캘리포니아 친구로부터 '속 이야기'(inside story)를 듣고 싶었다. 그러나 그 친구는 오래 머물 수 없었다. 왜냐하면 마을 사람들이 그에게 야크를 잡아달라고 했기 때문이다. 최근 마을 야크 한 마리가 다쳤다. 야크는 회생이 불가능했다. 그리고 마을 사람들은 아무도 짐승의 고기와 가죽을 얻기 위한 도축자가 되려고 하지 않았다. 불교도로서 그들은 그런 일이 금지되어 있다. 그래서 불교도가 아닌 그에게 부탁한 것이다.

지난 몇 달 동안 마을의 한 집에서 머물고 있는 클린트는 그의 대학원 공부가 야크 목을 찢는데 필요한 기술과는 거의 관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 부탁을 거절할 위치에 있지 않았다. 그래서 우리는 그를 저녁 식사 시간 때까지 볼 수 없었다. 그가 반갑게 우리에게 왔을 때 그가 가져온 것은 야크도 아니고 주 음식인 참파도 아니었다.

클린트는 현지 역사에 대한 이야기를 우리에게 해 주었다. 삼도 사람들은 역사적으로 티베트인이다. 그리고 중국과의 조약의 한 부분으로 그들은 티베트와 자기네 마을을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는 권리를 얻었다. 그들은 또 비불교도 촌장들이 이끄는 사마가온 사람들과 가축의 방목과 경작지 재배에 관해 계속 다투어왔으며 종종 돌맹이를 던지는 싸움도 했다.

저녁 식사 전 앨리스와 나는 삼도 마을로 산책을 갔다. 마을은 언덕으로 둘러싸여 있는 조금 올라간 곳에 있다. 해가 지고 있었다. 그리고 우리가 지나왔던 길에 있는 마나슬루의 풍경과 그 아래 능선들, 우리 앞 빙하 위에 솟아 있는 봉우리들이 정말 멋있다. 우리는 기쁨에 넘쳐 서로 껴안았다. 땅거미 질 무렵 돌아오는 길은 조금 낮았다. 오래된 잿빛 돌집들 사이에 있는 좁고 가는 길은 진창과 야크똥으로 차 있다. 클린트와 저녁을 같이 하기 위해 텐트로 돌아오는 길에 그 두 가지를 피하기는 어려웠다.(Bob Rosenbaum, <Bob's explores the Manaslu and Nar-Phu region 2004>)

이런 오지의 작은 마을조차 연구를 하는 서양인들의 학문적 접근이 놀랍다. 우선은 이 연구를 하고자 하는 학자가 있어야 한다. 이런 오지에 현지인들과 거의 같은 수준으로 몇 달씩 머문다는 일은 보통의 열정으로는 불가능하다. 그리고 이들의 연구를 위한 경제적 재정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 서양은 그런 제도가 잘 되어 있다.

어제 사마가온에서 저녁 먹을 때 다음날 일정을 브리핑하면서 밥의 여행기에 나오는 삼도에 관한 이야기도 같이 했다. 그리고 팀 리더로서 열흘 동안의 여행으로 사람들의 많이 지쳐 있어 뭔가 영양보충이 필요할 것 같아 의견을 물어보았다. 동네마다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닭이 가장 사랑(?)을 받았다.

"그런데 말입니다." 내가 말했다.
"밥의 여행기에 나오는 클린트의 보고서에는 삼도 마을사람들은 야크가 발을 다쳐 더 이상 살 가능성이 없어 도축을 해야 할 때 자기들은 불교도라서 직접 그 일을 못하고 이교도인 클린트에게 시켰다고 합니다. 닭을 원하는 분이 있는 것 같은데 우리는 모두 불교도라서 어떻게 할 수 없지 않겠어요?"

그러자 혜명화 보살이 남형 씨를 보고 말했다.
"저기... 동생 분은 불교도가 아니잖아요?"
모두 박장대소했다. 남형 씨는 혹시 정말로 자기가 닭을 상대해야 하는가 해서 잠시 멍한 표정이다. 그러나 곧 요리는 주방에서 알아서 하기 때문에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고는 안도한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삼도에 와서 타시가 알아보니 닭은 모두 산란용으로 쓰기 때문에 팔지 않는다고 해서 이제까지의 궁리는 자동적으로 없었던 일이 되었다.

 

trek 11. 사마가온 - 삼도  (top으로)

 Manaslu_trekmap_11.jpg

manaslu_map_T.jpg

Sama-Samdo-Bimtang_map.jpg

Manaslu_001.jpg

Manaslu_002.jpg

Manaslu_003.jpg

manaslu_pano_0014.jpg

Manaslu_004.jpg

Manaslu_006.jpg

마나슬루 멋진 파노라마 일출을 볼 수 있는 곳. 캠프사이트에서 30분 거리에 있는 이곳 들판에 나와 감상하지 못한 것이 두고두고 후회가 된다.

Manaslu_0781.jpg

Manaslu_0786.jpg

Manaslu_0796.jpg

야크의 전송을 받고 마나슬루 빙하 계류를 건너 관목숲으로 들어서다. 마나슬루가 한 눈에 다 보이는 이곳에 캠프를 친 팀이 은근히 부러웠다.

Manaslu_0825.jpg

Manaslu_0822.jpg

Manaslu_0821.jpg

아래쪽으로는 히말출리의 멋진 모습이 보이고 계곡 건너편으로 야크 행렬이 내려오고 있다. 영화 <히말라야>의 한 장면 같다.

Manaslu_0815.jpg

Manaslu_0827.jpg

Manaslu_0829.jpg

햇 볕이 비치는 초지에서 휴식. 이곳부터 삼도까지는 봄날 나물캐러 가는 정다운 산골 풍경이다. 길을 걸으니 '옛날에 금잔디 동산에 매기 같이 앉아서 놀던 곳'으로 시작되는  노래가 절로 나왔다.

Manaslu_0835.jpg

Manaslu_0840.jpg

Manaslu_0843.jpg

삼도 마을 입구의 초르텐이 멀리 보이는 언덕. 물을 건너 숨가쁘게 언덕을 오르니 초르텐은 다시 뒤로 물러나 있어 한참 더 걸었다. 뒷산 꼭대기 높이는 4600m로 점심 먹고 오후에 고소적응차 조금이라도 오르면 좋다. 그곳에서 보는 풍광이 일품이다.

Manaslu_0859.jpg

Manaslu_0855.jpg

Manaslu_0853.jpg

방금 들어온 따끈따끈한 '신품'을 구경 나온 현지 아이들. 풍선을 주니 좋아하며 신나게 불고 다시 바람을 빼는 놀이를 반복한다. 시끄럽다고 야단치려다가 'I ♡ YOU'라는 의사표시가 있어 참았다. 그러나 곧 타시와 밍마 세르파에게 쫓겨났다.

Manaslu_0868.jpg

Manaslu_0889.jpg

Manaslu_0894.jpg

삼도 마을 풍경. 건초와 보릿단이 지붕과 마당에 널려 있어 어수선하다.

Manaslu_0896.jpg

Manaslu_0890.jpg

Manaslu_0899.jpg

방 앞에서 해바라기를 하는 부자. 동쪽 팡푸치 설산을 배경으로 한 아낙네가 지붕에서 보리를 털고 있다. 제일 오른쪽 사진은 동네에서 본 히말출리.

Manaslu_0870.jpg

Manaslu_0872.jpg

Manaslu_0866.jpg

마을 뒷산으로 올라가 내려다 본 마을 풍경. 타르초는 위로 계속 연결되어 있다. 정상까지 가면 좋겠지만 거센 바람이 부는 가파른 경사면을 오르는 일은 쉽지 않다. 체력을 아끼기 위해 조금만 더 올랐다.

Manaslu_0869.jpg

Manaslu_0878.jpg

Manaslu_0876.jpg

남쪽에 있는 히말출리가 장엄하다. 위에서 본 삼도 마을과 히말출리의 모습. 설산은 구름 위에 떠 있으면 더 신비하게 보인다.

 

Manaslu_0873.jpg

Manaslu_0871.jpg

동쪽 팡푸치 계곡과 서쪽 라르키아 계곡. 다람살라로 가는 길이 크게 원호을 그리며 산허리에 나 있다. 오른쪽으로 향한 계곡은 부리 간다키 강의 최상류로 티베트로 연결되어 있다.


클린트의 마나슬루 무역상들 연구를 위한 체류
Clint's Manaslu traders research sojourn

마을 사람들은 얼마나 어렵게 살고 있을까? 클린트가 우리에게 말한다!

클린트는 우리들의 좋은 친구로서 여러 해 동안 네팔에 머물며 조사해왔다. 여기 우리가 왜 캠프를 치는 지에 대한 통찰력 있는 견해가 있다.


나는 산에서 좋은 가을 시즌을 보낸 후 카트만두로 돌아왔다. 나는 샤워를 하고 면도를 하고 피자를 먹었다. 이제 나는 친구들과 가족들에게 편지를 보내며 사회로 다시 입장하는 의식을 완성할 때이다. 나는 당신이 행복하고 건강하기를 바란다.  

내가 8월에 마지막으로 이메일을 보낼 때 나는 앞으로 몇 달간 "내가 그들의 야크 캐러밴에 동행하여 그들의 사업에 끼이는 것을 허락해 준, 기울어진 오래된 무역상들을 따라 다닐 것"이라고 썼다. 나는 당시 나하고는 전혀 친근하지 않은 네팔의 한 지역에서 새로운 조사 프로젝트를 시작하려고 하는데 대해 이해해야 했다. 그렇지만 운이 좋게도, 그곳에서 무역상들과 야크 캐러밴들을 발견하는 것은 버클리 대학에서 자유주의자나 히피들을 발견하는 것만큼 쉬웠다.

내가 네팔과 티베트 간의 국경무역 조사를 위해 선택한 마을은 국경에서 단 몇 시간 거리에 있는 주요 캐러반 루트에 자리잡고 있다. 보리 수확이나 감자를 캐지 않을 때 그들은 마을에서 야크에 물건을 싣고 국경을 넘는다. 이것은 눈덮인 고개를 넘기 위해 여러 날 걷는다는 것은 결코 아니다.

이 마을 사람들은 오전 중에 해발 5100m의 고개를 넘는다. 그리고 항상 마지막 사람은 당신에게 지난 40년 동안 교역했던 모든 물건의 값과 마찬가지로 중국에서의 차의 값을 말할 것이다. 교역을 마쳤을 때 이가 하나밖에 없는 할아버지 마을 족장은 빠르게 웃으며 나를 초청해 그의 집에 머물게 했다. 나는 천상에 있었다. 아니면 그 이상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해발 3900m에 있는 마을에서의 생활이 얼마나 지저분한지 알지 못했다. 그곳은 목욕이나 옷을 빨 때 결코 충분하게 따뜻하다는 느낌을 얻을 수 없는 곳이다. 두 달 반 동안 내 몸 중 물과 접촉했던 곳은 오직 얼국과 손 뿐이었다. 그리고 나는 결코 옷을 (빨기 위해) 갈아입지 않았다. 나는 단지 따뜻하게 머물기 위한 노력으로 하루 24시간 단 한 벌의 옷을 입는 것이 필요했다.

다행히 나의 새 이웃들 대부분은 일년에 오직 한 번만 목욕했으며 결코 머리를 자르지 않아 비듬에 완전히 익숙해 보인다. 그것들이 한 번 내 옷깃에 떨어지거나 그들이 머리나 어깨를 내게 기대는 모습은 마치 TV광고와 같았다(그들은 결코 그 광고를 보지 못했다). 나중에 생각해보니 비듬은 정말로 그렇게 나쁘지 않았다. 이 말은 비듬은 이에 비교할 바가 아니라는 뜻이다.

당신의 몸에 이가 기어다닐 때까지(아시아에서 제일 크다) 그리고 당신의 옷에 셀 수 없이 많은 서캐들이 들끓을 때까지, 또 당신이 1.5m 짜리의 촌충(내가 머물며 음식을 먹었던 집 사나이에게서 나왔다)이 지나가는 것을 목격하지 않는 한, 또는 편모충증(鞭毛蟲症-편모충의 기생으로 생기는 장 질환)으로 고통받지 않는 한 당신은 정말로 불결하다는 말의 뜻을 모른다고 나는 주장한다. 나는 마을에서 생활했다.

불결한 원생동물은 불결한 환경에서 나오는 것이 확실하다. 나는 내가 그동안 경험했던 것과는 달리 모든 복통에 대하여 할아버지의 처치를 받았다. 나는 여러 날 고통에 시달렸다. 여러 시간 동안 손으로 배를 눌러 팽창한 복부에서 유황 가스를 뺐다. 끝날 때는 벽들이 내 주위에서 빙빙 돌았다. 장말 끔찍했다. 내가 약품을 가지고 있는 것은 다행이었다. 왜냐하면 마을에서 하는 치료행위에는 닭의 머리를 자르고 신선한 피를 마시는 것을 수반한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만일 그것으로 치료 되지 않으면(결코 될 것 같아 보이지 않는다) 스님들을 초청해 고대 티베트 만트라를 염송하며 보리가루로 환상적인 세 머리 용(반짝이는 눈, 갈라진 혀, 행동하는 모습의)의 조각을 만든다. 마지막으로 세 머리 용은 여러 조각으로 잘려져 마을 밖으로 던져진다. 그것은 그 병의 원인을 가져 온 나쁜 영을 �아내는 의식이다.

닭의 피를 마시도록 강요되었던 것을 제외하고 위장의 호된 시련을 극복하는데 가장 좋았던 부분은 다시 현지의 맛있는 음식을 먹는 일이었다. 나는 이 마을에서 나는 감자가 세상에서 제일 맛있다고 확신한다. 감자는 삶은 후 녹은 야크 버터, 티베트 소금, 그리고 티베트 야생에서 채취한 짐부(zhimbu)라고 하는 향신료와 섞어 완성된다. 그리고 나면 당신은 이미 열반의 세계에 도착했다는 생각이 든다. 그들은 이 입에 살살 녹는 감자를 신선한 야크 커드curd-응유凝乳 치즈의 원료)에 실짝 담근다. 아!!!!!!!!

내가 아침 점심 저녁에 먹는 음식은 소금 버터 차와 섞은 한 컵의 보리가루이다. 당신이 손으로 이겨 반죽을 만들고 야크 버터를 첨가하면 정말로 맛있다. 그들은 그것을 tsampa(발음은 "샴파sahm-pa")로 부르는데 나는 그것을 내가 좋아하는 음식인 부리토, 피자 그리고 우리 엄마의 초콜릿칩 쿠키에 새로 추가했다.

* [역주] 부리토(burrito)-고기와 치즈를 토티야(tortilla-옥수수 가루를 반죽하여 얇고 둥글 게 구운 것)로 싸서 구운 멕시코 요리.

야크 고기는 형편만 된다면 즐겁게 먹는다. 그러나 살생은 불교 교리에서 엄격하게 금지되고 있다. 그리고 나는 마을의 헌신적인 불교도 중 유일한 이교도여서 배고픈 가족들이 나에게 그런 지저분한 실제 작업을 시키기 위해 부르는 것은 일상적인 일이 되었다. 처음에는 이러한 의무(연구의 이름으로)에 동의하는 것이 주저되었다. 그러나 발을 다친 문제의 그 야크는 도축되어도 도축자가 그리 많은 업을 짓지 않는다고 해서 나는 빠르고 조용하게 처리했다.

그러나 며칠 후 두 번째 동물을 죽여달라는 압력을 받았을 때 그것은 악몽이었다. 모든 사람이 대경실색하고 무서워하리만큼 그 짐승은 죽기를 거부했다. 나는 그 짐승의 머리를 큰 망치로 계속 내리쳤다. 그 짐승은 갈색의 큰 눈으로 슬프게 나를 계속 주시했다.

내가 자포자기의 심정으로  빠르게 그 짐승의 고통을 줄이기 위해 목을 벤 후에도 그 불쌍한 짐승은 여전히 죽기를 원치 않았다. 죽음의 고통을 보는 것은 힘든 일이다. 나는 내 생애에 있어서 그 야크가 죽으려 하지 않던 날이 가장 기분이 좋지 않았던 날이다. 마을 사람들은 그날 지었던 나쁜 업을 소멸키기 위해 여러 해 동안 마을 곰빠에 버터 램프를 밝힐 것이다.

가장 나쁜 업을 지은 사람은 2004년 마을 학교에서 꾀를 부리며 근무했던 실패한 교사라고 생각한다. 그는 2002년과 2003년에도 근무했으며 기억에 의하면 다른 해에도 근무했다. 그곳은 아주 추운 오지이기 때문에 네팔정부로부터 월급을 받고 그 작은 방 하나짜리의 학교를 운영하는 그 저지대 사람은 마을에서 자신의 정체를 폭로하기를 결코 주저하지 않았다.

교사가 없는 아이들은 하루종일 밖에서 뛰어 놀 뿐이어서 황폐화 되고 있다. 소년들은 어린 불량배가 되어 돌멩이를 아무 데나 던지거나 때묻은 작은 손으로 뭐든지 훔치고 있다. 나는 아이들의 이를 잡아주었다.

이들 마을사람들의 삶에서 더욱 마음에 이끌리는 것은 지극한 단순성이다. 예를 들어, 각 집은 단지 하나의 방을 가지고 있으며 모든 가족이 중앙의 난방용 겸 요리용 화로에 빙 둘러 모여 먹고 잔다. 하루 종일 그런 단순성에 둘러싸여 있으며 마을 어느 집에도 의자 하나 또는 탁자가 없었다.

그것들은 내가 그 마을을 떠날 때까지 없었다. 그리고 카트만두로 돌아오는 일주일 간의 여정 도중 나는 한 곳에서 테이블과 의자가 있는 것을 보고 비로소 내가 그곳에 머무는 몇 달 동안 의자에 앉거나 테이블에서 음식을 먹은 적이 없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마을에서는 모든 사람이 항상 바닥에 다리를 교차한 자세로 앉아 역시 바닥에 놓인 그릇과 컵의 음식과 차를 먹고 마신다. 교차 다리 자세를 나는 빨리 익혔다. 그러나 두 달이 지났지만 나는 아직도 무릎에 고통이 오기 전까지인 단 45분 만 그 자세로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그곳에서 다리를 뻗어도 아무도 뭐라하지 않았다.

그곳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많은 사람들이 있는 곳이고, 추수할 곡식과 무역 여행이 있는 곳이다. 또한 믿을 수 없는 풍경이 펼쳐져 있는 근처 산을 탐사할 많은 기회가 있다. 그 마을은 세계 8위봉과 그리 멀리 떨어져 있지도 않을 뿐 아니라 티베트와 네팔을 연결해 주는 네 개의 고산 고개로 둘러싸여 있어 산을 사랑하는 사람의 꿈이 실현되는 곳이다.  

나는 내 연구를 계속하기 위해 봄에 그 마을로 돌아가기를 바라고 있다. 한편으로 나는 겨울에 지낼 수 있는 장소로 거주비가 싸고 노트북을 충전할 전기가 충분한 그런 곳을 결정하려고 한다. 나는 히말라야 무역 마을에 관한 이야기를 만들어 왔고, 작업은 시작되었다...

© Clint Rogers, 2004 

trek 10. 사마가온(고소적응일)

트레킹

출발지

캠핑사이트

고도

소요시간

trek 1

카트만두 - (전세 차량) -  아루갓 바자르

520m

10:20

trek 2

아루갓 바자르

소티 콜라

620m

5:45

trek 3

소티 콜라

마차 콜라

930m

8:10

trek 4

마차 콜라

도반

990m

5

trek 5

도반           

필림

1,550m

7:30

trek 6

필림           

1,895m

4:30

trek 7

뎅               

2,140m

6

trek 8

리히

2,905m

5:45

trek 9

리히

사마가온

3,530m

7

trek 10

사마가온 (고소적응일-빙하호수 방문)

3,680m

3

trek 11

사마가온

삼도

3,850m

3

trek 12

삼도 - 티베트 국경 방문

4,240m

7

trek 13

삼도

다람살라

4,450m

3:35

trek 14

다람살라 - 라르키아 라(5213m) - 빔탕

3,720m

11:20

trek 15

빔탕

띨제

2,335m

8:20

trek 16

띨제

자갓

1,314m

9

trek 17

자갓

나디

930m

7

trek 18

나디 - 불불레 - (전세 차량) - 카트만두

1,400m

11

 


 

7고소적응일 - 빙하호수와 사마곰빠 방문

2007. 10. 22(월)


 

아침에 잠이 깨어 풀어 둔 고도계의 온도를 보니 2도다. 어제만 해도 7도였는데 상당히 기온이 내려갔다. 그렇지만 우모복에 모자까지 쓰고 자니 침낭속에서는 춥지 않았다. 마나슬루의 일출을 보기 위해 텐트밖으로 나왔다. 캠프장에서는 산이 조금밖에 보이지 않아 먼저 나와 있던 무진행 보살님과 함께 바깥 길 건너편 언덕으로 올라갔다. 날이 쌀쌀하다.

세계 10위 봉인 안나푸르나(8091m)를 중심으로 서쪽 34km 지점에는  세계 7위 봉인 다울라기리(8167m)가 있고 동쪽 72km 지점에는 세계 8위 봉인 마나슬루(8156m)가 있다. 마나슬루 동쪽으로는 가네시 히말과 랑탕 히말이 연봉을 이루고 있으며 이들은 그레이트 히말라야산맥(Great Himalayas)을 따라 거의 일직선으로 서 있어 네팔 히말라야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다.

곧 일출이 시작되었다. 희미하던 마나슬루 왼편 봉우리가 연분홍빛으로 물들더니 차츰 진해진다. 그쪽이 동쪽이다. 일단 해가 뜨자 변화는 빠르게 진행되었다. 불과 5분이 지나지 않아 두 봉우리 모두 오렌지빛으로 변한다. 모두들 탄성을 지르며 멋진 일출을 바라보았다. 어제 저녁 헤매던 남형 씨도 컨디션이 회복되어 일출을 구경한다. 기초체력이 튼튼하니 회복도 빠른 것 같다. 나는 콧물이 여전하다. 며칠 전부터는 입술이 말라 입술연고를 바르고 있다.

사마가온은 마나슬루가 가장 잘 보이는 마을이다. 이곳에서 마나슬루 정상까지는 불과 9km밖에 되지 않는 가까운 거리다. 마나슬루 등반도 이곳에서 시작한다. 마나슬루를 어떤 이들은 왕관 모양으로 보고 어떤 이들은 악마의 이빨로 묘사한다. 아무런 선입관 없이 보면 왕관이고 많은 희생자를 낸 한국 산악인들에게는 악마의 이빨로 보일 것이다. 그러나 현지인들이 부르는 이름인 풍겐은 '팔찌'라는 뜻이다.

한국은 마나슬루 원정에 많은 희생을 치뤘다. 1971년 첫 번째 원정에서 김기섭 대원의 추락사로 실패했다. 1972년 두 번째 시도에서는 북동릉 7250m 지점에서 눈사태로 5명의 대원과 세르파 10명이 사망하는 히말라야 등반사상 유례가 없는 대참사를 당했다. 그로부터 한참 후인 1980년 4월 동국대 원정대의 서동환이 세르파 2명과 함께 북동릉을 통해 마침내 정상에 도착했다.

해가 산을 비추자 산 서편으로 연기같은 것이 바람에 휘날린다. 사실은 연기라 아니라 뜨거운 햇볕에 달구어진 눈이 기화되어 깃발처럼 바람에 날리는 모습이다. ABC에서 보는 안나푸르나의 일출은 군불지피는 연기나 나듯 모락모락 피어오르는 모습이었다.

넓은 광장에는 30여명의 트레커들이 일출을 기다리고 있다. 날씨는 꽤 쌀쌀하다. 영하 5도는 되는 것 같다. 이윽고 일출이 시작되었다. 구름 한점 없는 맑은 하늘 위로 레이저쑈가 시작된 것이다. 빛은 제일 높은 안나푸르나 1봉 끝에 반사되었다. 빛이 닿는 순간 어둠 속에서 설산의 봉우리가 황금빛으로 변했다. 황금빛이란 바로 이런 색을 말하는 것이리라. 가공되지 않은 천연의 황금빛. 모두들 탄성을 지른다. 햇빛이 닿자마자 봉우리에서 연기(?)가 피어오른다. 열을 받아 기화현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그것은 마치 옛날 시골집에서 다 식은 구들장을 뎁히기 위해 어머니가 새벽 군불을 땔 때 아련히 피어나던 연기같았다. (붓다아이, <2002 ABC트레킹> day 8)

히말라야의 일출은 어느곳이든 황홀하다. 지금까지 구름 때문에 못 본 나가르코트를 제외하고는 어느 히말라야의 일출이든 실망한 적이 한 번도 없었다. 히말라야에서 일출을 본 사람은 다른 곳의 일출은 눈에 차지 않는다. 두 발로 며칠씩 땀흘리며 걸리적거리는 것이 아무 것도 없는 4000m 고지에 오른 후, 추운 아침 8000m급 순백의 설산이 황금빛으로 물드는 모습은 바라보는 감동은 히말라야가 아니면 볼 수 없는 장엄한 풍광이다.

오늘은 짐을 싸지 않아도 되는 고소적응일이라 한결 여유가 있다. 그것은 스태프들도 마찬가지여서 이런 날은 하루종일 빈둥거리며 피곤한 몸을 추스릴 수 있다. 주방팀은 여전히 음식을 준비해야 하지만 그들 역시 오늘은 주방도구를 옮기지 않아도 된다.

히말라야 트레킹에서는 반드시 3500m 지점에서 고소적응일을 둔다. 안나푸르나 지역의 마낭, 쿰부 지역의 남체바자르가 3500고지 전후여서 그곳에서는 하루 더 머물여 고소적응을 한다. ABC나 랑탕의 경우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따로 고소적응일을 두지 않는데 그것은 최종목적지가 4000m 정도로 히말라야에서는 비교적 낮은 고도이기 때문이다. 여차하면 바로 내려올 수 있는 곳이다.

그러나 안나푸르나 라운딩이나 쿰부 트레킹은 3500m 지점을 통과한 후에도 5000m를 향하여 한참 더 올라가야 한다. 그래서 고소적응일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것을 무시하고 운행하다가는 도중에 그 댓가를 치르게 된다. 고소가 심해지면 땀께나 흘리며 오라갔던 길을 다시 내려가 고소을 완화시킨 후 올라가거나 아니면 아예 하산을 해야 한다. 그것을 무시하고 머뭇거리다가는 죽을 수도 있다. 통계에 의하면 히말라야 트레킹 중 해마다 두 명이 고소로 죽는다고 한다. 8만 명 중 두 명이니 확률은 아주 적다. 그러나 규칙을 무시한다면 당신은 그 두 명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고소는 적응될 때까지는 누구에나 예외가 없다. 히말라야 8000m 원정을 수십 번 다녀 온 엄홍길, 박영석, 한왕용 대장 같은 '히말라야의 귀신'들도 마찬가지다. 고산병은 제로섬(zero sum)게임과 같아 6000미터의 베이스캠프에서 지내다가 2000m 이하로 내려와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면 몸은 원래의 상태로 돌아간다. 이 때는 '저산병'이라는 증상이 나타나는데 갑자기 많아진 산소량으로 인해 졸음이 쏟아지는 행복한 증상이다. 따라서 2주 이상 저지대에서 머문 후 고산으로 가면 몸은 다시 고소적응이 필요하게 된다. 이전의 적응은 이미 유통기한이 지나 쓸모가 없다.

3천 미터는 고산병이 시작되는 높이다. 4천 미터만 되면 공기 중 산소는 평지의 60%밖에 되지 않고 5천 미터가 되면 53%로 뚝 떨어진다. 기압도 마찬가지로 낮아진다. 높이 오를수록 기압이 낮아지고 바다 밑으로 깊이 내려갈수록 기압이 높아진다는 책에서 배운 과학 지식을 바로 체험하게 된다. 그에 따라 우리 몸의 충격은 엄청나다. 산소가 없으니 피의 흐름이 저하된다. 적혈구의 운반을 산소가 하기 때문이다.

피가 잘 돌지 않으니 몸의 기능이 떨어지는 것은 당연한 일. 마치 주행 중 자동차 연료가 제대로 분사되지 않고 아주 조금씩 분사되는 것과 같다. 그 상태에서 자동차는 쿨럭거리며 비틀거릴 것이다. 가슴에 통증이 오기도 한다. 산소부족으로 혈액농도가 높아져 피가 잘 흐르지 못하는데다 심장도 팽창하여 박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힘이 없는 사람을 일러 '박력없는 사람'이라고 한다. 혈액농도가 높으니 피를 걸러주는 콩팥에 부담이 간다. 소변색이 진한 갈색으로 변하는 이유다.

걸죽해진 혈액농도를 묽히려면 물을 많이 마셔야 한다.  부족한 산소를 보충하려고 호흡이 가빠진다. 또 낮은 기압으로 온 몸의 세포가 팽창하게 된다. 그래서 손발과 얼굴이 붓는 부종이 생긴다. 이것이 심하면 뇌나 폐에 물이 고이는 뇌수종, 폐수종으로 발전하여 치명상을 입는다.

2002년 겨울, 쿰부 트레킹 중 4750m의 추쿵에서 잘 때 호흡곤란으로 고통을 경험했다. 숨이 막히는 고통이었다. 산소가 부족하면 보통 폐에서 호흡을 빨리하여 산소를 보충하게 되어 있다. 달리기를 하면 호흡이 가빠지는 것이 그 때문이다. 5천 미터 가까운 곳에서는 평지와는 달리 공기 중 산소가 많이 부족하기 때문에 평소보다 두 배는 빨리 호흡을 해야 한다. 그렇게 열심히 호흡을 한 후에 비로소 통증이 가라앉았다.  

그러나 모든 생물은 환경에 적응하게 되어 있다. 전문가들은 3천 미터 이상의 높이에서 우리 몸의 이상적인 1일 적응한계를 300m로 잡고 있다. 즉 하루 300m만 오른다면 별 문제가 없다고 한다. 이것은 단순한 예측이 아니라 수많은 현장 경험을 토대로 연구한 것이다.

결국 히말라야에 오른다는 것은 이런 높이에 따르는 몸의 현상을 어떻게 극복하느냐 하는 문제가 제일 큰 관건이다. 추위와 폭설 같은 날씨문제는 2차적인 문제다. 추위는 장비를 잘 준비하면 되고 날씨는 좋아질 때까지 기다리면 된다. 그러나 고도적응에 실패하면 무조건 내려가야 한다. 두통과 구토를 동반한 기력상실증이 오면 속된 말로 '히말라야고 나발이고' 아무 생각 없어진다. (붓다아이, <2004 랑탕 헬람부 트레킹> day 2)

마나슬루의 경우 3500 고지에 도착하기까지 최소 8일이 걸린다. 그만큼 천천히 오르기 때문에 고소적응이 잘 되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그렇지 않은 것 같다. 2000m 고도에서는 기압이나 산소량이 우리 몸이 감당하지 못할 정도는 아니어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고산병으로 발전하지 않는다. 운항 중인 비행기 기내 기압은 2000m 고도의 기압에 맞춘다.

고산병은 산소량이 해수면의 78%에 불과한 2500m부터 증세가 나타난다. 2500m 지점부터 '고산병미터기'가 작동한다. 제법 오래 2000m 지점에서 지냈으니 고산에 올라가도 고산병이 오지 않으리라는 생각은 오산이었다. 그래서 우리가 6일간 올라왔던 고도는 별 의미가 없고 이틀 전 2540m의 남룽을 지나면서부터 '미터기' 작동이 시작되었다. 그곳에서 이틀만에 3530m까지 올라왔으니 고도를 1000m 가까이 올렸다. 고소적응을 위한 조정이 필요하다. 그래서 사마가온은 '마나슬루의 마낭'이다.

고소적응일이라고 하루종일 빈둥거리는 것은 좋지 않다. 가까운 곳이라도 고도가 조금 더 높은 곳에 올라갔다 오는 것이 좋다. 고소적응을 위한 불변의 원칙은 "낮에는 높은 곳을 오르고 밤에는 낮은 곳에서 잔다."이다. 높은 곳과 낮은 곳을 번갈아 오르내리면 우리 몸이 고소에 더욱 잘 적응한다는 것이다.

오늘 일정은 마나슬루 빙하 아래의 비렌드라  빙하호수 방문으로 정했다. 사마가온에서 고소적응일에 방문할 수 있는 곳으로 세 곳이 있다.  풍겐곰빠와 마나슬루 베이스캠프 그리고 비렌드라 빙하호수이다. 풍겐곰빠는 왕복 6시간 이상 걸리는 조금 힘든 곳이다. 그곳에서 보는 마나슬루와 마나슬루 동면의 풍겐 빙하는 멋있다고 하지만 그런 풍경만 보러 가기엔 너무 멀다. 풍겐곰빠는 1953년 겨울 산사태로 무너진 후 다시 재건되었기 때문에 특별히 오래된 유물이 없다. 이곳에 온 스넬그로브도 그래서 방문하지 않았다.

마나슬루 베이스캠프 역시 다녀 온 사람의 여행기를 보니 6시간이 걸리는 만만치 않은 코스다. 체력보충을 위해 쉬는 날인데 그렇게 힘든 운행을 할 필요까지는 없다. 빙하호수는 마을 바로 위에 있어 짧은 시간에 방문할 수 있는 곳이다. 마나슬루의 주 빙하에서 흘러나온 물이 만든 호수다. 호수 위 서쪽 능선으로 오르면 마나슬루와 호수를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다.

아침에 보명화 보살님과 무진행 보살님이 롯지 뒤로 흐르는 맑은 개울에서 빨래를 했다. 트레킹 중 빨래다운 빨래를 한 유일한 곳이다. 휴식일이기에 가능했다. 이 마을 위로는 시간이 있어도 추워서 빨래가 잘 마르지 않는다. 내 빨래 몇 가지는 무진행 보살님이 같이 빨아주었다. 물은 예상대로 얼음물이라 고무장갑을 껴도 손이 시리다. 그러므로 히말라야에서는 고무장갑과 함께 내피용 장갑이 필요하다.

마을 주변에도 방목하는 야크들이 사방에 흩어져 있다. 물가 초지에도 많이 보인다. 정말 이 마을은 야크가 많다. 이상하게 염소나 양은 보이지 않고 있다. 야크가 이렇게 많으니 야크치즈 공장이 있지 않을까 해서 타시에게 물어보니 치즈공장은 없다고 한다. 가끔 나오는 야크치즈는 카트만두에서 미리 준비해 온 것이었다.

텐트 꼭대기에 빨래줄을 연결해 빨래를 널었다. 빨래줄은 여러모로 쓰임새가 많은 필수품이다. 기왕이면 넉넉하게 7-8m 길이가 좋다. 마트에서 파는 기성제품보다 등산용품점에서 파는 가는 등산용 줄이 더 가볍고 부피가 적다. 양쪽 끝에 작은 알미늄 캬라비너를 묶어두면 설치에 편리하다. 등산점에 가면 그렇게 만들어 준다.

오전 8시, 침낭도 펼쳐 담장에 널고 하이킹에 나섰다. 롯지 바로 앞에 있는 마니월을 지나 마을을 벗어나니 관목숲 지대가 나왔다. 키가 큰 나무는 드문드문 보일 뿐이다. 수목한계선에 가까이 왔다는 증거다. 그동안 언제 수목한계선까지 오르나 했는데 운행을 계속 하니 결국 도착했다. 수목한계선이란 날씨가 추워 그 위로는 더 이상 큰 나무가 자라지 않는 고도를 말한다. 그래서 영어로는 목재용 나무를 뜻하는 팀버(timber)라는 말을 써 팀버라인(timber line)이라고 한다. 몇 번의 트레킹에서 살펴보니 히말라야의 수목한계선은 3800m 정도이다.

그곳 관목 지대에서 장엄한 모습의 마나슬루가 파노라마로 보였다. 이곳이야말로 마나슬루 일출을 가장 보기 좋은 곳이다. 캠프에서 30분 정도 걸리는 곳이라 추운 아침에 움직이기가 쉽지는 않다. 캠프 근처에서 보는 모습도 나쁘지 않기 때문이다. 사진작가라면 당연히 이곳까지 왔을 것이다.

그러나 첫날은 그렇다치고 다음날도 그러지 못했다. 그럴 생각이 나지도 않았다. ABC는 롯지 바로 뒤가 안나푸르나 전망대여서 힘들지 않다. 랑탕에서 가장 멋진 일출을 볼 수 있는 로우레비나 야크도 롯지 위 길을 조금만 오르면 된다. 쿰부에서는 에베레스트 일출을 볼 수 있는 고쿄리나 칼라파타르에 오르기 위해 새벽 4시부터 5000m가 넘는 정상을 향해 2시간 올라가는 운행은 거의 할 수 없다고 보아야 한다. 그곳에서 일출을 보았다면 정말 대단한 사람이다. 고도가 높아 운행이 힘들 뿐더러 무지무지하게 춥기 때문이다.

그렇게 본다면 마나슬루 파노라마 일출은 조금만 수고하면 된다. 고도도 높지 않고 길도 거의 평지길이다. 그러나 10여일 간 운행으로 지치기 시작한 상태라 그럴 생각이 나지 않았다. 고산이라 판단력이 떨어진 것 같다. 체력이 떨어지고 뇌에 산소공급이 부족한 고산지대에서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다. 그래서 항상 트레킹을 마치고 정상으로 돌아오면 아쉬움이 남곤 한다. 이런 여행기를 쓰는 이유도 다음에 방문할 사람에게 그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다. 코스에 대한 정보가 없는 곳은 현지에서 스스로 판단해야 하므로 항상 바쁘다.

CIMG0877.jpg곧 부리 간다키 강바닥으로 들어서 작은 통나무 다리를 건넜다. 우리 앞에는 어제 고소정을을 마친 서양팀이 삼도를 향해 가고 있다. 강바닥 돌이 특이하게 둥근 모양이 많고 모두 하얗다. 오래 전 빙하기 때는 이곳이 모두 얼음으로 뒤덮여 있었을 것이다. 주변의 바위들은 모두 빙하에 의해 운반된 빙퇴석이다. 빙퇴석을 영어로는 모레인(moraine)이라고 한다. 히말라야의 고산은 모두 이런 모레인 지대이다.

조금 가다가 빙하 호수가 있는 남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마나슬루가 바로 앞에 떡 버티고 있다. 그곳에서 마나슬루를 배경으로 기념사진을 찍었다. 독사진과 단체사진을 찍고었다. 타시에게 부탁한 사진은 역시 구도가 시원치 않다. 삼툭이나 타시나 못 찍기는 마찬가지다. 평소 카메라를 다룰 일이 없는 사람에게 좋은 구도를 요구하는 것은 아무래도 무리라 이제는 증명사진으로 만족하고 있다.

관목숲을 헤치고 능선을 향해 오른다. 길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어서 대충 능선을 목표로 가시덤불을 헤치고 나갔다. 그런데 내려올 때 능선을 타고 내려오니 길이 있어 힘이 덜 들었다. 처음부터 오르막이 시작되는 능선 초입으로부터 올랐으면 관목을 헤치는 고군분투가 필요 없었다. 타시도 마나슬루가 이번이 두 번째라 미처 그 길을 모르고 있었다.

그렇게 가려면 마을에서 나와 강바닥 길을 오르다가 중간에 만들어 둔 출입문을 통과하자마자 출입문과 연결되어 있는 왼편 돌담을 따라 빙하가 내려오는 계류를 거슬러 올라가면 된다. 우리는 조금 빙 돈 셈이다. 강바닥에 횡으로 긴 돌담을 쌓아 막아 둔 것은 야크들이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능선에 올라 바라보는 마나슬루와 빙하호수가 절경이다. 빙하에서 녹은 물이 작은 폭포가 되어 바위 절벽을 타고 내려온다. 가끔 빙하가 부숴져 떨어지는 소리도 들려왔다. 위에서 보면 작게 보여도 호수는 길이 950m, 너비 250m인 직사각형 모양으로 작은 호수는 아니다. 돌담이 호수 입구까지 연결되어 있다. 위성사진에서 확인해 보니 돌담의 길이가 약 1km다. 엄청난 공력이 들었을 것이다. 그러나 무스탕에 흔히 있는 2-3km 짜리 돌담에 비하면 명함을 내밀지 못한다.

히말라야의 모든 빙하 옆 능선이 그렇듯 이곳도 무른 흙이 아슬아슬하다. ABC나 MBC 절벽 만큼 높지 않지만 자칫 흙이 허물어지면 한참 미끄러질 판이다. 칼스텐은 이곳에서 미끌어졌을 때 "얼음물 목욕을 하지 않기 위한 성공적인 노력의 결과 " 손에 가벼운 찰과상만 입었다고 한다.

바람부는 따가운 햇살 아래에서 마나슬루와 빙하와 진한 에메랄드빛 호수를 감상했다. 북쪽으로는 날카로운 능선을 지닌 쿠탕 히말의 연봉이 달리고 있다. 30분 정도 쉬면서간식도 먹고 햇볕을 쬐기도 하며 놀다가 9시 30분에 하산을 시작했다. 내리막길에서 보니 건너편 길가에 노란 텐트가 여러 동 있다.

캠프사이트가 모두 차는 바람에 저 팀은 어제 마을 바깥까지 밀려났다. 조금 불편하기는 해도 덕분에 멋진 일출을 감상했을 것이다. 그렇다고 일출 한 번 편하게 보려고 일부러 캠프를 버리고 야외로 나가자고 할 수는 없다. 스태프들에게는 잠자리와 주방시설이 갖추어진 캠프사이트가 훨씬 편리하다. 트레커들이 산책 삼아 아침에 30분 걸어 일출을 감상하는 것이 여러 사람을 도와주는 일이다.

천천히 걸어 캠프로 돌아오니 11시가 되었다. 이쪽 길에도 야크들이 많이 방목되어 있다. 돌담은 이녀석들의 '북진탈출'을 막는 수용소 담장이다. 빙하호수 왕복에 3시간 걸렸으니 가벼운 하이킹이다. 오는 도중 내친 김에 사마곰빠까지 방문하고 싶었으나 점심시간이 되어 오후 일정으로 돌렸다. 타시에게 오후에 곰빠 참배가 가능한지 알아보라고 했다. 잠시 후 돌아 온 타시에 의하면 법당은 하루 두 번, 오전 7시와 오후 6시 예공 때만 개방한다고 한다. 2005년 이곳을 방문한 안드레스의 말과 다르다.

우리는 사마가온에 11시 30분에 도착했다. 이곳에서 삼도(Samdo)까지는 3시간 30분이면 갈 수 있지만 이미 오늘 로에서 고도를 350m 올렸다. 삼도까지 가면 다시 250m를 더 오른다. 라르키야 라를 오르려면 고소적응을 잘 해야 한다. 고산에서 하루에 500m 이상 오르는 것은 아주 위험하다. 그리고 어쨌든 사마가온은 멋진 마을이어서 그냥 통과하는 것은 현명하지 못하다. 그래서 우리는 오후 전체를 쉬면서 전망 좋은 마을 주변을 돌아다녔다.

대부분의 마나슬루 원정대는 사마가온에서 출발한다. 그러므로 사마가온에는 세 개의 롯지와 두 개의 캠프사이트가 있다. 원정대가 몇 주 후 돌아오면 보통 사마의 모든 맥주는 동이난다. 독일 등반가 디터 포르쉐(dieter Porsche)가 나에게 한 이야기가 있다. 그들은 등정에 성공하고 사마로 돌아와 그들이 묵고 있는 롯지는 물론 다른 롯지의 맥주까지 다 마셔 버렸다. 사마의 맥주가 떨어지자 로에서 사가지고 왔다. 그 결과 윗 계곡의 모든 맥주는 사라졌다. 타격을 받은 사람은 다음날 내려 온 다른 원정대 사람들이었다. 남은 것은 물과 콜라뿐이었으니...

사마가온 옆 작은 언덕에는 오래된 곰빠가 있다. 우리가 그곳에 갔을 때 마지막 햇빛이 비치고 있었다. 문이 닫혀 있고 아무도 보이지 않았다. 나는 가능하면 크게 소리쳤다. "오 라마, 오 라마, 어디 있나요." 그러자 5분 후 젊은 라마가 나타났다. 우리는 정말 운이 좋았다. 그는 100m 떨어진 곳에서 잠을 자다가 우리의 소릴 들은 것이다. 그는 즐거이 아름다운 곰빠를 보여주었다.(안드레스, <2005 마나슬루 트레킹> day 9)

점심을 먹고 쉬다가 오후 1시 30분 사마곰빠로 올라갔다. 마을 북쪽 작은 언덕에서 마을을 굽어보고 있는 사마곰빠는 누프리 계곡에서 제일 역사가 깊은 곰빠다. 주지스님(head lama)은 마을에 살고 있고 주법당 주변에 있는 30여 채의 토굴에 비구, 비구니 스님들이 정진하는 독특한 형태의 토굴촌이다.

CIMG0880.jpg비록 법당은 들어갈 수 없지만 안드레스의 여행기에서 내부 사진을 다 보았으므로 불만은 없다. 사진을 보니 지금까지 보았던 다른 지역의 곰빠와 별 차이가 없다. 독특한 점이라면 주불을 무스탕의 로게까르 곰빠처럼 빠드마삼바바를 모시고 있는 점이다. 가장 독특한 점은 법당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스님네들의 토굴이다. 토굴답게 아주 소박한 모습이다.

집 앞에서 곡식을 털며 겨울 준비를 하는 비구니 스님 등 몇몇 스님들이 보였지만 많은 집은 주인이 출타 중인지 나뭇가지로 대문을 걸어 두었다. 칼스텐의 여행기에는 스님의 초청을 받아 방 안으로 들어가 보았다고 해서 나도 혹시 누가 불러줄까 싶어 어슬렁거렸으니 그나마 보이는 스님들도 일에 열중할 뿐 별 반응이 없다. 아쉬움을 뒤로 하고 캠프로 내려오는 길에 마을에서 올라오는 한 노비구니 스님과 "타시델레" 인사를 나누었다. 그렇게 섭섭하게, 그러나 아주 섭섭하지는 않게 사마가온 곰빠 참배를 마쳤다.

참으로 이상한 일이지만 불교가 낮설지 않은 한국인 트레커들의 기록에는 사마곰빠를 방문했다는 글이 하나도 없다. 그러나 서양인 트래커들의 기록을 보면 예외없이 곰빠를 방문하고 있다. 한국인들은 히말라야 트레킹을 단순한 자연을 즐기는 것에 만족하는 반면 서양인들은 자연은 물론 그 지방의 문화를 아우르는 경험을 추구한다. 서양인들의 그런 적극적이고 여유 있는 사고방식이 오늘날 그들의 문화와 학문을 더욱 다양하고 풍부하고 심도있게 발전시킨 원동력이다.

무스탕에 대한 연구의 지존이 미셸 페셀이라면 마나슬루 지역에 대한 정보는 스넬그로브가 꽉 잡고 있다. 그의 책은 전체를 개관하는 도입부분에 32쪽, 돌포 지역에 130쪽, 깔리 간다키와 무스탕 지역에 40쪽, 마낭과 나르 푸 가온 지역에 37쪽, 그리고 마나슬루 지역에  24쪽, 카트만두 귀로에 10쪽을 할애하고 있다. 그의 책에서 마나슬루 지역에 대한 비중은 그리 크지 않지만 그의 기술은 이 지역에 대한 최초이자 가장 전문적인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지금도 무스탕에 대한 정보가 여전히 페셀의 책에 근거를 두고 있듯 마나슬루 지역에 대한 정보는 스넬그로브의 책 <히말라야 순례>에 근거를 두고 있다.

snellgrove_route_00.jpg1956년 9월 9일 늦은 오후, 스넬그로브는 비를 맞으며 사마가온에 도착한다. 3월 1일 카트만두를 출발했으니 벌써 여행기간이  6개월이 넘었다. 그는 빔탕에서 라르키아 라를 넘어 내려오는 중이다. 이제 그가 쓴 사마가온 대목을 번역하려고 한다. 어차피 이번 기회가 아니면 스넬그로브의 글을 번역할 일도 없을 뿐 아니라, "~라 카더라" 식의 간접화법 보다 글쓴이의 말을 직접 들어보는 것이 가장 명료하다.

우리는 늦은 오후 사마가온a)에 도착하여 사원으로 올라갔다. 우리의 텐트가 아닌 다른 어떤 대피소를 찾기 위해서다. 사원은 주 법당과 그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30채의 단층 집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대부분 비구니 스님들의 처소다. 모두들 집에 거주하고 있으며 그 중 한 스님이 우리를 초대하여 자기 집에서 그날 밤을 보낼 수 있도록 했다. 그 스님은 이 집은 마을에 살고 있는 라마의 확실한 소유라는 말을 덧붙였다. 그러면서 혹시 라마가 화를 낼 지도 모르니 하룻밤 이상 머물지 말기를 간청했다.

그래서 우리는 임시 거처를 얻어 물에 흠뻑 젖은 상자들을 풀고 내용물을 텅 빈 방 가운데에 펼쳐놓았다. 방은 어두웠으나 편안했다. 천장의 덮개가 달린 연통은 아주 커서 방에 연기가 차지 않았다. 우리는 불가에 둘러앉아 차를 마시고 우리의 마지막 가리발디(Garibaldi, *건포도를 넣고 살짝 구운 비스킷) 비스킷을 먹으며 인생은 어쨌든 즐거운 것임을 느꼈다. 더구나 빠상은 바북(Babuk, *라르키아 바자르)에서 반 마리 분의 양고기를 사왔으므로 우리는 카레로 양념한 신선한 고기와 무로 벌일 축제를 기대할 수 있었다.

다음날도 여전히 비가 왔다. 그래서 우리는 좀 더 크고 밝은 사원 주방으로 옮기고 사원 전체에 대한 조사를 했다. 건물들은 돌로 지었다. 곰빠는 마낭 동쪽의 모든 다른 곰빠와 마찬가지로 하얀색을 칠했다. 다른 건물은 자연 돌색 그대로 회색이다. 특별히 주목할 점은 두껍게 묶은 관목덤풀이다. 그것들은 곰빠 담장 위 뿐만 아니라 출입문과 창문 위 차양에도 놓아두었다.

곰빠 내부에서 우리는 테라코타로 크게 조성한 '연꽃에서 태어난 자'(빠드마삼바바)가 중앙에 있는 것을 보았다. 그리고 큰 청동상이 왼편에 있다. 이 청동상은 최근 네팔 밸리의 파탄에서 온 장인이 조성한 것이다. 그곳에는 또 작은 조형상도 셋 있는데 그것은  '연꽃에서 태어난 자', 11면(eleven-headed)  '관세음보살', 그리고 수퇘지 머리를 한 여신 바즈라바라히(Vajravarahi)다.

왼편 벽에는 16나한과 '연꽃에서 태어난 자'의 8현신, '죽음의 왕' 그리고 다른 사나운 모습의 신장들이 그려져 있다. 오른편 벽에는 여러 불보살들의 상이 그려져 있다. 이 사원은 닝마파로 프레스코 벽화는 나무판에 그려져 벽에 부착되어 있다. 나무를 쉽게 구할 수 있는 이 지역 모든 곰빠의 특징이다. 근처의 작은 곰빠에는 경전이 있다.

오후에 마을에서 라마가 올라왔다. 우리는 그가 전에 무스탕의 로게까르 곰빠에서 잠깐 몇 마디 말을 나누었던 그 순례 라마임을 단번에 알아차렸다. 이전의 그 인연으로 현지에서 우리는 힘을 얻었다. 그것은 우리가 처음 생각했던 것보다 더 큰 도움이 되었다. 스님들과 마을 사람들은 라마를 따라 방으로 들어온 후 곧 우리에게 전에 이곳을 방문했던 다른 '갸미'(gya-mi, * 사악한 종족)와 세르파들의 나쁜 행위를 말하기 시작했다. 이 경우 '갸미'는 1953년부터 1956년까지 네 번에 걸쳐 마나슬루에 원정을 온 일본 등반대들이다.

마을 주민들은 전염병이 돌아 가축과 양들이 알 수 없는 질병으로 죽은 직접적인 책임이 그들에게 있다고 믿고 있다. 무엇보다 가장 심한 피해는 18명이 죽은 풍겐 사원의 파괴다. 풍겐(dpung-brgyan=팔찌)은 마나슬루의 현지 이름이며 그곳에 거주하는 신의 이름이기도 하다. 그 신은 첫 '갸미' 등산가들이 돌아간 그 해 겨울, 무례한 그의 성소 침입의 대가로 아직도 기억에 생생한 알 수 없는 규모의 무시무시한 산사태로 그의 분노를 보인 것이 확실하다고  마을 사람들은 주장했다.

사원은 사실상 완전히 파괴되었다. 그리고 비구니들이 대부분이었던 그곳에서 살던 스님들은 목숨을 잃었다. 우리는 조금 주저하며 그들에게 만일 그것이 진짜 이유라면 신은 일본등반대에게 그의 분노를 표현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렇지 않아 보였다. 사마와 로의 주민들은 곰빠의 관리자로서 모르는 외국인들의 접근을 금지시키는 것이 그들의 의무였다.

이것은 그들이 다음 해 일본인들이 다시 왔을 때 적의를 표출하며 근처 어느 산도 등반을 허락하지 않은 사실을 설명하고 있다. 그들의 이러한 완강한 태도 때문에 일본 등반대는 1956년에야 마나슬루에 올랐다. 그들의 성공은 이런 쓴 맛을 대가로 치룬 후에 얻을 수 있었다. 우리는 그들이 다른 곳을 등반하는 것이 더 현명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주민들은 일본이 잃어 버린 사원 재건에 가장 많은 기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진정되지 않고 있었다.

우리는 일본은 불교국가이며 그곳에서 번창하는 교리는 티베트와 다르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나 주민들은 믿지 않았다. 그들은 티베트어를 할 수 없는 사람은 아무도 불교도가 될 수 없다고 생각했다.b) 티베트어를 모르는 사람이 어떻게 신성한 경전을 읽을 수 있단 말인가?(그들은 티베트어 불경 외에 다른 경전은 알지 못한다).  

우리는 그들과 논쟁하는 것이 피곤하므로 그들의 생각을 받아들이는 척 했다. 그리고 그들은 우리가 그 축복 속에 함께 하기를 확실히 원했다. 그 회의에서 조용히 있던 라마는 나중에 우리에게 왜 외국인들은 산에 오르기 위해 오는가 물었다. "그들은 정말로 어떤 사람들이 추측하고 있듯이 정상에 있다는 보물을 발견하기 위해서인가? 아니면 단지 카트만두에 있는 정부로부터 공인을 받고 싶어하는가?"

우리는 등반은 우리가 할 수 있는 것 중 가장 좋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리고 라마에게 그의 개인 법당을  볼 수 있느냐고 물었다. 그는 즉시 우리를 안내했다. 그 방은 25평방피트 정도의 낮은 방으로 완벽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다시 장식되어 있었다. 조각이 아름다운 서가가 맞은편 벽에 진열되어 있고 그곳에는 닝마파의 중요한 특별 경전인 63권의 고귀한 보전(Precious Treasury)이 들어 있었다.c) 

왼편 벽의 나무판에는  사나운 신인 카갸(Ka-gyä)와 그의 여섯 호위자들이 그려져 있다. 그 오른쪽에는 닝마파의 주요 네 가지 의례를 대표하는 신들과 라마들의 네 가지 다른 순환을 보여주고 있다. 모든 경우에서 '연꽃에서 태어난 자'는 중앙신이다. 그림들은 모든 현대 티베트 그림과 마찬가지로 밝은 색이며 확실히 잘 그려졌다. 화가와 조각가는 로의 사람이다. 그의 이런 멋진 작품을 본 후 우리는 새로 재건된 풍겐 사원 방문을 하지 않기로 했다. 완전히 파괴된 후라 그곳에는 역사적이고 흥미로운 것이 없기 때문이다. 사마곰빠조차 과거에 대한 기록이 없다. 라마는 오래 전 화재로 모든 것이 사라졌다고 설명했다.(David L. Snellgrove, <Himalaya Pilgrimage>, pp. 244-247)

그곳을 다녀 온 지금 이 글을 읽으니 50여 년이 지났지만 그들의 모습을 바로 옆에서 지켜보는 듯한 생생한 느낌이 든다.


<각주>

a) 사마가온의 현지 티베트 이름은 Rö이다. (back)

b) 1952-3년 한 학자 그룹이 이들 등반대를 따라 왔다. 그들은 조사결과를 세 권의 책으로 냈다. <네팔 히말라야의 동식물(Fauna and Flora of the Nepal Himala)>(1955), <네팔 히말라야의 땅과 작물들(Land anf Crops of the Nepal Himalaya)>(1956) 그리고 <네팔 히말라야의 사람들(peoples of the Nepal Himalaya)>(1957), ed. H. Kihara, Japan society for the Promotion of Science, Tokyo. (back)

c) 이것의 유럽본은 로마에 있는 투치 교수 서재(Professor Tucci's library)와 런던의 동양학부(the School of Oriental Studies)에 있다. 

manaslu_0508_AdR59__P_1100.jpg

manaslu_0508_AdR56__P_1100.jpg

manaslu_0508_AdR58__P_1100.jpg

manaslu_0508_AdR57__P_1100.jpg

2005년 안드레스가 찍은 사마곰빠 내부 사진

trek 10. 사마가온(고소적응일-빙하호수 방문)   (top으로)

 Manaslu_trekmap_09_10.jpg

manaslu_map_T.jpg

nupri_map.jpg

Manaslu_map_1014_google.jpg

Manaslu_0678-sunrise.jpg

Manaslu_0679-sunrise.jpg

Manaslu_0684-sunrise.jpg

마나슬루 일출

Manaslu_0694.jpg

Manaslu_0696.jpg

Manaslu_0697.jpg

마나슬루 빙하

개울 찬물에 빨래를 하다

텐트 사이에 빨래를 널다

Manaslu_0700.jpg

Manaslu_0707.jpg

Manaslu_0718.jpg

마을을 벗어나면 관목숲이 나온다. 가는 도중 혜명화 보살이 티베트 가족을 만나 사진을 찍고 액정화면을 보여주자 아주 신기해 한다.

Manaslu_0708-pano.jpg

Manaslu_0706-pano.jpg

Manaslu_0711-pano.jpg

들판에서 본 마나슬루 파노라마. 이곳에 나와 일출을 보면 정말 멋있을 것 같다.

Manaslu_0714.jpg

Manaslu_0713.jpg

Manaslu_0740.jpg

서양인 팀과 같이 강바닥을 걷다. 그들은 어제 고소적응을 마치고 삼도로 가는 중이다. 우리는 다시 왼편으로 방향을 틀어 빙하호수 능선으로 향했다.

manaslu_0722.jpg

manaslu_0728.jpg

manaslu_0734.jpg

manaslu_0730.jpg

manaslu_0732.jpg

manaslu_0725.jpg

manaslu_0724.jpg

manaslu_0735.jpg

manaslu_0737.jpg

능선을 향하던 중 마나슬루를 배경으로 처음으로 '마나슬루 트레킹 증명사진'을 찍었다. 뒤쪽 관목숲 능선으로 올라가야 빙하호수가 보인다.

Manaslu_0742-gracier.jpg

Manaslu_0741-gracier.jpg

Manaslu_0743-gracier.jpg

Manaslu_0750-gracier.jpg

Manaslu_0747.jpg

Manaslu_0748.jpg

비렌드라 빙하 호수 능선에서 본 마나슬루와 빙하 풍경

Manaslu_0752.jpg

호수 능선에서 본 북쪽 풍경. 오른쪽은 설산 티베트와 국경을 이루고 있는 쿠탕 히말 연봉이다. 삼도에서는 왼쪽 산에 가려 마나슬루가 보이지 않는다.

Manaslu_0759.jpg

능선에서 내려오면서 보니 야외 캠프가 보였다. 저곳에 캠프를 치면 아침에 멀리 나갈 것 없이 최상이 마나슬루 일출을 볼 수 있을 것이다.

Manaslu_0760.jpg

내려 오는 길에 만난 방목 하는 야크들. 어느 동물이건 하얀색은 길조로 알려져 있는데 우연히 하얀 야크를 두 마리나 만났다.

Manaslu_0772.jpg

Manaslu_0769.jpg

Manaslu_0763.jpg

Manaslu_0773.jpg

Manaslu_0764.jpg

Manaslu_0775.jpg

사마가온 곰빠. 주 법당을 중심으로 30여 채의 토굴이 둘러싸고 있다. 이를테면 토굴촌이다. 이곳에 거주하는 비구, 비구니 스님들은 자급자족한다. 한 비구니 스님과 신도가 곡식을 털고 있다. 오른족 하단 사진은 곰빠에서 본 사마가온 마을 모습. 초르텐이 많이 보이는 큰 마을이다.

trek 9. 리히 - 시얄라 - 사마가온

트레킹

출발지

캠핑사이트

고도

소요시간

trek 1

카트만두 - (전세 차량) -  아루갓 바자르

520m

10:20

trek 2

아루갓 바자르

소티 콜라

620m

5:45

trek 3

소티 콜라

마차 콜라

930m

8:10

trek 4

마차 콜라

도반

990m

5

trek 5

도반           

필림

1,550m

7:30

trek 6

필림           

1,895m

4:30

trek 7

뎅               

2,140m

6

trek 8

리히

2,905m

5:45

trek 9

리히

사마가온

3,530m

7

trek 10

사마가온 (휴식일.  빙하호수 방문)

3,680m

5

trek 11

사마가온

삼도

3,850m

3

trek 12

삼도 (고소적응일.  티베트 국경 방문)

4,040m

7

trek 13

삼도

다람살라

4,450m

3:35

trek 14

다람살라 - 라르키아 라(5213m) - 빔탕

3,720m

11

trek 15

빔탕

띨제

2,335m

8:20

trek 16

띨제

자갓

1,314m

9

trek 17

자갓

나디

930m

7

trek 18

나디 - 불불레 - (전세 차량) - 카트만두

1,400m

11

 


 

영혼의 산 마나슬루를 만나다

2007. 10. 21(일)


 

트레킹 둘째날 아침, 아직 텐트 안에 있는데 밖에서 "띨 레리~" 하는 소리가 들렸다. 띨 레리? 처음엔 무슨 말인지 몰랐다. 텐트밖에서 부르는 소리에 플라이를 여니 빠상이 홍차를 따르고 있다. 그러니까 ' 띨 레리'는 '티 레디(tea ready)'를 빠르게 한 말이었다. 이 소리는 그 후 매일 하루에 세 번 차 마시는 시간에 들려왔다. 남형 씨는 나중에 이 소리가 들을 때마다 "꼴 레리~"라는 말이 생각났다고 회고했다.

짐을 챙기고 텐트 안에서 차 마시고 세수하고 나와 아침을 먹는 일상은 여전하다. 이제는 이력이 나서 모두들 짐을 잘 챙긴다. 매일 아침이면 떠나는 유목민 생활이다. 그러나 몸만 빠져나오면 나머지 일은 알아서 다 처리해주는 우아한 유목민이다. 이런 편리함은 예전 식민지 시대 때 서양인들이 식민지 나라 하인들을 데리고 뻐기며 다니던 제도에서 유래했다. 지금은 보수를 주는 고용인과 피고용인의 관계로 변했지만 여전히 상하관계가 적용되고 있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7시 10분 출발. 동쪽 계곡이 열려 있어 해가 일찍부터 비춘다. 날이 맑아 하늘이 푸르고 깨끗하다. 길을 나서니 이곳 리히와 나디출리 사이에 있는 심낭히말(Simnang Himal, 6251m)이 잠시 보이다가 곧 무성한 소나무 숲에 가려졌다. 따뜻한 햇볕을 받으며 잡목이 없는 큰 소나무 숲 길을 걸으니 콧노래가 절로 나온다.

비히는 좀솜 위의 마을 까그베니(2800m)와 고도가 비슷하지만 풍경은 극단적으로 다르다. 까그베니에서 위쪽은 황량하고 건조하고 환상적인 침식과 풍화작용의 절벽 풍광이 펼쳐진다. 그러나 까그베니 보다 더 높은 이곳 비히에서 시얄라에 이르는 계곡은 몬순의 영향을 받아 울창한 삼림이 형성되어 있다. 비가 내리고 안내리고의 차이로 이같은 극명한 대조를 보이고 있다.

천천히 내리막을 내려가 지류 계곡인 히난콜라(Hinan Khola)를 건넜다. 히난콜라는 우리가 지금 걷고 있는 지점에서 남서쪽에 있는 나디출리(Ngadi Chuli)와 히말출리(Hinmal Chuli) 사이의 능선에서 만들어진 리단다(Lidanda) 빙하에서 나온 물이 흐르고 있다. 콜라를 건너기 위해선 산기슭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6시에서 9시를 거쳐(여기에 다리가 있다) 12시 방향으로 타원을 반바퀴 도는 모양새다.

계곡을 건너 계속 우회전하며 다시 오르막을 올랐다. 앞쪽(북쪽)으로 보이는 쿠탕 히말이 우람하다. 출발한지 30분 후 계곡이 훤히 내려다 보이는 고개마루에 우뚝 서 있는 초르텐 카니에 도착했다. 우리가 건너 온 계곡 뒤쪽으로 히말출리의 능선이 조금 보였다. 즐거운 산길이지만 당연히 오르막이 있어 힘을 좀 쓰야할 때도 있다. 초르텐과 긴 마니월을 지나고 건너편 계곡에 있는 마을도 보며 운행을 계속했다.  

manaslu 0607 HH  11  P 0325쇼(Sho, 2930m)마을 입구의 카니에는 리히에서 정확하게 1시간 걸린 8시 10분에 도착했다. 카니 옆 바위벽에는 파란 글씨로 "WELCOME TO MANASLU"라는 글이 쓰여 있어 마나슬루가 곧 나타나리라는 것을 예고하고 있다.

마을에 들어서니 계곡이 시원하게 넓어졌다. 그리고 계곡 끝에 하얀 설산이 보였다. 마나슬루는 아니고 그 북서쪽에 있는 나이케 피크(Naike Peak, 6416m)다. 마나슬루 위쪽의 산군은 북서쪽으로 줄지어 마나슬루 북봉(Manaslu North, 7157m), 나이케 피크, 라르키아 피크(Larkya Peak, 6249m)로 이어지고 라르키아 라에서 잠시 숨을 고른 후 티베트와 국경을 이루고 있는 라트나 출리(Ratna Chuli, 6767m)로 연결된다.

길을 가운데 두고 집들이 경작지 근처 여기저기에 그룹을 이루고 있다. 돌집에 너와지붕이다. 잘 마른 누런 보리가 수확을 기다리고 있는데 어떤 밭에는 외로이 혼자 보리를 따는 사람도 보인다. 이곳 사람들은 보리를 밑둥까지 베지 않고 꼭다리만 따 대나무 바구니에 담는다.

쇼는 마을이 둘이다. 첫 번째 마을을 지나 잠시 나오는 산길에서 뜻밖의 풍경을 만났다. 따뜻한 햇볕을 쬐고 있던  한 노숙자가 우리가 지나가자 접시를 두드리며 노래한다. 앞에는 음식을 끓여먹는 시커먼 그릇이 타다 남은 나뭇가지 위에 있다. 언뜻 그 모습을 보고 무애가를 부르면서 유랑했다는 원효스님이 떠올랐다. 그냥 호기심만 가지고 지나쳤는데 지금 생각하면 너무 무심했다. 보시를 조금 했어야 했다. 그런 자비심은 어떤 상황에서도 저절로 우러나와야 한다. 나는 아직 많이 부족함을 느낀다.

마나슬루 지역의 7000m 이상의 산들(*보우다는 6672m)

두 번째 마을에 들어서니 설산이 더욱 가까이 다가왔다. 이곳도 마을 집들이 넓게 흩어져 있다. 그리고 마을을 벗어나는 곳에서 드디어 마나슬루가 나타났다. 트레킹 9일만에 마나슬루를 만나니 감개가 무량하다. 설산 아래 보이는 조그만 동산 위에 로(Lho, 3100m)의 곰빠가 보였다.

9시 10분, 로 마을 롯지 앞 테이블에서 쉬었다. 바람이 세게 분다. 로는 상당히 큰 마을이다. 마나슬루 북쪽에 위치한 마을 중 큰 마을로는 이곳 로와 오늘의 목적지 사마가온, 그리고 마지막 마을인 삼도가 있다. 물을 마시고 보명화 보살님이 늘 공급해 주고 있는 간식을 먹고 있으니 아이들이 우루루 몰려와 구경한다. 아이들의 장래를 생각해서 모른체 했지만 우리만 먹고 있자니 조금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계곡 위로는 마나슬루와 그 북쪽 연봉이 보이고 계곡 아래쪽으로는 가네시 히말의 끝바락이 보인다. 티베트와 북쪽 국경을 이루고 있는 왼편의 쿠탕히말이 우람하다.

20분 쉬고 다시 출발하는데 타시가 한 마을 남자를 안내해 왔다. 약을 좀 달라고 한다. 자기 아내가 입 안이 헐고 부었는데 10일 동안 일어나지 못하고 누워있다고 한다. 내가 무슨 의사도 아니고 환자의 상태도 직접 보지 못한 상태에서 함부러 약을 처방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그러나 사정이 딱하니 고개를 저을 수는 없는 일이다. 할 수 있는 유일한 처방은 항생제다. 헐어 부었다는 것은 염증이 있다는 말이고 염증에는 항생제가 특효약이다. 아니더라도 최소한 부작용은 없을 것이다.

이틀 전부터 타시가 운반하고 있는 구급배낭을 열어 항생제 7일분(21캡슐)을 주었다. 식후 한 알씩 하루에 세 번 복용하라고 약병에 쓰인 용법을 일러주었는데 음식이 부실하고 항생제 내성이 거의 없는 이곳 사람들에게는 아무래도 좀 과도한 투약일 것 같다. 하루에 두 알 정도만 복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청전스님의 책 <달라이라마와 함께 한 20년>에도 그런 내용이 있다.

길을 나서자 마나슬루가 점점 크게 다가왔다. 마나슬루를 배경으로 초르텐과 마니월 옆을 지나가는 트레커들의 모습이 멋진 히말라야 고산트레킹의 진면목을 보여주고 있다. 이곳에서부터 사마가온까지 보이는 마나슬루는 북서면이고 우리가 볼 수 있는 유일한 마나슬루의 모습이기도 하다. 나중에 다람살라 가는 도중 북면과 빔탕에서 남서면이 조금 보이지만 우리가 늘 보아 온 마나슬루라고 하기엔 조금 이상한 모습이다.

두 개의 뿔이 솟아 있는 독특한 모양의 마나슬루는 산스크리트어 마나사(Manasa)에서 유래했으며 뜻은 영혼(soul)이란 뜻이다. 그래서 마나슬루는 '영혼의 산'이다.  예전에는 쿠탕(Kutang) 1로 알려졌으며 인도측량국 조사에서는 단순하게 피크 30(Peak xxx)으로 표기했다. 1956년 이곳을 방문한 스넬그로브에 의하면 마나슬루의 현지 이름은 풍겐(Pung-gyen)이며 풍겐은 마나슬루에 거주하는 신의 이름이기도 하다고 한다.

마을을 벗어나 산길을 걸었다. 전봇대와 전깃줄이 길을 따라 이어져 있다. 이곳에는 수력발전소 있다는 말을 들었다. 길은 또 하나의 지류계곡을 건너기 위해 계속 내려가고 있다. 리히 이후부터는 더 이상 오른쪽 계곡으로 넘어가는 일은 없다. 내리막은 다시 오르막을 올라야 되다는 뜻이라 반갑지 않지만 히말라야의 길은 높은 고개를 넘을 때 외엔 선택의 여지없이 항상 그렇다.

10시 경 작은 작은 나무다리가 있는 다모난콜라(Damonan Khola)에 도착했다. 이 작은 지류는 풍겐 빙하에서 발원한 물이다. 다리를 건너면서부터 다모난 콜라를 따라 계속 오르막이 이어졌다. 길가에 한 가족들이 쉬고 있다. 송아지와 말도 있는데 아이들과 10여 명이나 된다. 타시는 앞장 서고 나는 사진을 찍느라 제일 뒤에 처져 있으니 무슨 일로 가족 전체가 내려가는지 물어볼 길이 없다. 그냥 "타시델레!" 인사만 교환했다.

시얄라까지는 계속 오르막이다. 어떤 곳은 지그재그로 나 있다. 사람들이 지치기 시작한다. 다시 무성한 숲을 지나는데 계곡 물가에 있는 수력발전소 돌집이 보인다. 이곳에서 만들어진 전기는 주변의 여러 마을(쇼, 로, 시얄라,사마가온)로 공급된다. 마나슬루 지역에서 제일 규모가 큰 수력발전소다. 삼툭이 남걀 마을에 설치하고 싶어하는 수력발전소다.  이전에 삼툭과 트레킹을 같이 할 때마다 삼툭은 수력발전소를 보면 관심을 가자고 살펴보곤 했던 기억이 있다. 그로서는 고향을 위해 하고 싶은 평생의 숙원사업일 것이다.

네팔에서 일이란 우리 생각과는 많이 다르다. 정국도 불안정하여 약속한 정부보조금은 백년하청이다. 우기는 없지만 겨울철 혹한기가 있어 건설 시기도 제한된다. 건자재 수송도 중요한 것은 헬기로 운반해야 하니 비용이 많이 든다. 기왕에 짓는 수력발전소니 주변 다른 마을도 같이 쓰자는 요청이 들어와 발전 용량을 늘여야 한다. 이런저런 이유로 비용은 기하급수로 늘어나 작년 한국에서 모금만 돈으로는 어림도 없다. 그런 큰 프로젝트를 혼자 동분서주 하기엔 무리가 있다. 하지만 삼툭 외에 대외적인 활동을 하는 사람이 남걀에는 전무하니 그의 어깨가 무거울 것이다. 어쨌든 일이 잘 되어 하루빨리 남걀과 그 주변 마을에 전기가 들어오길 바라는 마음이다.

시얄라를 목재소로 묘사한 이전 방문자들의 여행기처럼 주변 나무가 많이 잘려 있다. 그렇게 정신없이 오르다가 쉬다가를 반복했다. 마지막 피치를 올리는 길에서 숲 위로 설산이 보였다. 히말출리 아니면 나디출리일 것이다. 11시 30분 시얄라(Syala, 3500m)에 도착했다. 지그재그 길을 오르면서 본 마을 입구를 알리는 카니가 그렇게 반가울 수가 없다. 카니를 지나고 다시 멋진 초르텐 카니를 지나자 목재가 어지럽게 흩어져 있는 재재소 같은 넓은 마을이 나타났다. 한 노인이 길가에 혼자 마니차를 돌리고 있다.

레이놀즈가 처음 마나슬루를 방문했던 1992년에 시얄라에는 집 네 채와 작은 곰빠 하나만 있었는데 4년 후 다시 오니 20채 이상의 집이 들어서 있고 주변의 나무들이 무분별하게 벌채되어 파괴되고 있다고  한다. 이곳 목재는 티베트로 팔려간다. 경작지가 적은 이곳 사람들에게는 나무가 생계를 보전해 주는 좋은 자원이기는 한데 환경 훼손이 심하다. 올 때 산사태 비슷한 길도 그런 남벌로 생긴 결과일 것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산골이라  거주민이 많지 않아 대규모 벌채가 한꺼번에 이루어지지 않고, 삼림이 워낙 무성하여 별로 표시가 나지 않으며, 주변을 제외하면 대부분 급경사 절벽지대라 나무 베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나무를 베더라도 한계가 있다. 2000년 가을 이곳을 지나갔던 칼스텐 네벨(Carsten Nebel)은 그의 여행기에 이렇게 쓰고 있다.

이제 터키석 색깔이 된 부리 간다키 강은 먼 아래에 있다. 우리는 작은 지류를 따라 갈 것이다. 그곳에 수력발전기를 세울 계획이 있는 모양이다. 강력한 기둥을 세우기 위한 숲길이 나 있고 큰 통나무들이 잘려지고 있다. 십여 명의 거칠게 보이는 남자들이 나무를 야크 등에 싣고 있다. 티베트로 나무를 가져가면 많은 이익이 남는다. 나무를 밀과 교환하여 로 마을로 가지고 온다. 그들의 도움으로 나는 다시 사마로 가는 길을 발견했다. 얕은 여울의 진탕길을 조금 지난 후 나는 우리 그룹을 따라잡았다.

전나무 숲 그늘을 걷는 것은 즐겁다. 녹색의 숲 끝 위로 솟아 있는(나디 출리?) 가파르고 얼음이 덮여 있는 능선 아래의 소풍길을 걸은 후 고원을 향해 �은 오르막을 올라 시얄라(Shyala)에 도착했다. 벌목은 시얄라의 번창하는 사업이다. 40채의 나무 오두막들은 가게 또는 벌목꾼들의 집이다. 마을 주변의 나무들은 대부분 벌목되었다. 풍광은 우리가 지금까지 보았던 것 중 가장 좋지만 시얄라는 슬픈 마을이다.

거대한 산들이 우리를 에워싸고 있다. 히말 출리와 피크 29(최근 나디 출리로 명명되었다)가 왼쪽에 있고 마나슬루와 큰 빙하는 바로 앞쪽에 있다. 다른 설산 봉우리들은 오른쪽에 있고 우리가 방금 지나왔던 계곡의 먼 끝에는 가네시 히말이 있다. 눈과 얼음의 원형극장이다! 그러나 아래쪽 마을은 오래 머물 곳이 못된다. 벌목은 통제가 되지 않는 듯하다. 우리는 자연보호구역에 있다. 아마 정부 공무원들의 감시도 있을텐데도 무차별 벌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http://www.myhimalayas.com/manaslu/3.htm)

마을 제일 위쪽 점심을 먹을 캠프사이트로 가자 모두 정신이 없다. 마지막 운행을 오르막으로 장식한데다 이미 11시 30분이나 되어 점심시간이 1시간 이상 지나 허기가 진 탓이기도 하다. 주방에서 내 온 차와 비스킷을 대충 먹고는 쓰러진다. 3500 고지라 고산병이 나타나기 쉽다. 어제 상태가 좋아졌던 혜명화 보살은 오는 도중 구토를 했다. 백산스님과 남형씨는 두통이 있다고 한다.

두통은 다반사로 일어나는 일이니 크게 위험하지 않으나 구토는 문제가 있다. 다시 다이아목스를 먹도록 하고 충분히 쉬도록 했다. 컨디션이 좋지 않으니 음식이 잘 넘어갈 리가 없다. 모두 그저 먹는 시늉만 한다. 가장 왕성한 식욕을 보이는 사람은 나뿐이다. 나도 썩 좋은 상태는 아니지만 팀을 이끄는 사람이라 약한 모습을 보이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중이다.

비록 전깃줄이 어지럽게 설치되어 있고 목재들이 사방에 흩어져 있어 분위기를 망치긴 해도 설산이 원형으로 둘러싸여 있는 시얄라는 멋진 곳이다. 이곳에서 보이는 설산은 왼편부터 히말출리, 나디출리, 마나슬루, 마나슬루 북봉, 나이케 피크다. 맞은편에는 6천 미터급 쿠탕히말 연봉들이 원형극장의 나머지를 채우고 있으니 그 장엄한 풍광을 한 번 상상해 보시라!

레이놀즈의 가이드북을 보니 시얄라에서 고소적응을 위해 하루 더 머무는 것도 괜찮다고 쓰여 있다. 지금 생각하니 우리도 이곳에서 하루 더 머물렀으면 좋았을 것 같다. 그랬다면 원형 설산의 멋진 일출을 감상할 수 있었을 것이다. 시얄라에서 사마가온까지는 1시간 30분 거리니 이곳에서 머문 다음 날 오전에 사마가온까지 간 후 캠프를 치고 오후에 빙하호수를 다녀오는 일정이 가능하다.

점심을 먹고 1시에 출발했다. 마을을 벗어나는 카니를 지나 작은 다리를 하나 건너 내리막길을 계속 가다가 두 번째 지류를 만났다. 눔라 콜라(Numla Khola)다.. 이곳은 위쪽 언덕이 무너져 내린 듯한 모양이라 마치 산사태가 난 듯한 모습이다. 이곳이 마나슬루 북서면의 빙하인 풍겐 빙하에서 발원한 물이 흐르는 계류다.

다리를 건너 다시 조금 올라 넓은 길로 들어섰다. 관목이 많이 있다. 이제 수목한계선에 가까이 다가왔다는 뜻이다. 그리고 코너를 돌자 갑자기 뻥 뚫린 넓은 계곡이 눈 앞에 펼쳐졌다. 사마가온 앞의 초원지대인데 이곳이 마나슬루 지역에서 제일 넓은 초지이다. 이 정도면 히말라야에서 대초원으로 불러도 무방할 정도로 넓다. 점점이 보이는 것은 말도 있지만 대부분 야크며 수 백 마리가 흩어져 풀을 뜯고 있다.

초원으로 들어서기 전 풍겐곰빠로 올라가는 길이 나왔다. 3시간 거리라고 이정표에 쓰여 있다. 스넬그로브에 의하면 1953년 일본팀이 마나슬루 등정을 시도하다가 실패한 다음 해 산사태가 일어나 풍겐곰빠가 무너져 버려 당시 곰빠에 거주하던 18명의 비구니 스님들이 희생되었다고 한다. 마을 사람들은 풍겐 신이 이방인들의 무례한 방문에 노하여 그런 일이 있어났다고 믿어 그 해 2차 일본원정대가 도착했을 때 마나슬루에 오르지 못하도록 막았다. 결국 일본대는 마나슬루를 포기하고 대신 가네시로 방향을 틀었다. 나중에 일본은 풍겐곰빠를 새로 재건해 준 후에 마나슬루 초등에 성공한다. 1956년의 일이다.

구름이 몰려와 날은 춥지만 오랜만에 넓은 초원을 걸으니 발걸음이 가볍다. 초지의 첫 광장 중간에 돌로 쌓아 만든 투박한 초르텐이 있다. 시얄라에서 목재를 가지고 간 포터들이 쉬고 있다. 이들은 전통 있는 여행사 포터들이라 노란 제복을 입고 있다. 트레킹에 목재가 필요할 까닭은 없을 테고 아마 아르바이트를 하는 모양이다. 넓은 초원에는 야크들이 많이 흩어져 있다. 이렇게 많은 야크를 한꺼번에 본 것은 처음이다.

우리 팀 중 야크를 본 사람은 나와 무진행 보살님 뿐이다. 쿰부 트레킹 때 페리체 부근에서 많이 보았다. 추쿵에서 임자체 베이스캠프 가는 도중 인적 없는 벌판에 야크 떼를 방목하고 있었다. 랑탕 지역에도 야크가 흔하다. 랑탕 트레킹의 종착지인 컁진의 야크치즈 공장은 맛 좋은 무공해 치즈로 아주 유명하다. 안나푸르나 지역에서는 마낭 위쪽으로 볼 수 있다. 초지가 귀한 무스탕에서는 야크들이 모두 사람이 살지 않는 고원으로 가 있어 볼 수 없었다.

초원 끝에는 사마가온 마을 입구를 표시하는 크고 멋진 초르텐 카니가 서 있다. 카니를 통과하자 사마가온(Samagaon, 3530m)이 한 눈에 내려다 보인다. 마나슬루 북쪽 지역에서 제일 큰 마을이다. 가장 먼저 초르텐과 곰빠와 마니월 무더기를 빙 두르고 있는 있는 마니차 담장이 눈에 들어왔다. 이른바 '불교복합센터'다. 사마가온의 '대초원'과 더불어 마나슬루 지역의 명물 중 하나다. 마을은 그 뒤쪽으로 보였다.

마을 길에 들어서자 늘 그렇듯 '환영위원회' 위원들이 반겨(?)준다. '히말라야 환영위원회'는 항상 아이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큰 마을이라고는 해도 집을 꾸며 사는 모습은 형편없다. 작년에 무스탕을 갔을 때 그곳 사람들이 사는 집을 보고 충격을 받았다. 너무 열악한 환경에서 살고 있었다. 지금 생각하면 미처 예상치 못했던 문화에 대한 주관적인 충격 때문이었다. 객관적으로 볼 때는 충격 받을 일이 아니었다.

마나슬루에 비하면 무스탕 사람들은 멋진 주택에서 살고 있는 셈이다. 무스탕은 대부분 이층집이다. 나무가 귀해 흙벽돌로 지었지만 외벽은 하얗게 칠해 말끔하다. 평평한 지붕에는 장작더미를 빙 둘러 쌓아 놓았다. 곰빠는 붉은 색으로 칠해 권위가 있다. 곰빠 외벽에는 특별한 상징이 있는 흰색과 붉은색, 푸른색 칠을 해 품위가 있다. 황량함 속에서 빛나는 진주 같은 무스탕 마을의 풍광은 정말로 티베트 불교문화가 찬란하게 피어났던 한 왕국의 문화를 거침없이 보여주고 있었다.

반면 이곳은 수 백년 전 티베트에서 넘어 온 사람들이 마을을 이루고 살고 있다. 티베트에서 잘 먹고 잘 사는 사람들이 이곳까지 넘어 올 이유가 없다. 살 길을 찾아 떠난 유랑민들이었다. 나무가 많기는 하지만 경작지가 적은 척박한 땅이다. 고급문화를 받아들일 여유가 없었을 것이다. 그저 고향에서 보았던 곰빠를 흉내내어 지었고 집도 낯선 몬순의 기후에 맞추어 지었다. 비가 많은 지역은 집 단장을 하지 못한다. 인도의 집들을 보면 그것을 알 수 있다.

대만에 갔을 때 아파트 외벽이 형편없는 것을 보았다. 그곳도 우기가 길어 여름이면 아파트 벽에 곰팡이가 낀다(보드나트의 불탑을 매년 가을에 새로 회칠하는 이유도 몬순 때 이끼가 끼기 때문이다). 매년 반복되는 우기이다 보니 해마다 성물(聖物)도 아닌 아파트 외벽을 새로 칠할 이유가 없다. 단순히 경제적인 이유가 아니라 반복되는 현상에 대한 체념에서다. 그대신 살고 있는 아파트 내부는 아주 화려하게 잘 꾸미고 산다고 한다.

마나슬루의 집들은 이층 양식이기는 하나 겉에서 보면 1층이나 다름없다. 1층은 우리로 치면 조금 높은 마루처럼 보인다. 집도 허름해서 지붕에 건초를 잔뜩 쌓아 놓은 가옥을 보고 처음에는 가축우리인 줄 알았다. 다른 면에서 생각해보면 그만큼 이곳 사람들은 집에 신경 쓸 여유가 없을 정도의 삶이라는 뜻과 같다.

그래도 히말라야에 사는 사람들은 외부에서 보는 시각과는 달리 행복할 것 같다. 문명의 혜택도 받지 않고 열악한 환경 속에서 살고 있지만 우리가 매일 받고 있는 스트레스가 없다. 제3 세계 국가의 빈민가 사람들처럼 할 일이 없어 방황하지 않는다. 이들에게는 집이 있다. 좁은 토지나마 경작지가 있고 목축을 하며 티베트와의 교역을 통해 이익을 남기고 있다. 최소한 먹고 자고 입는데 대한 부족함은 없다. 다만 의료와 교육시설의 부족은 큰 문제로 남아 있다.

사실 동물처럼 인간의 삶을 단순화하면 의식주 세 가지로 귀결된다. 이 세 가지만 해결되면 걱정이 없다. 나머지는 별로 쓸데없는 욕심일 뿐이다. 그래서 수행자들이나 은둔자들은 깊은 산골에 들어가 소박한 생활을 하며 보다 본질적인 것에 정신을 집중한다. 부와 명예와 권력은 일시적으로 일어나는 한여름 뜬 구름과 같으며 언젠가는(그리 멀지 않다) 사라질 이 몸을 위해 맛난 것을 먹고 좋은 옷을 입고 비싼 보석으로 치장하며 세상에서 명성을 날려본들 결국에는 한 줌 재가되거나 땅에 묻혀 썩고 만다는 사실을 그들은 잘 알고 있다.

마을을 지나 조금 더 가지 롯지촌이 나타났다. 이곳의 집들은 신식으로 지은 쿰부 지역의 이층집 모양을 하고 있다. 마나슬루 트레킹 여행자들이 늘어나면서 새로 지은 건물이다. 캠프사이트는 모두 이곳에 있다. 캠프사이트마다 만원을 이루고 있다. 길가에 'Video Hall'이라는 팻말이 전봇대에 붙어 있어 웃음이 나왔다. 이곳까지 와서 비디오를 보는 사람이 과연 있을까 싶다.

오후 2시 20분, 초르텐 카니 옆에 있는 <노둡(Ngodup) 롯지> 캠프사이트로 갔다. 길가 간판에는 주방, 식당, 포터용 방, 쇼핑센타, 화장실을 제공한다고 쓰여 있다. 이 롯지에 마침 전화가 있다. 백산스님이 여러 번 시도 끝에 아는 스님과 통화에 성공했다. 필림에서 잃어 버린 신용카드를 중지시켜 달라는 내용이다. 요금은 1분당 100루삐. 산간오지치고는 싼 편이다. 작년 무스탕에서는 1분당 250루삐 주었다.

오늘은 제일 건장한 사람인 남형 씨가 고소를 먹고 헤맨다. 오후에 맛있는 감자를 먹었는데 저녁 식사 때는 텐트에서 나오지 못하고 있다. 고소를 염려해 올 때 공항면세점점에서 산 담배 한 포를 트레킹 2일 째 되는 날 포터들에게 모두 나누어 주고 금연중인데도 고소가 왔으니 보람이 없다. 그렇지만 흡연을 계속 했다면 상황이 더 나빠졌을지 모른다. 누나인 보명화 보살님의 걱정이 태산이다. 저녁 식사 중 혹 시장하면 먹으라고 삶은 감자를 갖다준다.

고소가 오면 아무 것도 먹을 생각이 나지 않는다. 남형 씨에게 다이아 목스를 주고 나서 나머지 사람들도 예방차원에서 한 알씩 먹었다. 낮에 조금 헤맸던 혜명화 보살은 이제 괜찮다고 한다. 내일은 캠프를 이동하지 않는 고소적응일이니 충분히 쉬면 상태가 좋아질 것이다. 내일도 좋아지지 않는 사람은 다시 내려가야 한다는 말에 모두들 긴장한다. 최소한 로까지는 되돌아 가야 한다. 하루 여유가 있으니 다음날 올라오면 되지만 오늘 오르막에서 흘린 땀을 생각하고는 모두 제발 그런 일이 나에게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는 표정이다.

트레킹의 반이 지났다. 고소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약간 신경이 쓰였지만 크게 걱정은 하지 않았다. 천천히 고도를 높이는 데다 하루 일정이 그리 길지 않아 체력 부담이 적으므로 극단적인 상황까지는 가지 않을 것이다. 삼도에서도 고소적응을 위해 하루 더 머물 예정이라 여유가 있다. 3500고지의 밤은 제법 쌀쌀했다.
 

trek 9. 리히 - 시얄라 - 사마가온   (top으로)

 Manaslu_trekmap_09_10.jpg

manaslu_map_T.jpg

nupri_map.jpg

Manaslu_0547.jpg

Manaslu_0548.jpg

왼편 지류 계곡을 유턴하여 북쪽 쿠탕 히말을 향해 가는 따뜻한 산길. 잠시 후 오르막 끝 초르텐 카니 앞에서 쉬었다. 뒤로 마나슬루 히말의 설산이 보인다.

Manaslu_0555.jpg

Manaslu_0559.jpg

쇼 마을 입구의 카니. 바위에 "마나슬루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라고 써 있다.

Manaslu_0564.jpg

쇼의 아래 마을과 윗 마을 사이의 길에서 따뜻한 햇볕아래 접시를 두드리며 노래를 부르고 있는 유랑자. 이런 산골에서는 드문 일이다. 지금까지 트레킹 중 이런 사람은 나도 처음 보았다.

Manaslu_0575.jpg

Manaslu_0578.jpg

쇼의 윗마을에서 처음으로 마나슬루(제일 왼쪽)를 보았다. 이곳의 가옥은 아주 소박한 모습이다. 사다리를 타고 오르는 방이 주거용이다. 이 집도 묵재를 많이 다듬어 놓았다.

Manaslu_0591.jpg

Manaslu_0594.jpg

제법 큰 로 마을 풍경. 조금 어수선하다. 마나슬루가 가까이 다가왔다. 마나슬루를 배경으로 서 있는 제법 큰 규모의 로 곰빠.

Manaslu_0597.jpg

Manaslu_0598.jpg

로의 롯지 엎 탁자에서 휴식. 아이들이 보고 있는 가운데 우리끼리 간식을 먹자니 좀 미안한 느낌이 들었다. 나누어 먹는 것이 우리의 정서인데... 아래쪽을 보니 그곳에도 지붕에 타르초를 걸어 둔 곰빠가 있다. 왼편은 티베트와 북쪽 국경을 이루는 쿠탕 히말이다. 계곡 사이로 가네시 히말이 조금 보인다.

Manaslu_0602.jpg

Manaslu_0604.jpg

마나슬루와 마나슬루 노스를 배경으로 서 있는 초르텐과 마니월이 멋진 히말라야의 풍경을 보여주었다. 여기서 처음으로 티베트풍의 초르텐을 보았다. 로에서 보는 마나슬루도 멋있다. 예리한 능선이 잘 보인다. 이곳의 일출도 장엄하기로 소문이 나 있다. 일출의 장엄한 모습이 짐작된다.

Manaslu_0605.jpg

Manaslu_0611.jpg

밭에서 보리를 수확하는 아줌마들. 꼭지만 따 바구니에 담는다. 로를 지나 작은 지류 계곡을 건넜다. 마나슬루 히말이 만든 능선 아래에 있는 풍겐 빙하에서 내려오는 물이다. 다리를 건넌 후부터는 계속 오르막이다. 오른쪽 상단의 전봇대가 안내하는 길은 계곡 상류로 향하고 있다.

Manaslu_0612.jpg

Manaslu_0615.jpg

윗마을에서 내려오는 한 가족을 만났다. 아이들이 많은데 어린 아이들도 잘 걷는다. 오르는 도중 무분별한 벌목으로 인한 산사태가 난 길이 있다. 방향은 마나슬루를 향하고 있으니 계속 계곡 상류를 향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Manaslu_0616.jpg

Manaslu_0617.jpg

계곡 뒤로 설산이 보였다. 라니피크(6693m)와 심낭히말(6251m), 그리고 오른쪽 사진은 피크 29로 불렸던 나디출리(7871m)다.

Manaslu_0619.jpg

시얄라의 수력발전소 건물. 이곳에서 만들어진 전기는 주변의 여러 마을(쇼, 로, 시얄라,사마가온)으로 공급된다. 마나슬루 지역에서 제일 규모가 큰 수력발전소다.

Manaslu_0622.jpg

Manaslu_0624.jpg

무진행 보살님이 시얄라를 향한 지그재그길 마지막 구간을 오르고 있다. 전나무 숲 뒤 계곡 건너편으로 우람한 히말출리(7893m)가 나타났다. 히말출리는 삼도에서 제일 잘 보이고 멋있다. 삼도에서 마나슬루는 앞 산에 가려 보이지 않는다.

Manaslu_0627.jpg

 Manaslu_0630.jpg

시얄라 마을 앞 뒤에 서 있는 초르텐 카니는 문양이 아름답다. 마나슬루 지역에서 유일하다. 시얄라는 설산으로 둘러싸인 원형극장으로 풍광이 빼어난 곳이다. 영혼의 산 마나슬루가 바로 뒤에 우뚝 서 있다.

Manaslu_0631.jpg

Manaslu_0636.jpg 

남서쪽에 있는 마나슬루, 마나슬루 노스, 나이케 피크. 전깃줄과 목재가 어지럽지만 이곳 사람들의 생계수단이니 나무랄 수만은 없다. 그냥 그 장면은 무시하고 감상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마을 위 캠프사이트에서 점심을 기다리며 휴식을 취했다.

Manaslu_0640.jpg

 Manaslu_0642.jpg

시얄라에서 조금 내려오면 다시 산사태가 일어난 듯한 계곡이 하나 나온다. 풍겐 곰빠 아래 빙하에서 내려오는 지류다. 다리를 건너 왼편 사진 중앙 숲 사이로 난 길을 따라가면 오른쪽 사진의 넓은 평지길이 나온다.

Manaslu_0644.jpg

 Manaslu_0649.jpg

평지 끝 코너를 돌면 갑자기 넓은 '대초원'이 펼쳐진다. 가슴이 툭 트이는 풍경이다. 초원 입구에 돌로 투박하게 쌓은 초르텐이 하나 있다. 주변에는 온통 야크들이 흩어져 풀을 뜯고 있다.

Manaslu_0657.jpg

 Manaslu_0660.jpg

초지 끝에 있는 초르텐 카니를 통과하면 사마가온이 눈 앞에 보인다. 앞에는 초르텐, 마니월, 곰빠가 한데 모여 있는 '불교복합센터'가 있고 그 뒤로 올드빌리지가 이어진다. 롯지촌인 뉴빌리지의 이층 건물은 그 뒤쪽으로 보인다. 중앙 상단의 동산에는 사마곰빠가 있다. 센터는 마니차를 설치한 담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런 곳에서는 당연히 마니차를 돌리며 운행하는 것이 심신에 좋다.

Manaslu_0661.jpg

불교복합센터의 규모를 보아서 짐작할 수 있지만 사마가온이 마나슬루 북쪽 누프리 계곡 티베트 마을에서 가장 큰 중심 마을이다. 곰빠위 역사도 가장 깊다. 스넬그로브가 방문할 당시 이 마을이 제일 윗마을이었다.

Manaslu_0662.jpg

 Manaslu_0663.jpg

마을로 내려와 돌아본 초르텐 카니. 뒷산을 배경으로 서 있는 모습이 멋있다. 오늘도 오후가 되자 어김없이 산 아래에서 구름이 몰려오기 시작했다.

Manaslu_0664.jpg

 Manaslu_0665.jpg

마을은 이미 사진을 보았지만 생각보다 더 누추했다. 아마 작년 무스탕에서 본 마을과 은연 중 대조한 탓일 것이다. 그래도 언제나 환영인파가 우리를 반겨주었다.

Manaslu_0667.jpg

 Manaslu_0668.jpg

올드빌리지에서 롯지촌으로 가는 짧은 길. '비디오홀'이라는 간판 사진 아래 안드레스는 "놀라운 제안"이라는 제목을 달았다. 간판 아래 보이는 이층집이 노둡 롯지다. 건물 앞마당이 캠프사이트인데가 타르초가 걸려 있다.

 manaslu_0508_AdR31__P_1100.jpg

2005년 11월 안드레스가 찍은 노둡 롯지 사진. 그들도 이곳에서 묵은 모양이다. 오른쪽 방이 식당이고 식당에 들어서면 바로 왼편으로 주방으로 연결된 문이 있다.

+ Recent posts